15 research outputs found

    CJ 홈쇼핑

    Get PDF
    TV 홈쇼핑 산업은 국내에 소개된 지 불과 10년 조금 넘었지만 2005년 매출액 규모가 3조원을 돌파하면서 유통업체 중 가장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케이블 TV의 보급과 함께 성장한 TV 홈쇼핑 업체들은 오늘날 TV 홈쇼핑 외에도 카탈로그 사업, 인터넷 쇼핑몰 사업에까지 뛰어 들면 서 홈쇼핑의 산업 범위를 넓혀 가고 있다. 1995년 CJ 홈쇼핑의 전신인 삼구쇼핑은 국내 최초로 케이블 TV를 통해 홈쇼핑 방송을 시작했 다. 2000년 6월 삼구쇼핑을 인수한 CJ 홈쇼핑은 2005년 4,5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하며 국내 TV 홈쇼핑 산업을 선도하는 홈쇼핑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국내 TV 홈쇼핑업체들은 최근 TV 홈쇼핑 산업의 미래에 대해 고민이 많다. CJ 홈쇼핑도 예외가 아니다. 국내 많은 소비자들은 TV 홈쇼핑 채널에 대해 일반적으로 부정적 이미지를 갖고 있다. TV 홈쇼 핑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싸구려라는 인식이 아직도 소비자들 간에 만연돼 있다. CJ 홈쇼핑과 같은 메이저 TV 홈쇼핑업체들은 이와 같은 부정적 인식을 종식시키기 위해 유명 브랜드 제품 판매 비 중을 늘리고 있지만 수많은 영세 TV 홈쇼핑업체의 관행 때문에 역부족이다..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Regional Governance Mechanism

    No full text
    동아시아 역내 문제해결 방식의 특수성을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하여 드러낸다. 동아시아는 역내 문제를 역내 양자외교망과 보편적 국제기구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지역기구 형성을 통하여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그 결과 지역기구의 숫자, 기능, 역할 등 모든 측면에서 동아시아는 다른 권역에 비하여 가장 후진성을 보인다. 동아시아 역내에서 존재하는 촘촘한 초국경 연결망에도 불구하고 지역기구가 부재하는 현상은 아시아의 역설에 해당될 수 있다. 지역기구 측면에서 아시아의 역설은 두 가지 요인으로 설명된다. 첫째, 동아시아 역내 숙적관계이다. 동북아시아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이 오랜 기간 동안 숙적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분단국이 존재한다. 동남아시아에서도 태국과 베트남 사이의 숙적관계가 존재한다. 역내 초국경 활동이 증가한다 하더라도 상대방을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에 역내 지역기구가 발전하지 못한다. 둘째, 역내 정체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아시아에서는 인도 문명권과 중화 문명권이 경쟁하고 있으며, 냉전기 정치적 이유로 역내 정체성을 형성할 기회를 가지지 못했다. 냉전 이후 미국과 중국 간 경쟁이 시작되면서, 의도적으로 역내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시도가 성공할 수 없게 된다.This paper compares the regional governance mechanism across the five regions: Europe, Americas, Africa, Arab, and East Asia.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to solve international issues by means of dyadic diplomacy and univers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East Asia. Meanwhile, regional organizations in East Asia have been weak and merely functional. The weakness of regional organizations in East Asia is a striking contrast to the fact that East Asia has been tightly integrated in terms of economic relationships. It may be called as the Asian paradox. There seem to be two explanations to the Asian paradox. First, rivalries have been rampant in East Asia. China, Japan, and Korea still have had rivalries among them. There have been two divided nations: Korea and China. There have been rivalries in Southeast Asia. These rivalries have been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regional organizations in East Asia. Second, the regional identity has been weak in East Asia. The traditional culture in East Asia traces back to the two great ancient civilizations: Chinese and Indian one. Western cultures have been influential in modern days. Furthermore, the Cold War divided the East Asia into two camps. The Sino-US rivalry in the post-Cold War era has hampered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identity in East Asia

    Study of Public Reception of Nuclear Power and Influencing Factors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5. 8. 금현섭.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해 원자력 발전의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최근 국내원전에서 연이어 발생한 사고 은폐, 금품 비리 및 품질문서 위조사건은 원자력산업의 신뢰 기반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중차대한 사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따른 원자력의 수용성 변화 연구는 많이 수행된 데 반해 국내 원전비리 사건이라는 신뢰성 위협 요인에 대해 국민들의 원자력 수용성 인식 변화와 그 영향 요인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증진과 신뢰 회복을 도모하여 원자력산업의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현 시점에서 원자력에 대해 국민들이 체감하고 있는 사회적 편익과 위험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대체적 발전수단과 비교함으로써 현 시점에서의 원자력의 사회적 위치와 인식수준을 냉정히 평가한다. 둘째, 국내 원전의 최근 비리 등 각종 이슈 발생 이후 국민들이 체감하는 원자력 발전 및 정부/원전사업자에 대한 신뢰 수준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자력산업에 대한 국민의 신뢰성제고방안을 모색한다. 셋째, 일반 국민의 원자력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도출, 분석하여 이들 변수들이 어떻게 복합적으로 국민들의 인식 판단 수준에 기여하는지 인과관계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약 600여명의 표본을 선정, 2014년 하반기에 일대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1차적으로 기술통계 분석을 통한 원자력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 분석, 2차적으로 원자력 수용성 영향 요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인과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원자력에 대한 일반인식은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인식,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 원자력 위험 인식, 원자력 발전의 운영에 대한 인식 등으로 구분하여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첫째, 원자력의 국가경제 기여도는 평균 이상의 수치를 나타냈으나, 원자력 에너지가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지는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원자력 발전에 의한 피해수준은 평균보다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자력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기의 값이 저렴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원자력에 대한 위험 인식이 매우 높고, 이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과학적 기술수준에 대해서도 불안감이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원자력발전소 운영회사나 정부의 원자력정책에 대한 신뢰도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에너지원의 유형별 선호도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은 에너지원은 태양력이었으며, 원자력 발전의 계속 유지는 대체로 찬성하지만 원자력발전 비중 확대나 추가 건설은 부정적이었으며 특히 거주지 인근지역에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되는 것은 경제적 보상이 제공되더라도 매우 강도 높게 반대했다. 원전비리 사건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이 알고 있다고 답했으며, 약 38% 정도가 원전비리 전후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의견이 부정적으로 변화되었다. 특히 원전비리는 다른 정치적 비리사건과 비교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라는데 강도 높게 동의했다. 또한 원전비리는 직원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구조적 문제이고, 특히 규제를 잘못한 정부의 잘못이라는 의견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원자력 수용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인과관계 분석에 의해 심층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 발전 및 정부/원전사업자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인식된 편익이 커질수록, 지각된 위험 인식이 낮아질수록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과 지불의사가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 원자력 인식 관련 연구결과들과도 일치된다. 둘째, 신뢰는 원자력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국민들은 원자력 발전에 대한 신뢰와 정부/원전사업자에 대한 신뢰를 별도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원자력에 대한 신뢰도, 정부/원전사업자에 대한 신뢰도, 편익 인식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전비리 사건을 인지할수록 위험 지식 및 편익 인식은 강화되고, 위험 인식은 약화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자력에 대한 인식의 여러 차원들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인식과 수용성 간의 관계가 단편적이지 않고 신뢰, 편익 인식, 위험 인식, 감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다고 해석할 수 있으므로 향후 원자력 정책 수립에 참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제 1 장 서론 ·······································································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 1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 2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4 제 1 절 이론적 논의 ···································································· 4 1. 원자력 발전의 수용성································································ 4 2. 원자력 발전의 위험 인식·························································· 6 3. 원자력 발전 및 정부/사업자에 대한 신뢰도 ························· 8 4. 원자력 발전의 편익 인식·························································· 10 5. 외부 원전사고에 대한 위험 지식 ············································ 11 제 2 절 원자력산업의 국내/외 환경 변화 ···························· 14 1.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각국 원자력 정책의 변화 ···················· 14 2. 각국의 에너지 믹스 변화 및 변화요인 ·································· 15 가. 미국 ·························································································· 18 나. 프랑스······················································································ 20 다. 영국 ·························································································· 22 라. 독일 ·························································································· 23 마. 일본 ·························································································· 24 3. 국내원전 관련 이슈 분석·························································· 26 제 3 절 원자력 수용성 관련 선행연구 검토 ························ 29 1. 후쿠시마 사고 이전···································································· 29 2. 후쿠시마 사고 이후···································································· 32 3. 기존 연구의 한계 ······································································· 35 제 3 장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 ······································ 38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 ························································· 38 1. 연구모형 ······················································································ 38 2. 가설의 설정 ················································································ 39 제 2 절 연구 방법 ········································································ 40 1. 연구 방법 ···················································································· 40 2. 설문 모형 ···················································································· 41 3. 변수의 정의 ················································································ 44 제 4 장 연구결과 및 논의 ·············································· 47 제 1 절 표본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47 제 2 절 원자력산업에 대한 국민인식 기초분석 결과 ······· 50 1. 원자력에 관한 일반 인식·························································· 50 2. 원자력과 다른 에너지 간의 인식 비교 ·································· 54 가. 에너지원에 대한 선호도 ······················································ 54 나. 에너지원별 비중에 관한 의견············································ 55 다. 거주지 인근지역 에너지원별 발전시설 입지에 관한 의견· 56 라. 에너지원별 편익 인식 ·························································· 57 마. 에너지원별 위험 인식 ·························································· 59 바. 에너지원별 이미지 ································································ 60 사. 에너지원별 지식수준···························································· 61 3. 원자력발전소 건설에 관한 의견 ·············································· 62 가. 원자력발전소 수용성···························································· 62 나. 원자력 발전을 통한 전기 생산비율 변화에 관한 의견··· 66 4. 정부 및 원전사업자에 대한 신뢰도 ········································ 68 5. 국내 원전비리 사건의 영향에 관한 분석 ······························ 70 제 3 절 원자력산업에 대한 국민인식 심층분석 결과 ······· 74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 74 2. 원자력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분석 ······························ 78 3. 원자력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인과관계 분석··· 79 4. 분석결과 종합 ············································································ 92 제 5 장 결론 ······································································· 93 제 1 절 종합 분석결과 ······························································· 93 제 2 절 정책적 시사점 및 제언 ··············································· 97 제 3 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5 Abstract ···············································································124Maste

    Second-Tier States' Response to Security Threat

    No full text
    이 글은 주요 국제정치이론이 안보위협에 처한 중소국에게 제공하는 정책 제안을 검토한다. ①세력균형이 승리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여 전쟁이 회피된다는 가정을 공유하는 현실주의 전통은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수단으로 세력균형을 권고한다. 활용되는 자원의 소재에 따라 세력균형은 내적균세와 외적균세로 나뉘고, 강한 군비증강이나 군사동맹을 동원한 경성균세와 일시적·제한적 수단을 동원하는 연성균세로 나뉜다. ②공화정과 경제 교류의 평화성, 제도를 통한 행위자 규제 등을 가정하는 자유주의 전통은 관여정책을 제안한다. 관여는 경제교류, 국제기구와 제도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③세력우위이론은 국력 차이에 기반한 우열관계 정도에 따라 상이한 제안을 제시한다. 국력 차이가 매우 클 경우에는 편승을, 국력 차이가 작을 경우에는 국력 차이를 넓히라고 권고한다. 이 글은 국제정치 현실과 국제정치이론을 결합하여 안보위협에 대처하는 정책을 도식화한다. ①숨기와 중립은 안보위협국으로부터 거리를 두겠다는 결정 아래서 취할 수 있는 정책이다. ②편승, 특화, 유화는 안보위협국의 요구를 수용하겠다는 결정 아래서 취할 수 있는 정책이고, ③관여정책은 안보위협국과 함께 제도와 국제기구를 공유하고, 경제적으로 상호의존하며, 국제규범의 사회화 등을 통하여 안보위협국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이고, ④초월정책은 안보위협국이 참여하지 않는 국제기구와 제도를 활용하여 안보위협국을 견제하는 방식이며, ⑤세력균형은 안보위협국에 맞대응 하는 정책이다.This paper reviews the policy recommendations which several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provide to countries faced with security threats. Realism, which emphasizes the pacific effect of parity, recommends balancing to countervail security threats; Liberalism, which assumes the pacific effect of republic entity, economic exchange, and share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eads to engagement policy; Power Preponderance Theory, which assumes the pacific effect of power disparity, recommends bandwagoning, when the power gap is large. Also, this paper presents a flow char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dealing with security threats. ①Those who isolate themselves from threatening states may hide from security threats or maintain a neutrality from threatening states; ②those who accommodate demands from threatening states may choose bandwagoning, specialization, or appeasement; ③those who engage with threatening states may opt for institutions, economic interdependence or socialization to change the behavior of threatening states; ④those who rely upon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 institutions where threatening states are not affiliated transcend their insecurity issues to international society; ⑤those who countervail security threats by defense pact or strong arms race may choose between internal balancing and external balancing

    國際通貨體制에 關한 美-佛 論爭 硏究, 1963-1968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大學校 大學院 :外交學科,1996.Maste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patio-Temporal Emission Map using Big Data based on Ship Operation

    No full text
    MARPOL(Maritime Pollution Treaty)은 선박의 통상적인 오염물질 배출에 의한 해양오염 방지 목적으로 1973년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정한 국제 협약이다. 1978년에 의정서가 채택되어 MARPOL 73/78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1983년에 최초로 발효되었으며, 구성은 조문(Article)과 6개의 부속서(Annex I~VI)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선박 배기가스 배출규제 강화 목적으로 부속서 6장이 개정됨에 따라 관련 규정을 충족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정부는 항만 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항만대기질법에 근거하여 황산화물 배출규제 해역과 대기질 관리구역, 해당 관리구역 내 저속운항해역을 고시하여 대기질 개선, 국민 건강·권익 확보하기 위한 규제를 명시하고 있다. 대기환경보전법에 근거하여 항만과 도서 지역 등에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망을 설치하였으며, 측정된 대기질 정보는 해양환경 정보 포털을 활용하여 국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2018년 기준 발틱해·북해 배출규제해역에 대비하여 동북아시아 해역 (한국·중국·일본) 내 선박 활동량이 많음에 따라 해당 해역에서의 공동 배기가스 배출규제해역의 지정 검토가 필요하다. IMO의 승인을 통한 규제 해역 지정 절차의 진행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대기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국내 또한 외항 지역 범위의 배기가스 배출량 산출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구축된 관측망을 통한 식별된 데이터 측정값을 비교, 확인하고 각종 정책 효과에 대한 추가 검증이 가능하도록 배기가스 배출량 산정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항 지역에서의 항해하는 선박의 배기가스 배출량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배출규제해역 확대 시 정량적 효과의 평가 방안을 제시한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과 Structured Query Language(SQL)를 이용하여 격자 내 선박 점유시간 계산한다. 점유시간이 길다는 의미는 해상에서 통항 선박의 밀집도가 강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배출가스 배출이 밀집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계산된 점유시간에 시간당 배출량과 배출 계수를 곱하여 해당 해역 내 배출 총량을 산출한다. 또한 선박의 길이와 선속을 기준으로 운항 패턴별 배출 Matrix 확립하였다. 해당 Matrix를 활용하여 시간당 배출량과 배출 총량을 계산 시 적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여러 배출 Case 중 Worst Case 식별을 할 수 있으며, 해당 Case에 대한 선제적 조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절차로 산출된 배출 총량 분석 결과를 GIS 환경에서 시각화하였다. 여러 가지 국내 황산화물 배출규제 해역 확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비교 공간평가를 통하여 배출량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고 배기가스 시공간 통계지도를 구축하였다.제1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내용 및 구성 5 제2장 배출규제 동향 및 분석 데이터 6 2.1 배출규제해역 (Emission Control Area, ECA) 6 2.2 국내·외 동향 11 2.2.1 유럽 (Europe) 12 2.2.2 미국 (USA) 13 2.2.3 중국 (China) 14 2.2.4 한국 (Korea) 16 2.3 데이터 특징 및 전처리 26 2.3.1 선박자동식별시스템 (AIS) 26 2.3.2 AIS & IHS Markit 데이터 28 2.3.3 지리정보시스템 (GIS) 31 제 3 장 배기가스 배출량 산출 34 3.1 배출량 산출 모델링 34 3.1.1 배출량 분석 Matrix 모델링 36 3.1.2 분석 해역 모델링 44 3.1.3 AIS 데이터 모델링 45 3.2 격자 내 선박 점유시간 분석 49 3.2.1 점유시간 산출 모델링 50 3.2.2 점유시간 산출 결과 51 3.3 시간당 배출량 분석 52 3.3.1 Engine Power (MCR) 53 3.3.2 Load Factors (LF) 54 3.3.3 Power Demands (Energy) 57 3.3.4 Correction Factors (Emission & Fuel) 61 3.3.5 시간당 배출량 산출 결과 62 3.4 배기가스 배출량 분석 66 3.4.1 배출량 산출 결과 66 제 4 장 시공간 통계지도 구축 및 시각화 74 4.1 통계지도 생성 모델링 74 4.2 정량 데이터 시각화 방법 77 4.2.1 내추럴 브레이크(Jenks) 77 4.2.2 등도수(Quantile) 78 4.2.3 등간격(Equan-interval) 78 4.2.4 지오메트리 간격(Geometry interval) 79 4.2.5 시각화 방법 비교 80 4.3 공간분석 및 통계지도 활용 84 4.3.1 공간분석 시나리오 86 4.3.2 공간분석 결과 87 제5장 결론 98 5.1 연구의 결론 98 5.2 향후 연구과제 99Mast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Korean goral by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analysis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수의학과 수의생리학전공,2004.Maste

    Government Networks and Knowledge Networks_The Monetarism and G6/G7

    No full text
    1970년대 석유파동과 브레턴우즈 체제의 붕괴 이후 세계경제의 혼란은 세계경제의 운영과 관련하여 두 가지 현상을 초래했다. 첫째, 케인스학파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통화량 조정을 중시하는 시카고학파가 부상하게 되었다. 케인스학파의 정책 제안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귀결된 반면, 통화론자들은 1970년대 세계경제의 향방을 정확히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하였기 때문이다. 둘 때, 세계경제를 운영하는 기제로서 G6/G7의 등장이었다. 지식체계 간 경쟁과 G6/G7출범이 동시대에 발생했기 때문에 G6/G7은 자연스럽게 지식체계 간 경쟁의 장소가 되었다. 1970년대 G6/G7에서 주요 쟁점은 성장/고용과 물가안정이었다. 케인스학파는 유효수요 창출을 통한 불황 탈피를 권고했고, 시카고학파는 통화량 조정을 통한 물가안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국, 일본, 이탈리아는 케인스학파의 권고를 수용한 반면, 프랑스는 1960년대부터 고전적 통화론자의 권고를 수용하면서 미국을 압박했다. G6/G7내부에서 쟁점 간 경쟁과 지식체계 간 경쟁은 1980년대 초반가지 이어지다가 통화주의가 G6/G7에서 수용되면서 해소되었다. 통화주의와 G6/G7의 결합이 현재까지 이어져 G8 네트워크는 신자유주의 지식체계와 연관되어 있다.The turbulence in the world economy, which followed the Nixon Shock in 1971 and the first Oil Shock in 1973, was the opportunity for monetarism to gain popularities in policy circles as well as academia. The policy recommendations by the Keynesianism led to the stagflation, while several prominent monetarists predictions and explanations appeared to turn out correct in the 1970s. In addition, the turbulence in the 1970s was helpful in the emergence of G6/G7 as the most important network in managing the world economy. As the emergence of G6/G7 was coeval with the surge of monetarism, G6/G7 became a locus where monetarism and Keynesianism competed against each other. Low growth, unemployment and inflation were major challenges for the summits of G6/G7 to deal with in the 1970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Italy adopted Keynesian policy recommendations to countervail the economic downturn by utilizing fiscal policies; France and Germany, which already adopted classic monetarism in the 1960s. favored monetarists policy recommendations to deal with inflation by controlling the money supply. Monetarism won over Keynesianism and became the common denominator among G6/G7 policies in tackling domestic economic issues. It helped G6/G7 become a viable network in the world economy

    충남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순회 토론회 -서천 (송두범,김영도,정경환,이병도,조동준,이재국,최선희)

    No full text
    N/A■[제1주제]충남 사회적경제 정책 이해 (송두범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센터장) ■[제2주제]사회적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기업협의회의 역할 (김영도 충남사회적기업협의회 회장) ■[사례발표]사회적 기업 '서천군귀농인협의회' (정경환 서천군귀농인협의회 사무국장) ■충남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 토론회 토론문 I.충남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이병도 서천군귀농인협의회 회장) II.사회적경제 구축을 위한 제언 (조동준 서천군일자리종합센터 사무국장) III.충남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토론문 (이재국 얼굴있는먹거리 사무국장) IV.충남 사회적 경제 기반구축을 위한 과제 및 제언 (최선희 (사)Seed's 충남지부장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