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Space@EWHA (Ewha Womans University)
Not a member yet
58264 research outputs found
Sort by
A Study on STEAM Education Policy Using Big Data
최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강조되는 융합인재교육은 과학기술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과학기술 기반의 융합적 사고력과 실생활 문제 해결력을 배양하는 교육이다. 교육부는 융합인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물론 현장활용을 위한 교사연구와 교사연구회 등의 실시를 비롯한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하고 있고, 꾸준히 확대되어 실행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융합인재교육 정책이 어떠한 목표를 가지고 시행되어 왔으며, 정책 단계별로 융합인재교육의 변화 양상은 어떠했는지, 정책이해당사자는 누구이며 영향은 어떠 했는지를 다각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보도, 학술지 초록에서 나타난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키워드와 토픽 및 단어 임베딩 및 정책이해당사자 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정책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정책 전달매체들의 핵심 키워드와 기저의 의미구조를 정책단계별(정책의제 설정, 정책결정 및 집행, 정책 평가 및 변동)로 탐색하였다. 각 매체에서 정책단계별로 강조된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융합인재교육정책의 목적과 의미와 관련된 키워드 단어 임베딩을 통해 유사단어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매체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정책 이해당사자간 관계를 탐색하고,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융합인재교육정책에 대한 토픽을 추출하고 정책 단계에 따른 토픽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키워드 분석결과 '과학’은 교육부 보도자료와 언론보도에서 상위 키워드로 제시되었고, 학습지 초록에서도 강조되었다.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연구회','프로그램','개발' 등 STEAM교사 연구회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고, 언론보도에서는 '학교','과학','예술','영재'와 '미래','프로그램','교육청' 등 과학예술영재학교의 선정 및 운영과 교육청에서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지원과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다. 반면 학술지 초록에서는 '융합','창의','역량'과 '교과','과학','기술'등 창의융합인재의 역량과 각 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연구와 관련된 키워드가 나타났다. 단어 임베딩 결과,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목적인 창의 융합 인재 양성과 관련된 유사단어를 매체별로 비교한 결과 '인재','양성'은 모든 매체에서 공통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재양성 필요성에 대한 유사단어가 나타났다.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제2차 과학기술 인재육성 기본 계획’과 관련된 유사단어가 나타났고, 언론보도에서는 시설 구축과 관련된 유사단어가 나타났다. '창의'는 교육부 보도자료 언론보도, 학술지 초록에서 미래인재, 교육부 보도와 학술지는 창의성, 사고력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창의'키워드의 유사단어는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대한민국창의 축전과 관련된 유사단어로 구성되었고, 언론보도는 과학기술 우수인력 양성과 미래형 첨단과학교실 구축, 메이커교육과 관련된 유사단어로 구성되었다. 반면 학술지 초록에서 '창의'는 '소양'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나타났다. 학술지 초록 단어 임베딩 결과 정책결정 및 집행단계에서는 ‘STEAM’ 키워드의 유사단어로 ‘유아’, ‘초등’, ‘고등학생’이 제시되었고, 정책 평가 및 변동 단계에서는 ‘유아’,’초등학생’이 제시되었다. 정책이해당사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교원’은 모든 매체에서 영향이 높은 정책이해당사자로 부각되는 반면 ‘학교’는 언론보도와 학술지 초록에서 영향력이 큰 정책이해당사자로 강조되지만, 교육부 보도자료에서 영향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직• 간접적으로 다른 정책이해당사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정책이해당사자로 부모, 교육청, 기업, 지역사회가 강조되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 교육부 보도자료에서는 융합인재교육 교사 연수 및 STEAM 교사연구회운영, 성과발표회, 과학 축전 등 체험 행사 운영,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 지원 기본 계획’의 지원과 추진의 토픽이 도출되었다. 융합인재교육 관련 언론보도와 학술지 초록에서는 보다 다양하고 세분화된 토픽들이 나타났다. 언론보도에서는 융합인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부와 기업의 업무협약 체결이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 졌고, 학교 현장에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토픽과 자유학기제 시행과 더불어 지역사회 및 기업과 연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토픽이 나타났다. 학술지 초록에서는 이와 관련되어 다양한 학문간 융합교육 프로그램 및 교수법의 개발 및 적용 후 효과를 검증하는 토픽들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학문간 통합적 접근 방법 제안, 문화예술교육, 디자인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콘텐츠 및 학습자 중심의 협동학습, 활동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토픽이 도출되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정책 분석에 대한 교육적 함의는 과학 교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은 유아,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를 연계한 융합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매체 별로 융합인재교육 정책에 대한 관심과 정책 이해당사자의 중요성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 교육청, 기업, 지역사회 또한 중요 정책 당사자로 포함되야 한다. 더불어 융합인재교육의 목표인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강화와 융합 소양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앞으로 융합인재교육 정책의 평가 및 변동 과정에서 나타날 토픽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텍스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재 정책평가 및 변동단계가 진행 중인 융합인재교육정책에 대해서 시의성을 확보하고 자동화된 기법을 적용하여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으로 그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접근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교육정책 분석 기법은 다양한 교육정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입장을 포함한 자료를 포함하고, 분석기법을 더욱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STEAM education is emphasized to cultivate creative fusion-type talents in preparation for the recent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 education that raises student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cultivates fusion thinking skills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real-life problem-solving skills. The Ministry of Education sets the direction of STEAM and develops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providing various administrative support,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research and teacher research groups for field use, and is steadily expanding and being implemente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objectives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in various ways, the changes in STEAM education at each policy stage, who are interested in the policy, and the imp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agnose policies and derive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keywords, topics, and word embeddings of STEAM education policies in press releases, press release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by analyzing the network between policy stakeholders. To this end, big data analysis was used to explore key keywords and underlying semantic structures of policy delivery media by policy stage (policy agenda setting,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Keywords highlighted for each policy stage were extracted from each media, and similar 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keyword word embedding related to the purpose and meaning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In addition, b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each medium,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stakeholders was explored, and topics related to STEAM education policies were extracted using topic modeling, and the changes of topics according to policy stage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keyword analysis, ‘science' was presented as the top keyword in press releases and press repor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as also highlighted in the abstract of the study paper.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keywords related to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or STEAM program development such as ‘Research Society’, ‘Program', and ‘Development' appeared, and in the press release, 'School', 'Science', 'Art', 'Gift' and Keywords related to the selection and operation of science and arts gifted schools such as 'Mutual', 'Program', and 'Office of Education', and the operation and support of STEAM programs for fostering future talent at the Office of Education appeared. On the other han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keywords related to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programs centered on each subject and the competencies of creative fusion talent such as 'convergence', 'creativity', 'capability' and 'curriculum', 'science', and 'technology' appeared. As a result of word embedding, as a result of comparing similar words related to fostering creative fusion talent, which is the purpose of the STEAM education policy, by media, 'talents' and 'development' are closely connected in common in all media, and similar words for the necessity of nurturing talents appeared.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The 2nd Basic Plan f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ppeared, and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appeared in the press release. 'Creativity' was like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y in the press releas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press release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Similar words in the 'creativity' keyword were composed of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celebration of the Korean creativity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press reports were composed of similar words related to the training of excellent science and technology personnel, the establishment of a future high-tech science classroom, and mak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creativity' appeared in close connection with 'literacy'. As a result of embedding abstract words in the academic journal, 'infants',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ggested as similar words to the 'STEAM' keyword in the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stage, and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were suggested in the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st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keyword network of policy stakeholders, 'teachers' emerged as policy stakeholders with high influence in all media, while 'schools' were emphasized as policy stakeholders with high influence in media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bstracts. Appeared extremely low. In addition, parents, education offices, businesses, and local communities were emphasized as policy stakeholders wh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other policy stakeholders. As a result of the topic modeling, in the press rele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 topic for support and promotion of the '2nd Basic Plan for Nurturing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s' was derived from the STEAM teacher training, operation of the STEAM teacher research group, performance presentation, and science festival. STEAM-related media reports and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revealed more diverse and subdivided topics. In the press release, the most important part was the signing of a business agreement betwe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companies to activate STEAM, and topic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TEAM programs in connec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companies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topic of developing and applying STEAM programs at school sites. Appeared. In the abstract of the journal, related topics were fou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fte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Specifically, topics were developed to propose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various disciplines,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sign-oriented STEAM contents, learner-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and activity-based STEAM program design and application topic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olicy analysis using big data is that science curriculum-oriented STEAM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convergence education that connects various topics for infan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differences in interest in STEAM education policy and the importance of policy stakeholders were found by media, and parents, education offices, businesse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also be included as important policy parties. In addition, effor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core competencies for fostering future talent, which is the goal of STEAM education, and to increase public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literac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nalyze topics that will appear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changing STEAM education policies.
This study proposes an approach that uses textual big data to secure timeliness for STEAM education policies that are currently undergoing policy evaluation and change stages, and to determine their meaning and value through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by applying automated techniques. It is significant. The educational policy analysis technique u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a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analysis method by including data including the posi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through subsequent research.Ⅰ. 서론 1
A.연구의 목적 1
B.연구 문제 5
C.용어의 정의 7
1.빅데이터 7
2.융합, 융합교육, 융합인재교육 7
Ⅱ. 이론적 배경 9
A.융합인재교육정책 9
1.융합인재교육 9
2.융합, 융합교육과 융합인재교육 22
3.융합인재교육정책 발전과정 25
4.융합인재교육정책의 이해당사자 54
5.해외 STEM 교육정책 및 연구동향 56
B.빅데이터 분석 65
1.빅데이터의 개념 및 특성 65
2.텍스트 빅데이터 분석 기법 및 절차 68
3.빅데이터를 활용한 교육정책 평가 80
Ⅲ. 연구방법 86
A.분석대상 86
1.교육부 보도자료 86
2.언론보도 89
3.학술지 초록 89
B.분석방법 91
1.데이터 클리닝 91
2.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94
Ⅳ. 연구결과 105
A.키워드 빈도분석 105
1.교육부 보도자료 105
2.언론보도 110
3.학술지 초록 115
4.매체별 키워드 빈도분석결과 비교 120
B.단어 임베딩 122
1.교육부 보도자료 122
2.언론보도 130
3.학술지 초록 137
4.매체별 단어임베딩 분석결과 비교 144
C.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150
1.교육부 보도자료 150
2.언론보도 158
3.학술지 초록 165
4.매체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결과 비교 171
D.토픽모델링 174
1.교육부 보도자료 174
2.언론보도 186
3.학술지 초록 208
4.매체별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비교 224
Ⅴ. 요약 및 결론 228
A.요약 228
B.결론 및 제언 235
참고문헌 243
부록 275
1.언론보도 필터링 단계별 기사 수 275
2.불용어(Stopwords) 목록 277
ABSTRACT 27
Quaternary structural analysis of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s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Capillary electrophoresis was used to monitor the quaternary structure and structural changes by denaturants of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NDP kinase). NDP kinase from human erythrocyte consists of two kinds of polypeptide chains: A (Nm23-H1) and B (Nm23-H2), which are the products of nm23-H1 and -H2 genes, respectively.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native NDP kinase, recombinant Nm23-H1 and -H2 were examined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employing high pH running buffer in an uncoated fused-silica capillary as a separation colum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sodium dodecyl sulfate and non-denaturing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t shows that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a possible tool to investigate protein structure, including the quaternary structure. This protocol was applied to the investigation of the denaturation process of each enzyme by denaturants (6 M urea or heating to 70°C) and to the monitor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denatured Nm23-H1 and -H2. The structural information of NDP kinase obtained by analysis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valuable for understanding its suggested biological function as a tumor metastasis suppressor and c-myc transcription factor, etc
A study of music therapist's perception on current state and need of self-care upon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이후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국내⋅외 정규 음악치료 학위 과정을 졸업하고 ‘음악중재전문가’와 ‘임상음악전문가 1급’ 혹은 국외의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하여 국내에서 비정규직(파트타임) 혹은 정규직(풀타임)으로 음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99명의 전문 음악치료사이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COVID-19 이후 자기 돌봄 실천 현황과 필요성 인식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이후 음악치료사들은 개인적 이슈와 관련하여 ‘비예측적이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 직업적 이슈와 관련하여 ‘고용위기와 단기, 무급 휴직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감’을 이유로 자기 돌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COVID-19 이후 음악치료사들의 심리⋅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영적 영역의 필요성 점수가 각각 4.41점, 4.36점, 4.23점, 4.18점을 나타냄에 따라 모든 영역에 걸쳐 높은 수준의 자기 돌봄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COVID-19 이후 음악치료사의 93.9%가 자기 돌봄의 필요를 인식하였고 85.7%가 자기 돌봄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COVID-19 이후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실천 현황과 필요성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COVID-19가 종식되더라도 자기 돌봄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고 꾸준한 자기 돌봄 실천을 유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status of self-care and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sic therapists after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99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who graduate from domestic and foreign regular music therapy courses and provide music therapy services as part-time or full-time in Korea with certificates of musical mediators and clinical music specialists. The survey collec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usic therapists, the current status of self-care practice after COVID-19 and awareness of necessity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COVID-19, music therapists have recognized the need for self-care, citing ‘stress on an unpredictable and uncertain future’ for personal reasons and ‘psychological pressure from a short-term and unpaid leave’ for professional reasons. Second, since COVID-19, music therapists have been aware of the need for high levels of self-care across all areas, with their psychological, physical, social and spiritual areas scoring 4.41 points, 4.36 points, 4.23 points, and 4.18 points, respectively. Third, after COVID-19, 93.9% of music therapists recognized the need for self-care, and 85.7% conducted self-ca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ncouraging the need for self-care and inducing steady self-care practice, even if COVID-19 end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1. 음악치료사 5
2. 자기 돌봄 5
Ⅱ. 이론적 배경 6
A. 음악치료 환경과 COVID-19 6
1. COVID-19의 발생 6
2. COVID-19로 인한 변화 7
3. COVID-19로 인한 음악치료 현장의 변화 10
B. 치료전문가의 자기 돌봄 11
1. 자기 돌봄의 개념 11
2. 치료전문가의 자기 돌봄 필요성 13
C.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15
1.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필요성 15
2. 음악치료사의 자기 돌봄 선행연구 16
Ⅲ. 연구방법 19
A. 연구 대상 19
B. 연구 도구 및 내용 20
C. 분석방법 22
D. 윤리적 고려사항 22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3
A. 연구결과 23
B. 논의 48
Ⅴ.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51
B. 제언 53
C. 연구의 제한점 54
참고문헌 55
부록 1. 일반적 정보 설문지 62
부록 2. 자기 돌봄 설문지 67
ABSTRACT 7
An investigation of bone necrosis and healing after cryosurgery, phenol cautery or packing with bone cement of defects in the dog femur
A corticocancellous core was removed from the lateral condyle of both femurs in 26 skeletally mature dogs. The cavity was treated with cryosurgery, phenol cautery or packing with bone cement. The animals were killed after 1, 4, and 12 weeks in the phenol and cement groups, and also after 24 weeks in the cryosurgery group. The extent of the bone necrosis and healing was assessed in each group. After cryosurgery the extent of necrosis was profound in that the area of damage was 365% compared to the area of the cavity; the depth of necrosis extended between 2.5 and 14 mm, beyond the cavity wall. The effect of phenol was negligible in that only microscopic areas of superficial focal necrosis were found around the cavity wall. Bone cement produced an area of necrosis of 153% compared with the cavity, with a depth of between 1.3 and 2.8 mm. Regeneration in the region of necrosis after cryosurgery was only scanty by 4 weeks, but by 12 weeks considerable areas of regeneration were identified and complete healing was observed by 24 weeks. Regeneration of the necrotized bone produced by bone cement packing was rapid and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specime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ryosurgery could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surgical adjunct to curettage in locally aggressive benign bone tumours and in some malignancies. Phenol cautery is not regarded as an adequate treatment after curettage of bone tumours. Although the extent of necrosis was relatively small, packing with bone cement is thought to be a useful choice in benign cases
High expression of MMP-9 is associated with better prognosis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patients
Purpose: To evaluate the prognostic value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EHBD) cancer undergoing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August 2006, patients who underwent complete resection followed by adjuvant radiotherapy for EHBD canc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MMP-9 was assessed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The prognostic values of the MMP-9 expression and other clinicopathologic factors were evaluated i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Sixty-six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received radiotherapy with a median dose of 40 Gy (range, 40–56), and 61 patients received concomitant fluoropyrimidine chemotherapy. MMP-9 was highly expressed in 33 patients (50.0%). MMP-9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coregional recurrence-free survival (LRRFS) and overall survival (OS) but not with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DMFS). The 5-year LRRFS and OS rates were 50.8% versus 86.5% (p =.0281), and 23.3% versus 68.1% (p =.0087) in patients with low and high expression of MMP-9, respectively. Among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tumor location was associated with DMFS and OS (p =.0292 and.0003, respectively). Nodal stage and histologic differentiation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DMFS (p =.0277 and.0060, respectively). Based on multivariate analysis for OS, tumor location was the on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 =.0021), while MMP-9 expression showed marginal significance (p =.0633). Conclusion: MMP-9 expression is a useful prognostic factor for predicting LRRFS and OS in patients with EHBD cancer after surgical resec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 2018 Elsevier Ltd, BASO ~ The Association for Cancer Surgery, and the European Society of Surgical Oncolog
Effects of age, working memory, and noise location on passive-sentence processing : An eye-tracking study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인 노화와 더불어 인지기능 또한 저하되는데 인지기능의 문제를 반영할 수 있는 대표적인 능력 중 하나가 작업기억능력(workimg memory ability)이다(Hultsch, Hertzog, Small, McDonald-Miszczak, & Dixon, 1992).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란 정보를 단기적으로 저장하고 그와 동시에 처리까지 요구하는 과제에 필요한 능력이다(Baddeley, 2000). Daneman과 Merikle(1996)은 작업기억용량이 노화에 의해 줄어든다고 하였으며,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Yeom, Park, Oh, Kim, & Lee, 1992)를 사용하여 측정한 작업기억용량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는 중년까지는 감소되지 않던 작업기억용량이 노년층 집단에서 감소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Choi, & Sung, 2019; Lee et al., 2012). 노년층은 언어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청년층에 비하여 비효율적인 의미통합 전략을 사용하는데 이것은 처리자원(processing resource)의 제한된 용량에 의한 것이다(Salthouse, 1991). Just와 Carpenter(1992)의 작업기억용량이론(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에 따르면 문장의 구조가 복잡해지면 작업기억용량의 더 큰 요구로 이어진다고 한다. 이것은 곧 개인의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통사구조 복잡성에 대한 수행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뜻한다. Just와 Carpenter(1992)는 문장이해 과제 시 자극이 제시된 후 문장에 대한 판단을 요구하는 오프라인 과제와 자극이 제시되는 동안에 일어나는 실시간 처리와 관련된 온라인 문장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작업기억용량이 동일함을 제시하는 단일 작업기억용량 이론(single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을 주장하였다. 반면, Waters & Caplan(1996)은 언어처리에는 둘 이상의 작업기억능력이 필요하며, 오프라인 처리(offline processing)에는 작업기억이 관여하지만 실시간 처리(online processing)가 일어날 때에는 작업기억과 같은 인지자원의 개입이 최소화된다는 개별자원이론(separate resource theory)를 주장하였다.
문장이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문장-그림 일치 과제가 있다(Grober, & Bang, 1995; Rochon et al., 1994; Small, Kemper & Lyons, 1997). 문장이해는 다양한 수준에서의 언어적 정보를 처리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며, 언어적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문장은 청자로 하여금 모호함(ambiguity)을 느끼게 한다(Bader, 1997).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장-그림 일치 과제를 실시하되, 의미적으로 가역적인 피동문에 여격조사 혹은 동사를 소음으로 대체하여 문장의 통사 및 의미처리의 과제 난이도를 조절하였다. 또한, 청각적으로 제시되는 문장처리 시 노화와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오프라인 과제에서의 차이뿐만 아닌 시선추적기법을 사용하여 실시간 처리 또는 온라인 처리과정(online processing)에서의 수행력 차이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피동문 내 소음위치(여격조사, 동사) 및 작업기억용량(고, 저)에 따라 노년층과 청년층 간 반응정확도 및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한지 알아보았다. 뿐만 아니라, 피동문 내 소음위치(여격조사, 동사) 및 작업기억용량(고, 저)에 따라 노년층과 청년층 간 목표자극 시선선호비율(Target Advantage ratio; TA)의 차이가 있는지 삼원혼합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 21명(남 6명, 여 15명), 청년층 24명(남 4명, 여 20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간단한 선별검사 및 청력검사를 받은 후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자들로 구성되었다. 노년층 집단은 고용자 고용촉진법의 고령자 기준인 55세 이상과 노인복지법에서 정한 고령자 기준 65세 이상을 절충하여 대상자 선정 시 연령 기준을 60세 이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를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집단을 나누기 위하여 작업기억 과제인 (1) 숫자 바로 지시하기와 (2) 숫자 거꾸로 지시하기(K-WAIS; 황순택 외, 2012) 그리고 (3) 단어 바로 지시하기와 (4) 단어 거꾸로 지시하기 과제(성지은, 2011)를 따라 말하기(recall)로 바꾸어 시행하였으며 각 집단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작업기억용량 고, 저 집단으로 다시 한 번 나누었다. 실험에 사용된 목표 문장은 모두 3어절로 구성되었으며 두 번째 명사구의 여격조사 위치에 소음으로 대체된 15문장과 동사 위치에 소음으로 대체된 15문장으로 구성되었다. 필러(filler)를 포함한 총 문장은 62개이며, 문장의 등장인물은 모두 동물 이름으로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두 개의 그림이 제시된 후 문장이 들리면 문장에 해당하는 그림을 선택하며 실험에 임하는 동안 시선추적기가 대상자의 시선을 기록한다.
실험 결과,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에서 모두 소음위치, 나이 집단, 작업기억용량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동사 소음위치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장에서 정보 전달의 역할을 하는 동사가 생략되었을 때 처리과정이 더 복잡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리고 노년층이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에서 청년층에 비해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노년층이 보인 낮은 반응정확도와 긴 반응시간은 노화로 인하여 낮아진 인지기능이 문장의 의미적 처리와 통사적 처리 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Caplan et al (2001)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결과이다.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에서는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이 더 낮은 반응정확도를 보였으며 반응하기까지도 더 오래 걸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장 정보를 유지하면서 명사구의 위치 그리고 의미역에 대한 처리를 해야 하는 과정에서 작업기억용량의 차이가 반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반응정확도에서 나이 집단과 작업기억용량 집단 간의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Sung et al(2017)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였는데, 해당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노화로 인하여 감소될 수 있는 피동문 처리 능력이 작업기억용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반응시간에서는 소음위치와 나이 집단 간의 이차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동사 조건에서의 노년층의 수행력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것은 처리과정이 복잡한 문장에서 청년층이 보이는 수행력 저하보다 노년층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낮아진다는 Stine-Morrow, Ryan & Leonard (2000)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목표자극 시선선호비율(TA)은 두 소음위치 조건을 구간에 따라 나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로는 여격조사 소음위치에서 구간과 나이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히, 첫 번째 어절(NP1) 구간에서 나이 집단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명사구를 주격으로 처리하는 전략이 노화에 따라 약화됨을 밝힌 Sung과 Lee(2019)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두 번째로 동사 소음위치 조건에서는 구간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동사 구간에서의 TA가 NP1과 두 번째 어절(NP2) 구간에서의 TA와 유의하게 차이가 났는데, 두 집단 모두 앞의 두 구간에서보다 동사 구간에서 목표그림을 더 많이 응시한 것으로부터 기인한 결과였다. 또한, 구간과 나이 집단 사이의 이차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동사 구간에서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방해그림을 유의하게 더 응시하였다. 이것은 Salthouse(1991)의 관점에서 보면 노년층의 제한된 처리자원 용량으로 인하여 문장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청년층에 비해 비효율적인 의미통합 전략을 사용한 것에 대한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오프라인 과제에서는 작업기억용량과 노화에 따른 영향이 확연하게 드러났지만 실시간 처리에서는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수행력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언급한 Waters와 Caplan(2002)의 문장의 실시간 처리에서는 오프라인 과제에서 필요한 작업기억능력의 개입이 최소화된다는 개별자원이론(separate resource theory)과 일치한다. 노년층이 본 연구에서 보인 문장처리 능력의 저하는 문장처리 과제를 통하여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지 판별 및 진단하는데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ing-memory (WM) capacity on age-related changes in abilities to comprehend incomplete passive sentences using eye tracking. A total of 45 Korean-speaking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old adults 21, young adults 24). A sentence-picture matching paradigm was employed to demonstrate the incomplete passive-sentence processing task.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was designed and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eye-tracking paradigm, and the incomplete sentences were made by replacing accusative case makers or verbs with white noise. Accuracy, response time, and target advantage ratio (TA) were analyzed using three-way mixed ANOVA.
In both accuracy and response time of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adults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younger adults, and that of the two groups was worse under the verb noise location conditions than under the accusative case marker noise location condition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worse in lower working memory capacity group than in higher group. In accuracy, a two-way interaction between the age groups and the working memory capacity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noise locations and the age groups in response time. In target advantage ratio (TA) for each region according to the noise location condition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regions and the age groups under the both conditions. Under the accusative case marker noise con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in the noun phrase 1(NP1), and under the verb noise cond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ge groups in the last verb region. Moreover, the main effect of the region was significant under the verb noise condition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P1 and the noun phrase 2( NP2) reg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P1 and the verb region and the NP2 and the verb region. The worse performance of the accuracy and response time under the verb noise condition in all groups means that the sentence is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when verbs is omitted. Under the both noise conditions, the poor performance of the elderly ad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deterioration of sentence processing due to ageing. Also, results suggest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can affect sentence processing. In particular, the results from the accuracy indicated that the reduction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y with ageing can be greatly affected by working memory capacity. In addition, aging has had a greater impact on processing difficult sentences, which is evidenced by the poor performance of elderly adults under the verb noise conditions, which were more difficult conditions. The performance of elderly adults with TA suggested that elderly adults use an inefficient strategy compared to younger adults when dealing with incomplete passive-sentences, affected by reduced cognitive function due to aging. Also, the elderly adults' poor performance in the regions where the information integration of units takes place means that the ability in understanding and integrating information has been degraded by aging. Finally, There was no effect of working memory capacity in TA which seen in accuracy and response time. This means WM capacity plays different roles in sentence online processing and sentence offline processing.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9
A. 노화에 따른 작업기억의 변화와 청각적이해능력의 손상 9
B. 작업기억과 문장처리와의 관계 10
C. 시선추적을 활용한 문장이해 과제 12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B. 연구과제 19
C. 연구도구 21
D. 연구절차 23
E. 자료분석 25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27
G. 예비실험 28
Ⅳ. 연구결과 29
A. 반응정확도 29
B. 반응시간 33
C. 목표자극 시선선호비율(Target Advantage ratio) 37
Ⅴ. 결론 및 논의 46
A. 결론 및 논의 46
참고문헌 51
부록1. 60
ABSTRACT 6
The Collaboration and Survival Strategy of the Cultural Artists during the Korean War
이 연구는 한국전쟁기 문화인의 부역경험과 생존전략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한국전쟁 초기 문화인의 북한점령 체험과 수복 이후 부역문화인 처분에 대해 분석하고, 그 결과 문화인이 한국사회에서 생존전략으로 취했던 반공 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이를 통해 한국전쟁기 문화인들이 반공선전의 주요 행위자가 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전쟁이 개인과 사회에 끼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전쟁이 발발하자 국방부 정훈국에서는 문화인들을 계획적으로 활용했고, 문화인들은 대부분 피난 기회를 놓쳐 서울에 잔류했다. 북한점령하에서 문화인들은 각자 ‘살기 위해’ 행동했고, 대부분 부역을 하게 되었다. 이들은 조선문화단체총연맹에 가입해서 활동하거나, 의용군에 차출되었다가 탈출하거나, 월북을 감행했다. 이들의 북한점령기 경험은 수복 이후 부역심사에서의 위치를 결정했고, 부역 문제 해결 과정에 활용되었으며, 문화인들이 전쟁기 반공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계기가 되었다.
수복 이후 일반 국민들에 대한 한국정부의 부역자 처벌은 가혹했는데, 지방의 경우 법적 절차도 거치지 못한 채 부역혐의자들이 임의로 처형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반면 부역문화인들은 매우 관대한 처분을 받았다. 당시 문화인들이 부역심사에서 관대하게 처분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은 그들을 반공선전에 활용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도 때문이었다. 문화인들은 부역심사 과정에서 이미 반공선전에 동원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부역혐의를 상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역문화인들은 여전히 사회적 비난과 사상적 의심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고, 문화계 내부에서도 부역문화인들을 향해 반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한국전쟁기 부역문화인들은 북한점령 체험기 작성과 국방부 정훈국과 연계된 반공 활동을 통해 사회적으로 살아남고자 했다. 당시 북한점령 체험기는 북한을 상대로 하는 선전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었다. 문화인들은 체험기를 작성하면서 반공·타공·멸공의 목소리는 높이고, 한국정부에 대한 비판 등 특정 목소리는 철저히 소거하는 방식으로 생존을 꾀했다. 이들은 또한 정훈국 산하에 소속되었는데, 특히 종군작가단에서 종군 활동과 반공선전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에 이르는 기간은 문화인들에게 생존투쟁의 연속이었다. 문화인들의 반공 활동은 생존전략의 일환이었고, 그들의 북한점령 체험과 부역심사 경험에 따른 결과였다. 전쟁기 문화인들의 반공 활동은 그들의 실지 체험에서 비롯된 사상적 지향이나 부역심사에서 관대한 처분을 받은 데 대한 반대급부, 생계유지 수단 등 다양한 원인이 개입되어있으며 단순히 어느 하나의 이유로만 이해할 수는 없다. 다시 말해 한국전쟁기 문화인들의 반공 지향과 문화계의 이념적 편향은 그때까지 이들이 겪어온 다양한 경험에서 기인한 것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ltural artists’ collaboration and their strategies to survive during the Korean War. Specifically, the research analyzed what the cultural artists experienced under the occupation of North Korea in the early phase of the war, how they were treated as collaborators after South Korea’s recovery of the land, and what anti-communist activities they engaged in for survival. Therefore, the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the cultural artists transforming into main players in the activities for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as well as the impacts of the war had at the individual and societal level.
At the outbreak of the war, the Korean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政訓局) took advantage of the cultural artists in a manipulative way as most of them lost a chance to flee, ending up remaining in Seoul. Under the occupation of North Korea, each individual behaved for the sake of one’s survival and was forced to labor. While several people joined the Federation of Korean Cultural Organizations(朝鮮文化團體總聯盟), somebody escaped from the Korean Volunteer Army, and others managed to go north beyond the border. One’s experience during the period of North Korea’s occupation not only decided one’s position in the screening for the collaborators but also was used for addressing relative issues. Also, it later served as a cause for them to actively partake in anti-communism during the war.
After reclaiming Seoul, the Korean government’s intention - to use the cultural artists as a tool for propagating anti-communism - let them be given preferential treatment in the screening for collaborators. In case of the punishment of collaborators in rural areas, they were executed arbitrarily without due process of law.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artists received lenient treatments. By then, the cultural artists were already exploited as a tool for promoting anti-communism, which offset one’s accusation of collaborating in war. However, they could not fully avoid social criticism and suspicion in terms of ideology, and voices in the cultural circle called for their reflection.
In order to get by in society, the cultural artists cooperated by writing their memoirs and working for anti-communist actions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ir memoirs of the North Korea’s occupation were useful for a good propaganda against the North. To survive, they highlighted the message of boycotting, damaging and terminating Communism while completely eliminating any criticism about the Korean government in their memoirs. They were also under a detachment of the Korean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particularly taking part in anti-communist activities under the Service of the Army.
The path from Korea’s Liberation from Japan to the Korean War was a sequence of battles to survive for the cultural artists. Anti-communist actions were parts of their survival strategies, stemming from their experiences in North Korea’s occupation as well as in the screening for the collaborators. Different reasons -ranging from their ideological preference obtained through actual experiences, a quid pro quo for the lenient treatments in the screening, to a tool for survival- combined to cause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during the war. As various factors contributed to their survival strategies a single reason is not enough to explain their behaviors in detail. To summarize, various experiences the cultural artists had during those times lie behind their preference for anti-communism and an ideological bias.Ⅰ. 머리말 1
Ⅱ. 한국전쟁기 북한점령과 문화인의 부역경험 7
1. 해방 이후~한국전쟁 직전 문화계의 좌우·남북 분열 7
2. 북한점령기 문화인의 동향과 부역경험 14
Ⅲ. 수복 이후 정부의 부역자 처벌과 부역문화인 처분의 특징 28
1. 한국정부의 가혹한 부역자 처벌 28
2. 부역문화인에 대한 처벌 논란과 관대한 처분 34
3. 부역문화인 처분의 배경과 요인 40
Ⅳ. 부역문화인의 생존전략: 북한점령 체험기 간행과 반공선전 활동 47
1. 부역문화인의 북한점령 체험기 간행과 그 특징 47
2. 문화인의 종군 활동과 반공선전 활동 55
Ⅴ. 맺음말 62
참고문헌 65
ABSTRACT 7
Examination of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s' (3) cloud and rain contamination
Observations in channel 1 (Ch. 1, 50.3 GHz) and channel 2 (Ch. 2, 53.74 GHz) of the Microwave Sounding Unit (MSU) over the convective areas of tropical oceans are analysed to reveal the nature of extinction (contamination) in these data. From this analysis we find Ch. 2 data are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clouds and rain. Extinction due to clouds and rain manifests primarily as emission in Ch. 1, and as absorption in Ch. 2. Scattering due to hydrometeors in these channels apparently is of secondary importance. Furthermore we show, in the convective areas of tropical oceans, contamination due to hydrometeors in MSU Ch. 2 data is significant and it is extensive in area. Based on this study we conclude Spencer, Christy, and Grody (this issue) underestimate this contamination. © 1996 Kluwer Academic Publishers
Saenghwang Concerto <Island of the Wind> Analysis of Saenghwang melody and playing method
본 논문은 2005년 이준호 작곡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의 생황선율 및 연주법을 분석연구 하였다.
작곡자가 구분한 총 15단락을 토대로 선율흐름에 따른 악곡 분위기의 변화를 살펴보며 특징적인 화성진행과 주제선율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황선율 분석 중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에 36관 생황의 구조상으로 연주가 불가능한 부분이 발견되어 악기의 구조상 적합한 선율로 변용하여 선율을 제시하였으며 본 곡에서 사용되는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흐름에 따른 악곡 분위기는 표제음악이기에 부드럽고 맑은 음색의 생황으로 아름다운 바람의 섬을 표현한다. 악곡의 도입부인 A, B, C단락은 생황의 낮은 음역대와 긴 음가로 멀리서 불어오는 듯한 바람의 고요하고 평온한 분위기가 표현되었다. E단락과 G단락에서 출현하는 주제 동기(a), (b)가 밝고 서정적인 선율로 제시되어 시원한 섬에 자유로이 움직이는 바람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J, K단락은 짧은 악구와 쉼표를 사용한 악곡에서의 유일한 단조(minor)로, 어두운 분위기를 연출한다. 빠르고 경쾌한 장단으로 시작되는 발전부의 L단락은 E♭ major조성으로 바뀌며 장단에 맞춰 강한 에너지로 역동성 있는 바람을 표현하였다. O 단락에서 새로 제시된 동기(c)와 도입부의 주제 동기(a), (b)가 번갈아 변주되며 마치 바람에 실려 섬 전체를 훑고 다니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둘째, 생황선율 분석 중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에 36관 생황 구조상으로 연주가 불가능한 부분을 발견하여 선율을 변용하였다. 변용한 선율은 ♩=60 이상 빠르기에 16분음으로 세분화된 리듬형태로 구성된 부분이다. 선율을 변용한 이유는 36관 생황은 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운지방법이 다소 복잡하다. 또한 16분음으로 세분화 된 리듬형태에는 설음연주법과 함께 운지하며 합을 맞추어야 하는데 빠른 리듬형태의 여러 음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시 설음연주법 호흡과 운지의 불합으로 인해 선율의 연주가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악곡의 제41-46, 90-95, 114,119, 142-147, 152-157마디는 악기 구조상 연주가 불가능하여 작곡자가 제시한 선율 중 주음을 중심으로 쌍성주법 혹은 단선율의 진행형태로 변용하였다.
셋째,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에서 나타난 연주법을 분석하였다. 본 곡에서 전통주법은 쌍성주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정악에서 사용된 4도, 5도, 8도의 화성을 쌓아 여러 음을 연주하는 기법이다. 원 악보에 쌍성주법은 화성형태가 아닌 ‘S'로만 표기되었으며, 단선율로 진행되는 구간은 풍부한 음색 연출을 위해 쌍성주법으로 연주한다.
특수주법으로는 서양악기 연주법에서 차용된 대위선율, 설음연주법과 다성 꾸밈주법이 사용되었다. 본 곡에서 생황은 화음이 가능한 악기이기에 원활한 선율진행을 위해 대위선율 12회를 사용하였고, 동일음이 2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단절법[TT] 28회, 동일음이 4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복절법[TKTK]은 165회, 동일음이 3회 반복될 시 사용하는 삼절법인 [TKT] 249회, [TTK] 13회 사용되었다. 또한 내뱉는 호흡과 혀의 공기를 통해 음을 꾸며주는 플라터텅잉 24회, 주음을 기준으로 주변 음을 파열하며 주음을 꾸며주는 다성 꾸밈주법 43회가 사용되었다. 특수주법 중 설음연주법인 삼절법 [TKT]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리듬형태와 연관성이 있기에 의 셋잇단음표 동일리듬이 주로 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개량악기 발전과 더불어 서양악기 연주법에서 차용된 생황연주법들에 의해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은 작곡자의 의도대로 방대한 규모와 풍성한 음색을 연출하였고, 국악기의 한계를 극복한 작품이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의 생황선율 및 연주법을 분석하였기에 본 곡을 연주하고자 하는 생황연주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the saenghwang melody and performance method of the 2005 Saenghwang concerto <Island of the Wind> composed by Junho Lee.Based on a total of 15 paragraphs divided by the composer, the changes in the mood of the mus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melody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 harmonious progression and the theme melody were examined. In the analysis of the Saenghwang melody, a part that could not be played due to the structure of the 36th building saenghwang was found in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and the melody was transformed into a melody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instrument, and the playing method used in this song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atmosphere according to the melody flow is the title music, so it expresses a beautiful island of wind with a soft, clear tone. Paragraphs A, B, and C,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song, express the quiet and calm atmosphere of the wind blowing from a distance with the low range and long pitch of the song. The thematic motives (a) and (b) appearing in paragraphs E and G are presented in a bright and lyrical melody, allowing you to hear the sound of the wind moving freely on a cool island. The L paragraph of the power generation department, which starts with a quick and cheerful rhythm, is changed to the E♭ major composition, and expresses a dynamic wind with strong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The motives (c) newly suggested in paragraph O and the motives (a) and (b) of the topic in the introduction are alternately varied, creating an atmosphere as if you are running around the entire island in the wind.
Second, during the analysis of the Saenghwang melody, it was changed because it was impossible to play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Since the changed melody is faster than ♩=60, it is composed of a rhythmic form divided into 16th notes. The tonguing and fingers must match in the rhythmic form subdivided into sixteenth notes, but it is impossible to play because it does not fit when several fast rhythmic notes are played in sequence.
Therefore, the pieces 41-46, 90-95, 114,119, 142-147, and 152-157 were impossible to pla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musical instrument, so the main tone of the melody suggested by the composer was changed to binary or monophonic progression.
Third, the performance method that appeared in the saenghwang concerto <Island of the Wind> was analyzed. Traditional playing methods and special playing methods are used here. It is a technique of playing several notes by stacking the 4th, 5th, and 8th harmonies used in Jeongak. marked only with ‘S’, not in the form of harmony, and the section that proceeds in monophonic is played by binary star in order to produce a rich tone.
As for the special playing method, the counterpoint melody used in the Western musical instrument playing method, the lunar sound playing method, and the polyphonic embellishment method were used.Repeat twice single tonguing [TT] 28, repeat four times double tonguing [TKTK] 165, triple tonguing [TKT] 249, [TTK] 13 are used. flutter Tonguing that Used 24 times. It is used 43 times as a playing method that breaks the surrounding notes and decorates the pitch. Musical expression is enriched, and the tone and harmony that only Saenghwang has.
I hope this will be of help to those who want to play this song because they have analyzed the saenghwang melody and playing method of the saenghwang concerto <Island of the Wind>.Ⅰ. 서론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5
Ⅱ. 생황창작곡의 개관(槪觀) 7
A. 국악창작곡에서의 생황 7
B. 생황창작곡 목록 10
Ⅲ. 생황협주곡 바람의 섬 생황선율 분석연구 14
A. 작품배경 및 악곡구성 14
B. 생황선율 및 리듬분석 19
C. 생황연주법 분석 41
1. 변용선율 41
2. 생황연주법 50
Ⅳ. 결론 60
참고문헌 63
부록악보 65
ABSTRACT 7
An Analytical Study on Wolfgang Amadeus Mozart's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Major K.45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음악사적으로 우아함과 감성의 시대로 알려진 고전 시대의 대표적 인물로, 전 세계에서 가장 사랑받는 음악가이다. 그는 경이적인 음악 신동으로 각광 받아 연주 여행을 기준으로 그의 삶은 유년 시기, 잘츠부르크 시기, 빈 시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연주 여행을 통해 뮌헨, 빈, 파리, 이탈리아, 런던 등 많은 나라를 여행하였고 풍요로운 음악적 교류 안에서 각 나라의 음악 양식을 습득하여 자신의 것으로 재탄생시켰으며 미사곡, 소나타, 협주곡, 교향곡, 오페라 등 600여곡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본 논문은 고전 시기의 음악적 특징과 볼프강의 생애 및 음악을 이해함으로써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Major K.454의 형식과 음악적 색감, 개성에 따라 다양해지는 소리의 질, 바이올린과 피아노의 상관관계, 형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보다 성숙한 연주를 돕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Major K.454는 총 3악장의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 곡은 만토바의 훌륭한 기량을 갖춘 여성 바이올리니스트 레지나 스트리나사키(Regina Strinasacchi, 176~1836)와 함께 연주하기 위해 작곡된 곡으로, 세련된 형식구조와 중음주법을 통한 풍부한 색채 그리고 여성적인 우아함이 잘 나타나 있다.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주도적인 선율을 서로 번갈아 연주하여 대응하는 흐름은 반주의 역할로 그쳤던 바이올린이 독립의 의미를 넘어 피아노와 대등해진 점에 음악사적 의의를 둘 수 있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a musician loved by the whole world, was a major figure of the Classical period known for its grace and sentimentality in the history of music. Renowned as a marvelous musical genius, his life was categorized by the locations of his concert tours right from his childhood, and his days in Salzburg and Vienna. His concert tours took him to several countries like France, Italy, Germany and England. He traveled to many cities such as Munich, Vienna, Paris and London. Through the rich musical exchange during his travels, he learned the musical styles of different countries and incorporated them into his own style, thus creating over 600 works of sonata, concerto, symphony, and opera.
This study aims to bring more maturity into the performance of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 Major K.454 by analyzing the form, the musical color, the sound quality that varies with personality trai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violin and piano, among other things,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 the Classical period as well as Mozart's life and music.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 Major K.454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is Sonata, which Mozart specially created to perform it along with Mantua born Regina Strinasacchi (1761-1836), an accomplished female violinist, demonstrates a stylish structure, color from its double stop, and a feminine grace. The pairing of violin and piano, alternating with dominant melodies, makes the work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music, insomuch that the violin went beyond its independence and was now on par with the piano.Ⅰ. 서론 1
Ⅱ. 본론 3
A. 모차르트의 생애 및 음악 3
1. 고전 시기의 음악적 특징 3
2. 모차르트의 생애 및 음악 4
B. Sonata for Violin and Piano in BMajor K.454 13
1. 작품의 특징 13
2. 작품 분석 15
a. 1악장 15
b. 2악장 24
c. 3악장 31
Ⅲ. 결론 39
참고문헌 40
ABSTRAC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