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 research outputs found

    초등학교 4학년 개인생활 덕목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 개발

    No full text
    본 연구는 초등 도덕과에서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라 가정의 역할이 축소되고, 이에 따라 가정은 기본 생활 습관 및 개인 생활 덕목 등 도덕에 관한 기본적인 교육을 학교에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으나, 이는 학교의 교육만으로는 그 실효성을 거두기가 어렵다. 개인 생활 덕목에 관한 요구 조사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은 도덕적 행동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를 몰라서 실천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실천해야 하는 당위성이나 내재적 동기의 부족, 또는 실천의지 부족으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개인 생활 덕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고학년 아동들의 한 차원 높은 도덕적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과제의 반복 제시를 통한 개인 생활 덕목의 형성이 아닌 개인 생활 덕목에 대한 인지적 이해 및 자기반성, 행동의 실천 계획 수립 및 실천 활동, 그리고 실천 과정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통한 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체계적이고 추상화된 방법으로 도덕적 행동의 습관화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목표는 '개인 생활 덕목의 의미를 알고, 그 중요성을 깨달아 실생활에서 이를 실천할 수 있다.' 로 설정하였다.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내용 요소는 '바른 몸가짐하기', '소중한 시간 활용하기',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기'가 선정되었다. 특히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기'내용 요소는 고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아동들이 개인 생활 덕목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를 스스로 선택하고, 이에 대한 내용 요소를 선정하여,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방법은 개인 생활 덕목의 의미 및 필요성 인식하기, 자기 반성 및 실천 의지 다지기, 실천 계획 수립하기 등의 학교에서의 교수·학습 활동이 개인 생활 덕목의 실천 및 자기 평가, 실천 활동을 통한 자기 반성, 부모의 실천 격려 및 관찰 평가 등의 가정에서의 실천 활동과 연계되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시간은 한 차시당 60분으로 운영하였으며, 마인드맵, 관련 글 읽기, 자신의 경험 조사하여 발표하기, 역할 놀이 등의 교수·학습 전략과 가정용 개인 생활 덕목 교육 자료, 실천 기록장, 실천 일기, 관찰 일기, 인터넷에 글 올리기 등의 가정 연계 전략을 활용함으로써 아동의 개인 생활 덕목에 관한 이해와 실천을 도왔다.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는 강북구 S초등학교 4학년 9반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개인 생활 덕목의 형성에 관한 평가는 아동의 실천 기록장과 실천 일기 분석, 부모의 관찰 일기 분석, 개인 생활 덕목 검사, 교사의 체크리스트와 관찰 기록지 분석 등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개인 생활 덕목 검사의 결과는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 결과에 대해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아동들의 개인 생활 덕목은 프로그램 실시 이전에 비해 실시 이후에 더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정 연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인 4학년 아동들의 개인 생활 덕목의 형성에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것이며, 학교에서 학습한 개인 생활 덕목 행동이 가정과 주변 생활 장면에서 일관성 있게 반복될 수 있도록 실천 경험을 제공해 줌으로써의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서도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교육 중의 하나라는 것을 분명하게 밝혀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ome link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and make it to be applied in school scene. According to change of modern industrial structure, home role is reduced, and home is relying on education about individual life virtues entirely in the school accordingly, but this is difficult to gain the effectiveness by education of school. According to request investigation analysis result about individual life virtues, elementary school forth- year children do not practice doing not know how to achieve moral action concretely, but they don't practice to the tribe of motive. So this research wish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individual life virtues, and wish to develop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that can practice naturally in real life. Also, considering dimension high moral development special quality of forth-year children, in this research there is the purpose to do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not formation of individual life virtues through repeat presentation of simple subject, comprehension and introspection about individual life virtues, action plan establishment and practice process, and through feedback offer about practice process, do formation by purpose habit of moral action. The aims of home link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are that know meaning of individual life virtues, realize the importance, and practice this in real life. Contents element of home link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are 'To do right behavior', 'To utilize during important time', 'decide naturally and chose to act'. Estimation of home link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executed estimation about practice of individual life virtues and estimation about studying of individual life virtues to forth-year students 9 class in 30 Gangbukgu S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enforcement result of home link program for individual life virtues formation, children's individual life virtues improved, and children's individual life virtues showed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in .05 as statistical level of existence. This shows that home link program is effective in formation of forth-year student's individual life virtues in elementary school. Supplying practice experience so that individual life virtues action to study in school may can be repeated as there is consistency home and surrounding life place is clearing clearly that is one of important education that must not overlook in elementary school year time.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도덕 교육과 개인 생활 덕목 = 5 B. 도덕 교육에서의 학교와 가정의 연계 = 13 C. 제 7차 교육과정의 도덕 교육에서의 학교와 가정의 연계 = 20 D. 선행 연구 = 25 III. 연구 방법 = 30 A. 연구대상 = 30 B. 프로그램 개발 절차 = 31 1. 프로그램의 요구 조사 = 32 2.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 36 3.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 및 조직 = 39 4. 프로그램의 방법 선정 = 40 5. 프로그램의 평가 내용 및 방법 = 47 IV.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실제 = 52 A.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 = 52 B. 개인 생활 덕목 형성을 위한 가정 연계 프로그램의 평가 = 64 V. 결론 및 제언 = 82 참고문헌 = 87 부록 = 93 ABSTRACT = 13

    금융 변동성의 예측과 고차원 데이터 검정을 위한 선형모형의 개발과 이의 응용

    No full text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linear statistical model, it is prevalent to implement forecasting based on high-quality statistical analysis. We propose two statistical methodologies which facilitate prediction and dimensional test in major statistical area. The first issue deals with realized volatility (RV) forecasting in financial statistics. The essence of modeling is to reduce biases of its estimated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HAR) coefficients by dropping off a constant term in the model in order to achieve better forecasting result. Above all, we implement small monte-carlo simulation to see whether there are biases in estimation of RV by HAR model. With application to the Tanaka (1987) theory, we finally confirm that HAR model without a constant term can decrease the biases in the HAR model, providing that the reduced biases will be positive role in forecasting. The application of four realized volatility data verifies that non-constant model is superior to existing models in terms of forecasting. In addition, robustness is verified for other functions of logarithm of realized volatility and realized variance. In particular, for extension of the data, twenty realized volatilities of Oxford-Man realized library is used for illustration, and Monte-Caro simulation is implemented by using the historic RV estimated by Corsi (2007). The second part consists of the procedure how to test dimension of data structure when heteroscedasticity exits in a linear model. The problem of heteroscedasitcity has its long history and still be regarded as a critical issue in linear modelling. In particular, we setup a linear model to solve the problem of heteroscedasticity. Using the marginal and conditional relationship, heteroscedasticity statistic has induced, and this concept of testing turns out to be similar to sliced average variance estimation (SAVE; Cook, 2000). However, due to problem of driving an asymptotic of the proposed test, permutation approach is used for implementation. The proposed test overcomes the shortcomings of the prevalent tests in that it is robust to normality and applicable to multi-dimensional response. Arguably, we confirm that it has an advantage of improved power when heteroscedasticity exists in the model as well as of reliable observed level when the error term does not follow normal distribution. Many our numerical simulations and real data analysis will be presented to confirm the test procedure and result.;최근 고급선형 모형의 발전으로 인해 금융산업을 포함한 전 분야에서 통계적인 분석과 예측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산업과 고차원 데이터분석의 특정한 분야에서의 심층적인 통계적 데이터 검정과 예측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금융산업에서의 변동성에 대한 모델링과 그에 기반한 예측방법에 대한 개발이다. Corsi (2007) 의 HAR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Model) 모델은 실현변동성에 대한 좋은 예측 성능으로 높이 평가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응용으로서 비대칭성(Assymetry), 점프모형(Jump diffusion Model), 무한대의 차수의 HAR 모델등(Infinite order HAR) 이 개발되었다. 이에 부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HAR 모델의 모수 추정의 치우침 정도(Bias)를 개선하여 예측성능이 좋은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HAR 의 상수항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치우침 정도 (Bias)의 개선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Carlo Simulation)으로 확인해 보았으며, 이를 확장시켜 4개의 금융자산에 적용시켜 보았다. 적용결과 본래의 HAR 모형 보다 본 연구가 제시한 Non-constant HAR 모형에서의 우수성이 입증되었고, 이는 장기예측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모형의 강인성(Robustness) 검사를 통해 모형이 특정한 가정이 위배될 경우에도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예측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고차원 데이터 분석에서 쓰일 수 있는 선형모형의 이분산성 검정(Heteroscedasticity Test) 의 개발이다. 이분산성은 통계 모형에서 긴 역사를 지닌 만큼 고유한 테스트 방법들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많은 테스트들은 특정한 조건 아래에서만 구현 될 수 있다는 제한성을 띄고 있어 통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통계적 검정에 대한 구축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우리는 모든 선형모형에 적응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현존하는 이분산성에 대한 검정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DTAH(Dimension Test Approach for Heteroscedasticity)은 특히 정규성(Normality) 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와 반응변수(Response Variable) 가 다차원 특성을 지닌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많은 모의시험과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존모형대비 DTAH에 대한 우수성을 입증하였다.Chapter1: Introduction 3 1.1 Introduction 4 1.2 Volatility forecasting model 6 A. Basic Notion of Volatility.. 6 B. GARCH Volatility. 9 1.3 Heteroscedasticity Test 11 Chapter 2: A Simple Strategy of Improved Volatility Forecasting 16 2.1 Realized Volatility... 16 2.2 Non-constant HAR model...... 19 2.3 Data Analysis... 23 A. Estimation Results... 26 B. Forecast Comparison..... 29 C. Forecast with implied volatility. 32 D. Robustness Check.. 37 2.4 Simulation Study.. 41 Chapter 3: Dimension Test Approach for Heteroscedasticity in Linear model 45 3.1 Issues in Existing Tests.. 45 3.2 Dimension Test Approach of Heteroscedasticity... 45 A. Construction.. 45 B. Estimation .... 47 C. Implementation... 49 D. Remarks.... 50 3.3 Numerical Examples and Real Data Application. 51 A. Numerical examples., 52 B. Real data application .... 60 3.4 Summary for Chapter 3.. 64 Chapter 4: Conclusion 68 4.1 Discussion 69 Bibliography. 71 Abstract (in Korean) 7

    경제 구조적 변화와 장기기억성의 특징을 이용한 실현변동성의 모델링과 예측

    No full text
    본 연구에서는 실현변동성에 존재하는 경제 구조적인 변화를 BP Test를 이용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살펴보아 구조적인 변화가 실현변동성의 평균의 변화를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 구조적인 현 상을 을 HAR(3)_RV 에 적용한 HAR(3)_RV_Break를 제시하였다. 이를 4개의 데이터 자산, KRW/USD, JPY/USD, USD/EURO 의 환율과 S&P 500 Index 에 Break 를 적용하여 한단계, 다섯단계 그리고 스물 두단계 예측을 해 본 결과 본 연구가 제시한 모형 HAR(3)_RV_Breaks 가 단기기억성과 Break 가 적용된 모델, 장기기억성의 성질만 있는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Simulation Study를 통하여 장기기억성과 경제구조적인 변화가 있는 인위적인 데이터를 생성한 후 예측 값을 구하였다. 위의 결과도 마찬가지로 본 연구가 제시한 모형,HAR(3)_RV_Breaks가 성능이 기존의 존재하던 HAR(3) Model 보다 예측력 측면에서 향상 될수 있음을 확인하였다.;We investigate existence of structural breaks in long-memory property for the daily realized volatilities of KRW/USD exchange rate, JPY/USD exchange rate, USD/Euro exchang rate and S&P 500 index . This paper finds that the structural breaks do not remove all the persistence of realized volatility . We illustrate that HAR-RV-Break model addressing both structural breaks and long memory outperforms the existing forecasting models which is addressing only one of break or long memory in pseudo out-of-sample prediction . Also, a simulation study shows that HAR-RV-Break model has better prediction compared to HAR_RV model when data are generated from long memory processes with breaks.I. Introduction 1 II. Data 3 III. Estimating Breaks 5 A. Estimation Results 5 B. Break test Plots 6 IV. Examin Evidence for Long memory After Adjusting Breaks 10 V. Modeling and Forecasting Realized Volatility 11 A. Estimation Results 12 B. Model Selectiong Using AIC, BIC 14 C. Multiple Step Ahead Forecasting 16 D. Forecasting Visualization 17 VI. iSimulation Study 18 VII. Conclusion 20 Reference 29 국문초록 3

    A Comparative Study of the Japanese En·Engawa and the Korean Toettmaru : As Based on the Structure of Situations within Fictive Narratives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 2017. 8. 백진.본 연구는 일본과 한국 주택의 내·외부 경계공간인 엔·엔가와와 툇마루의 공간적 특성을, 이야기 매체에서 발췌한 상황의 구조를 중심으로 비교한 것이다. 엔·엔가와와 툇마루는 고상마루를 실내 바닥으로 하는 주택에서, 마루로 인해 어긋난 실내와 실외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하기 위해 도입된 것으로, 양국 주택의 특징적인 공간 요소로서 주목받아왔다. 마루를 가진 주택의 내·외부 경계공간이자 매개공간으로서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양국 주택을 비교하기 위한 주요 항목 중 하나로서 이들 두 공간 요소의 비교가 이루어져 있으나, 그 공간적 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두 공간 요소의 공간적 특성을 공간의 구조를 통해 고찰하고, 이야기 속에서 두 공간 요소를 중심으로 제시되는 상황들을 통해 그 공간적 특성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구분 방법, 실외공간의 성격 등 공간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의 결과, 엔·엔가와의 경우 내외부 공간의 연속적인 흐름을 구축하는 사잇공간으로서, 정원을 내실로 끌어들이는 공간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툇마루의 경우 외벽으로 단절된 내부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면하게 되면서 생길 수 있는 물리적 심리적 불편을 방지하는 사잇공간으로서, 대문에서 마당으로 이어지는 출입동선을 보좌하고 내실을 보호하는 공간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이야기 매체에서 이들 두 공간 요소가 다루어지는 방식에 주목해보면, 이렇듯 공간의 구조를 통해 단편적으로 이해된 공간적 특성 너머에서, 인간에 의해 어떤 상황의 체계가 만들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구분 방식 및 정원과 마당 등 실외공간의 성격이 어떤 양상으로 그 상황의 체계를 뒷받침하고 있는지가 확인되며, 이에 따라 두 공간 요소가 갖는 공간적 특성이 문화적 차이 속에서 보다 선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소설, 연극,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등 다양한 이야기 매체를 연구의 자료로 도입, 두 공간 요소와 관련하여 건축적 관점에서 자의적으로 재구성된 상황이 아닌, 사용자가 구축하고 있는 보다 일상적이고 실제적인 상황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두 공간 요소를 배경으로 하는 다양한 이야기 속 상황들 가운데서도, 가능한 한 그 구조의 일관성을 포착할 수 있는 것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의 결과가 단지 하나의 이야기에 특수한 것이 아닌, 보다 일반적인 것으로서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듯 이야기들이 내세우는 상황의 차이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의 분석은, 1) 상황이 어떤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2) 그것이 어떤 공간들 위에 얹혀 있는지를 통해 3) 공간의 구조에 대한 분석에서 밝혀진 공간적 특성의 내용을 보다 심화하는 흐름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다양한 이야기들 속에서 엔·엔가와에는 연대라고 규정할 수 있는 상황이, 툇마루에는 대면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이러한 상황의 이질성으로부터 출발하여 사건들의 계열을 분석했을 때, 엔·엔가와의 경우 시간, 계절, 날씨와 관련된 감정과 행위의 공유를 통한 자아의 융합이, 툇마루의 경우 영역의 분리에 기반한 자아의 충돌이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외벽의 존재 유무, 정원과 마당이라는 상이한 실외공간의 성격을 통해 규명되었던 공간적 특성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된다. 엔·엔가와는 첫째, 풍토의 존재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감정과 행위의 공유를 통해 인간과 인간 사이의 심리적 경계가 허물어지는 공간이며, 둘째, 주택의 바깥에 존재하는 외적인 자연 환경 전체가 압축되어 주택 안으로 끌려 들어오는 공간으로 이해된다. 이 때 외적인 자연 환경의 범위는 정원뿐만 아니라, 날씨, 계절, 시간의 주재자인 하늘로까지 확장된다. 엔·엔가와를 중심으로 한 공간 요소들 간 관계의 구조에 있어 공간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외적인 자연 환경에 놓여 있으며, 그 방향성은 밖에서 안을 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툇마루의 경우, 풍토성보다는 영역성, 즉 마당이라는 공적 영역과 내실이라는 사적 영역 간의 관계의 문제가 강조된다. 툇마루가 나타나는 상황 속에서 마당은 외적인 자연 환경의 존재를 확인하는 공간이기보다는, 방문자가 들어오고 싸움이 벌어지며 사람들이 모여드는 공적 공간으로 성립하며, 내실은 두꺼운 외벽을 통해 마당으로부터 차단된 사적인 공간으로 성립한다. 이를 통해 툇마루는 첫째, 영역의 구분 아래에서 타자와 타자 간의 충돌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둘째, 사적 영역을 마당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마당으로 확장하는 공간으로서의 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래서 툇마루를 중심으로 한 공간 요소들 간 관계의 구조에 있어 공간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내실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방향성은 안에서 밖을 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벽의 존재유무, 주변 공간 요소의 성격 등 공간의 구조가 갖는 차이를 토대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 공간인가에 주목하여 관심의 대상이 되는 두 공간 요소의 공간적 특성의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재하는 상황의 차이에서 출발하는 귀납적 연구 방식은, 상황이 어떤 사건들로 이루어져 있는지, 그것이 공간의 구조 위에 어떤 방식으로 얹혀 있는지를 통해 공간적 특성의 차이를 보다 인간적이고 실제적인 관점에서 밝혀지게 한다. 엔·엔가와와 툇마루의 공간적 특성의 차이는, 단지 공간의 구조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공간의 사용자가 속해 있는 문화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지 이들 두 공간 요소가 갖는 공간적 특성의 차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했다는 점뿐만 아니라, 이야기 매체를 통한 초(超)건축적 분석의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관점에서 공간에 접근하는 길을 제시하고, 문화의 존재 아래에서 공간의 특성을 포착하는 방법을 실천했다는 데서도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1.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5 1.3. 연구의 흐름 8 2. 이론적 고찰 10 2.1. 다양한 주택 형식 속의 엔·엔가와와 툇마루 11 2.1.1. 일본 주택의 엔·엔가와 11 2.1.2. 한국 주택의 툇마루 20 2.2. 공간의 구조를 통해 본 공간적 특성 28 2.2.1.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의 구분 양상 28 2.2.2. 실외공간의 성격 36 2.3. 상황의 구조를 통해 본 공간적 특성 40 2.3.1. 이야기가 제시하는 상황 40 2.3.2. 상황의 구조 : 사건+공간 41 2.3.3. 엔엔가와와 툇마루의 상황의 구조 49 3. 분석 1 53 3.1. 침전조의 엔 54 3.1.1. 『겐지 이야기』 54 3.1.2. 『음양사』 59 3.2. 서원조의 엔 64 3.2.1. 『전국무쌍 사나다 마루』 64 3.3. 민가의 엔가와 67 3.3.1. 『호타루의 빛』 67 3.3.2. 『바닷마을 다이어리』 71 3.4. 엔·엔가와의 상황의 구조 75 3.4.1. 상황이 갖는 의미 75 3.4.2. 사건들의 전개 양상 75 3.4.3. 공간 요소들 간 관계의 구조와 공간의 특성 76 4. 분석 2 78 4.1. 한옥 툇마루 79 4.1.1. 『무녀도』, 『동구 앞길』 79 4.1.2. 『웰컴 투 동막골』 83 4.2. 도시한옥 툇마루 85 4.2.1. 『따라지』 85 4.2.2. 『툇마루가 있는 집』 89 4.3. 툇마루의 상황의 구조 95 4.3.1. 상황이 갖는 의미 95 4.3.2. 사건들의 전개 양상 96 4.3.3. 공간 요소들 간 관계의 구조와 공간의 특성 97 5. 종합 98 5.1. 상황의 구조로부터 재발견한 공간적 특성 99 5.1.1. 상황이 갖는 의미 99 5.1.2. 사건들의 전개 양상 100 5.1.2. 공간 요소들 간 관계의 구조와 공간의 특성 103 5.2. 상황의 구조를 통한 공간 분석의 의의 107 5.1.1. 공간 일원적 분석의 한계 107 5.1.3. 사건의 발견과 공간의 재발견 108 6. 결론 110 6.1. 연구의 결론 111 6.2. 연구의 의의와 한계 113 부록 114 참고문헌 133 Abstract 135Maste

    Role of a spliced ZNF268 in TNF-α-induced NF-κB activation

    No full text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a, TNF-a)에 의해 유도되는 NF-kB의 활성화는 선천성 면역 반응 혹은 염증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F-kB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IKK complex는 700-900 kDa의 단백질 복합체로서 core protein은 IKK α, β, γ의 3 가지 sub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IKK complex의 구성 단백질을 찾는 것은 NF-kB 신호전달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앞선 논문에서 immune-affinity proteomic 방법으로 IKK complex의 또 다른 구성 단백질인 zinc finger protein 268 (이하 ZNF268)를 새로이 찾아 보고한 바 있다. ZNF268은 alternative splicing에 의해 N-말단은 kru‥ppel-associated box (KRAB) domain이 없고, C-말단은 2개의 cysteine과 2개의 histidine이 24번 반복되는 구조를 갖는 단백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zS4 (spacer/first 4 C₂H₂ repeats)의 발현만으로도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가 증가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TNF-a 자극을 주었을 때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의 증가가 더욱 증폭되었다. 이는 ZNF268이 NF-kB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ZNF268의 24개의 zinc finger motifs 중 각각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와 IKK activity에 관련 있는 부분을 찾기 위해 ZNF268을 C₂H₂가 4번 반복하도록 8개의 fragment로 나눠서 cloning하였다. TNF-a 자극에 따라 8번 째 4-C₂H₂ fragment에 의해 NF-kB의 transcriptional activity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8개의 4-C₂H₂ fragment 중 C₂H₂ #2, C₂H₂ #3이 IKK activity를 증가시킴을 보았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IKK complex의 구성 단백질로 찾은 ZNF268이 TNF-α 자극에 의한 NF-kB의 신호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제시한다.;TNF-α-induced NF-kB activation plays a key role in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The IKK complex, consisting of two catalytic subunits, IKKα and IKKβ, and a regulatory subunit NEMO, plays major roles in signal-dependent activation of NF-kB. In an effort to identify additional components of IKK complex, we previously isolated the splice variant of ZNF268 as a novel IKK-interacting protein. ZNF268 is a protein of an exceptionally long repeated domain containing 24 C₂H₂ zinc finger motifs. Here, I show that only expression of zS4 (spacer/first 4 C₂H₂ repeats) is sufficient to increase the NF-kB transcriptional activity. A series of truncated mutants containing only 4 C₂H₂ repeats were generated. Upon stimulation by TNF-α, C₂H₂ #8 (amino acids 838 to 942) significantly enhances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B. Furthermore, the results of in vitro kinase assays revealed that the truncated mutants modestly increased the IKK activation. Particularly, the N-terminus of ZNF268s mainly increases IKK activity.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plice variant form of ZNF268 plays a positive role in TNF-α-induced NF-kB signaling pathway.1. INTRODUCTION = 1 2. MATERIALS AND METHODS = 5 2.1. Antibodies and reagents = 5 2.2. Cell culture and transfection = 5 2.3. Construction of plasmids = 6 2.4. Immunoblotting = 6 2.5. Luciferase reporter assay = 7 2.6. In vitro kinase assay = 8 3. RESULTS = 9 3.1. Isolation of ZNF268s as an IKK-interacting protein. = 9 3.2. Cloning and over-expression of ZNF268 truncated mutants = 12 3.3. zS4 increases TNF-a-induced NF-kB activation = 15 3.4. Cloning of 4-C2H2 ZNF constructs = 18 3.5. C2H2 #8 substantially increases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NF-kB induced by TNF-a = 23 3.6. The N-terminus of ZNF268s modestly increases the IkB kinase activity = 26 4. DISCUSSION = 30 REFERENCES = 35 논문개요 (한글) = 40 감사의 글 = 4

    Semantic network analysis related to schizophrenia newspaper articles

    No full text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분석, 계량적 내용분석연구로 조현병 관련 신문기사에서 부각된 키워드 및 주제를 탐색·비교하는 것이다. 의미연결망분석이란 텍스트에 등장하는 주요 단어의 사용빈도, 주요 단어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구조를 통해 텍스트에 담긴 숨은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이다(민혜숙, 김창엽, 2016; 이수상, 2014).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빅카인즈(www.bigkinds.or.kr)를 통해 수집되었다. 조현병 관련 기사를 검색하기 위해 빅카인즈에서 제공하는 전체 8개 중앙지(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를 대상으로 최근 5년(2013년 9월 1일~2018년 8월 31일) 기간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남역 살인사건(2016년 5월 17일) 전·후 조현병에 대한 신문기사에서 부각된 키워드 및 주제를 탐색·비교하기 위해 강남역 살인사건을 기준으로 2기의 네트워크로 구분하였다. 강남역 살인사건 이전 네트워크는 2013년 9월 1일 ~ 2016년 5월 16일이며,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네트워크는 2016년 5월 17일 ~ 2018년 8월 31일이다. NetMiner 4.4.1(사이람, 201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미연결망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키워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주요 키워드 선정 및 네트워크 내 키워드의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중심성 분석을 이용하였고, 조현병 관련 신문기사의 주요 주제를 추출하기 위해 토픽 모델링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현병 관련 신문기사 610건 중 강남역 살인사건 이전의 보도 건수는 71건이며,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의 보도 건수는 539건으로 증가하였다. 2. 강남역 살인사건 이전 신문기사에 키워드 ‘치료’, ‘정신질환자’, ‘난치병’ 등이 출현 빈도가 높았고,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에서 상위권에 포함된 키워드로 나타났다. 반면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 신문기사에 키워드 ‘사건’, ‘혐의’, ‘여성혐오’ 등의 출현 빈도가 높았고, 세 가지 중심성에서 상위권에 포함된 키워드로 나타났다. 3. 조현병 관련 신문기사의 주제 분석 결과 강남역 살인사건 이전에는 편견으로 치료시기를 놓치면 증상이 악화되고 만성화됨’, ‘불치병이 아니라 조기 치료하면 치료가 가능함 ’, ‘약물 치료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함’, ‘심신미약 상태에서 살인 혐의로 기소됨’의 총 4개 토픽이 도출되었고, 강남역 살인사건 이후에는 ‘여성혐오 주의자가 아니라 약물 복용 중단 후 피해망상이 심해져 살인을 저지름’, ‘약물치료 중단이 충동적인 행동을 유발함’, ‘범행 후 심신미약을 주장함’, ‘흉기 난동에 출동한 경찰을 살해함’의 총 4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강남역 살인사건 이전 신문기사는 조현병이 조기 발견되면 치료가 가능하고 약물치료로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조기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조현병 환자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한 인식개선을 다루고 있는 건강한 기사들이 많았다. 반면, 사건 이후 약물복용을 중단하면 피해망상이 심해지고 충동적인 행동으로 인해 범죄를 저지를 수도 있는 불치병으로 묘사하며 자극적인 사건 위주의 보도로 낙인을 찍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조현병 등 정신질환에 대한 보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조현병 환자의 인권을 고려한 비자극적인 표현이나 용어를 사용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보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신건강 언론보도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언론이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is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at explores and compares keywords and topics highlighted in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schizophrenia in order to understand how schizophrenia is expressed in newspaper articles, and is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Bigkinds(www.bigkinds.or.kr). In order to search for articles related to schizophrenia, a total of eight central newspapers provided by Bigkinds were set up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September 1, 2013 to August 31, 20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news reports on news reports about schizophrenia before and after Gangnam murder case(May 17, 2016). The first period network is September 1, 2013-May 16, 2016, and the second period network is May 17, 2016-August 31, 2018.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NetMiner 4.4.1 program. To identify what keyword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network, we selected the key keywords and analyzed the centrality of the keywords in the network. And a topical modeling was conducted to extract major issues in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schizophren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Out of 610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schizophrenia, the number of reports in the first period before the Gangnam murder case was 71, and the number of reports in the second period after the Gangnam murder case increased to 539. 2.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efore the Gangnam murder case were ‘healing’, ‘mental patients’, and ‘difficulties’, while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fter the incident were ‘incidents’, ‘prosecution’ and ‘female hatred’. 3. According to the topic analysis, Before the Gangnam muder case, there were total of four topics: ‘Missing the timing of treatment by bias will worsen the symptoms and become chronic’, ‘It's not incurable, it's treatable by early treatment’, ‘Medication enables normal life’, ‘He's been charged with murder in a state of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After the incident, four topics were ‘He's not a misogynist, but he's killing because he's paranoid after he stops taking drugs’, ‘Aborting medication causes impulsive behavior’, ‘Claiming mental and physical weakness after committing a crime’, ‘Killed a police officer who was dispatched to the ramp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efore the Gangnam murder case, many newspaper articl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arly treatment, which is possible to treat schizophrenia if it is detected early, and there were many healthy articles dealing with improving awareness to reduce prejudice against patients with schizophrenia.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ncident, newspaper articles showed a tendency to brand provocative event-oriented reports, describing the suspension of drug use as an incurable disease that could lead to severe paranoia and commit crimes due to impulsive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ntal health media coverage guideline" so that non-polar expressions or terms considering the human right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an be used and objective and accurate reports can be made through expert advice. Continuous monitoring will also have to b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media complies with the guideline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Ⅱ. 문헌고찰 5 A. 정신질환자의 이미지 5 B. 조현병 환자의 이미지 11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15 C. 자료분석 18 D. 연구의 윤리적 고려 22 E. 연구의 제한점 22 Ⅳ. 연구결과 23 A. 조현병 관련 신문기사의 일반적 특성 23 B. 주요 키워드의 출현빈도 및 시각화 24 C. 의미연결망에서 중요하게 부각된 주요 키워드 27 D. 신문기사의 주요 주제 32 Ⅴ. 논의 53 Ⅵ. 결론 및 제언 58 A. 결론 58 B. 제언 6

    (A) consideration of legislation for DNAR(Do-Not-Attempt-Resuscitation) on emergency medical field

    No full text
    보건의료법윤리학과/석사[한글] 응급 의료상황에서의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의료진이 단 시간 내에 그 시행여부를 결정해야만 심폐소생술의 지연 없이 생명을 구할 수 있다. 그러나 병동이나 중환자실과는 달리 응급센터에 CPR이 필요한 상태로 내원 하는 환자들은 대부분 그 과거력을 알 수 없고 환자의 의식이 혼수의 상태이므로 환자자신의 자유의지를 알 수 없는 상태이다.따라서 이 연구는 법적 효력이 없는 DNAR(Do-Not-Attempt-Resuscitation)을 법제화하여 응급의료상황에서 환자가 원하지 않는 심폐 소생술을 시행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의 자유의지로 자신의 생명을 결정할 권리를 존중하며 응급의료 종사자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시행여부를 결정함에 있어 지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1개 대학 부속병원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여 사망한 환자 중 DNAR을 시행한 환자의 의무기록과 서울시내 각 병원 응급센터에서 DNAR을 시행해 본 경험이 있는 의사 60명에게 설문조사한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각 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DNAR 서식을 분석하기위하여 11개 병원을 임의 표출하여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였고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DNAR order 형태를 면접조사하기위해 설문 조사에 참여했던 의사 60명 중 3명의 의사를 면접 조사하여 내용 분석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환자군의 연령 및 성별분포DNAR을 결정한 환자의 연령은 1세부터 92세까지의 범위로 평균 연령은 59.52세로 나타났으며 DNAR을 결정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연령층은 70세 이상이 가장 많았다. 남자와 여자의 비율은 남자가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2.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응급센터에 내원한 환자들의 의식상태는 의식이 ‘명료한’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이들을 크게 세 가지 상태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ARDS(급성 호흡장애증후군), 뇌손상, 급성심근경색, 패혈성 쇼크, 급성 출혈, 급성신부전을 급성질환에 의한 비가역적 상태로; 2) 심부전, 악성종양, 간부전, 말기 신질환을 만성질환에 의한 비가역적 상태로; 3) 사고사(교통사고, 추락), 미상, 노쇠, 성문하협착, 약물중독, 대동맥 박리를 기타질환. DNAR을 결정한 환자들의 사인으로는 급성과 만성질환에 의한 비가역적 상태였던 환자가 각각 비슷한 결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DNAR 유지기간은 1시간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구두로 받은 서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DNAR형태로 나타났다.3. DNAR 결정에 대한 의사설문조사 분석설문조사를 통해 응급의료상황에서 DNAR 결정 시의 의사결정을 위한 의사들의 임상의학경력 및 의사결정시의 여러 상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임상의학경력은 2년~10년까지 분포를 보였고 설문에 응답한 의사들 중 2~3년의 임상의학 경력을 가진 의사가 가장 많았다. 설문조사에서 1년간 시행한 심폐소생술 중 Resuscitation 에 poor response 예상 case가 어느 정도였느냐는 질문에 76-100%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 항목과 관련하여 poor response가 예상되었던 case중 무의미한 심폐소생술이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51-75%가 가장 많았다.4. DNAR 서식 내용분석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DNAR 서식은 아직 표준화되어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사한 병원의 50%정도에서 병원의 서식이 문서로 만들어져서 사용되고 있었으며 문서로 있는 경우에도 자필서약서로 대체하는 경우가 있었다.5. DNAR order 형태 분석의무기록지 분석과 설문조사분석으로 나타난 의사의 DNAR 서식 형태는 차이가 있었다. 환자의 의무기록지는 병원서식이 37.2%였고 의사의 설문조사에서는 76.7%로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서 후속 조사한 결과 의사의 병원서식에 대한 범위기준을 의사의 경과 기록지 까지 모두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NAR 법제화는 의료법 및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등 관련법의 정비와 병행해야 한다. 이러한 DNAR의 법제화가 올바르게 시행되기 위해서는 도덕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의료조치들이 실효성 있는 DNAR 법제화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법령을 정비해 분명하게 법적으로 보호되도록 해야 하며, 그 시행 과정을 신중하고 자율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이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DNAR법제화가 우리 현실에서 바람직하고 필요한 제도이지만 정부에서 일방적으로 외국의 제도 및 정책을 도입하여 이를 시행하도록 의료계에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그에 앞서 이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의료계와 국민들의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형태의 DNAR 제도가 개발되어야 한다. [영문]On emergency medical field, CPR can make it possible to save the life without delay only if the short time decision of carrying it out is made.But, Because the patients who arrive at ER on the state of CPR needed, unlikely Ward or Intensive Care Unit, almost are not known of past medical history and are not alert mentality, the free will of the patients is cannot estimated. So in this study we assert that the right to decide the patient''s own life and the prevention of delay for the decision of carrying out CPR by legislation for DNAR order which is not strictly legal yet.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 who made DNAR order among who died at ER on a certain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and the data of questionnaire survey for 60 medical doctors who have ever experienced to make a DNAR order in Seoul. We analyze these data in the way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for the analysis of the DNAR order forms which are used in each hospital, we sampled 11 hospital''s forms at discretion and analyze that and we have interviews of 3 medical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in-depth coverage.The results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the patient''s age and genderThe age of DNAR ordered patients are from 1 to 92, and which average is 59.52, the highest age group which make a DNAR decision is over 70 group.In gender, male dominance is exist.2.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The most common mentality state of patients is alertness. Among these patients who hav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Brain injury,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eptic shock, Acute hemorrhage, Acute renal failure are classified into Irreversible state due to acute disease. Among these patients who have Chronic heart failure, Malignancy, Chronic hepatic failure, End stage renal failure are classified into Irreversible state due to chronic disease. Among these patients who have Accident(traffic accident, fall down injury), Undetermined, Aging, Subglottic stenosis, Drug intoxication, Aortic dissection are classified into et cetra.The causes of death who have DNAR decision are the similar number of result in irreversible state due to acute disease and irreversible state due to chronic disease.The most maintenance of DNAR duration is below an hour. and the most common DNAR form is verbal order.3.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to medical doctors for DNAR decisionThe clinical career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decision of DNAR in emergency medical field are like these described below.The clinical career extend from 2 years to 10 years and among the do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octors who have the clinical career of 2 to 3 years are more common than other groups. In the survey, among the CPR which were done during the past one year, 76 to 100 % of cases were predicted to be the poor prognosis to resuscitation. According to this item, 51 to 75 % of cases were thought to be useless CPR cases among the cases were predicted to be the poor prognosis to resuscitation.4. Analysis of the contents of DNAR formThe DNAR forms which are used in Korea are not standardized yet.About 50 % of surveyed hospitals use the own DNAR form and there are some hospital use the holograph pledge instead of own form.5. Analysis of the shape of DNAR formThere is some difference in the shape of DNAR form between the analysis of medical records and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survey. There is different result of the percentage of the use of hospital own DNAR form as 37.2 % on the medical records analysis and 76.7 % on th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On our follow up research, the result of 76.7 % is caused by including of clinical progress note into the extent of medical records.According to the above described result of this study, Legislation for DNAR must run parallel with the improvement of medical law.For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legislation for DNAR, the statute that the medical services which are ethically acceptable can be the objects of legislation for DNAR, and these medical services must be protected by law must be improved.For the accomplishment of those, the process of introduction must be prudential and voluntary. The legislation for DNAR is thought to be desirable and necessary, but it is not right that government import the foreign statute unilaterally and demand to carry out that statute to the medical profession.Before that, the formation of the sympathy that this statute is necessary to the medical profession and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DNAR statute which is fit to our situation must be proceeded.ope

    Forms of Percussion Instruments Found In Goguryo Tomb Murals:Analysis of Musical Instruments of Royal Processions

    No full text
    고구려의 안악 제3호3분을 비롯하여 수산리 고분, 덕흥리 고분, 안악 1호분, 약수리 고분의 행렬도에는 틀에 북을 매달아 메고 가면서 연주하는 북. 기마 악대가 연주하는 북. 특정 의례에 사용된 북 등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 되어 있다. 이밖에 안악 제1호 벽화고분, 평양역전 고분 등에는 의례용(儀禮用)처럼 보이는 북 종류가 몇 종이 더 있다. 이상의 고구려 벽화고분의 북은 이혜구의 안악 제3호분 벽화의 주악도 전주농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악기에 대한 연구등의 주악도(奏樂圖) 해제 초기 연구를 통해 북의 형태와 명칭· 연주· 기능 등이 상세히 소개되었다. 최근에는 강연희, 이진원, 신명숙 등에 의해 고분벽화 상의 악기명칭 및 북의 형태와 재질, 문양 등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기도 하였다. 강연희는 안악 제3호분에 처음 보인 이후 덕흥리 · 팔청리 · 수산리 벽화분에서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담고가 중국과 다른 고유의 고구려 북이라고 하였으며, 이 북에 대하여 초기 학자들이 명명한 담고라는 이름 대신 안악 담고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일 것을 제안하였다. 신명숙, 이진원의 연구에서는 수산리 고분벽화의 북의 크기와 북면의 문양을 중국의 동고(銅鼓)류 악기와 비교한 뒤 이 북이 동고(銅鼓)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On the mural paintings found in tombs dating back to the Goguryo period, including Anak Tomb No.3, Susanri Gobun, Deokeungri Gobun, Anak Tomb No. 1, and Yaksuri Gobun a 'drum hanging off a frame and slung across the shoulders while marching' can be seen, along with an orchestra on horseback that together represent various forms of drums used in special ceremonies. In addition, various drums with possible ceremonial purposes can be seen on the murals of Anak Tomb No.1 and the Pyongyang Military Official's tomb. In 2005 the author published a dissertation examining royal processions composed of percussion instruments and composed of the 'ko' drum and the third note in court music 'gak', both of which were the foundation of the royal procession, and which categorizes musical instruments as primary and secondary compositions in a royal procession. Discussion on musical instruments used in royal processions has abated in the midst of debate over trivial details of the nature of the procession. Musical instruments used in royal processions is the thesis of the author's research and have not been precisely analyzed until the author took various approaches to the subject

    A Study on the Beatles as an Example of Popularization of Indian Traditional Music

    No full text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