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research outputs found

    산업용 및 보건용 마스크의 정전기와 여과효율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Get PDF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2021.8. 윤충식.서론: 마스크(호흡보호구)는 작업장에서 유해인자로부터 근로자의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왔으나, 황사나 미세먼지 등 일상의 환경적 요인이 악화되면서 작업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었다. 마스크의 여과기전은 중력침강, 관성충돌, 차단, 확산 그리고 정전기가 있다. 고효율의 섬유필터를 얻기 위해 섬유를 일정한 공간에 많이 넣어 촘촘하게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섬유사이의 구멍이 작아질수록 압력강하가 커지고, 숨쉬기 힘들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위해 마스크에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입자를 포집하기 시작했다. 정전기는 마스크의 여과기전 중 20-30% 정도를 차지하나, 더 미세한 입자를 거르기 우세하다. 하지만 정전기는 장기간 수분에 노출되거나 하전입자와의 접촉 등 다양한 요인들로 감소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경과, 온도, 습도 그리고 입자 노출에 따른 마스크의 정전기와 여과효율을 파악하고, 둘간의 상관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시험 마스크 선정은 4개 제조사의 1급 방진마스크(산업용)와 KF-94(보건용)마스크를 선정했다. 먼저, 마스크 여과효율에 관여하는 정전기의 영향을 보기 위해, 이소프로판올을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했다. 정전기를 제거하기 전과 후 마스크의 여과효율을 비교했다. 시간 경과 영향을 보기 위해 하룻동안 마스크 착용 온·습도 조건에 8시간을 노출시킨 후 16시간 동안은 상온에 보관했다. 이를 1, 2, 4, 8일 동안 반복했다. 그 다음 습도와 온도의 영향을 보기 위해 온도를 25℃로 고정시키고, 습도 30, 50, 98%에 노출시켰고, 습도를 50%로 고정시키고, 온도 -30, 50, 70℃에 노출 시켰다. 마지막으로, 실제 착용한 마스크를 연구하기 위해 1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1, 2, 4일을 착용 시킨 후 수거했다. 이때 착용 시 성별, 착용시간, 행동 등을 기록했다. 마스크의 정전기는 표면전위 측정기를 이용해 마스크의 겉 표면과 마스크를 자른 후 내부 필터 층별로 측정했고, 여과효율은 필터테스터를 이용하여 NaCl과 파라핀 오일에 대한 여과효율을 보았다. 연구 결과: 마스크의 정전기를 제거한 결과, 산업용마스크의 여과효율은 21.72%, 보건용마스크는 19.53%만큼 감소했다. 시간경과에 따라 한 제품을 제외한 마스크에서 정전기의 감소가 보였으나, 여과효율의 감소는 한 보건용마스크에서 관찰됐다(p0.05). 한 개의 보건용마스크에서만 여과효율의 감소가 있었다(p<0.05). 실제 착용한 마스크는 착용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정전기와 여과효율 각 11.26와 6.51%정도 감소했다. 압력강하 또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했다(10.29%). 상관성 분석 결과 습도조건에서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온도조건에서는 약한 상관성을 보였다. 고습환경에서 마스크의 여과효율 감소는 정전기 감소로 설명되었으나, 고온에서 마스크 여과효율 감소는 정전기 보다는 마스크 성질이 변형되어 다른 기전의 기여로 보였다. 결론: 마스크의 정전기와 여과효율의 감소는 습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시간경과 그리고 온도 순 이였다. 상관성 역시 습도조건에서 가장 강했으며, 온도조건에서 가장 약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마스크 시험 시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마스크 필터 내부의 정전기를 보유하기 위한 기술 발전이 앞으로도 계속 필요하다.Introduction: Respirators have been widely used to protect workers' health from airborne chemicals and bioaerosols in the workplace. However,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yellow dust and fine dust, it has become common for workers as well as all residents to wear masks. Aerosols are absorbed in the respirator via various mechanisms such as gravity sedimentation, inertial impaction, interception, diffusion, and electrostatic attraction. Howeve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respirator filter causes the pressure drop to increase as well, which can be a problem. By adding static electricity to the respirator,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an almost constant pressure drop. However, static electricity could be reduced when exposed to moisture for a long time. Contact with charged particles also reduces static electric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lectrostatic properties and filtration efficiency of respirators according to their age, changes in ambient humidity and temperature, and the mask-wearing du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d occupational-use and public-use of respirators. Methods: Respirators from four manufacture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wo types of respirators from each manufacturer were tested; occupational-use respirators (1st class) and public-use respirators (KF-94). First, in order to observe how much static electricity contributes to filtration efficiency, static electricity was removed. To study the effect of time, the respirator was exposed to mask-wearing temperature (38℃) and humidity condition (85%) for 8 hours, and subsequently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 50% RH) for 16 hours per day. This was repeated for 1, 2, 4, and 8 d. To study the effect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n the efficiency of the masks, i) the temperature was fixed at 25℃, and the samples were exposed to humidity of 30, 50, and 98%, and ii) humidity was fixed at 50%, and samples were exposed to temperatures of ‒30, 50, and 70℃. Finally, ten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who had actually worn masks for a significant duration. The respirator was collected after wearing it for 1, 2, or 4 d. While wearing, the gender, wear time, and behavioral changes were recorded among the participants. The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the respirator and on each inner layer filter (sampled after cutting the respirator) were measured using a surface potential meter,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was measured for NaCl and paraffin oil using a filter tester. Results: Owing to the removal of static electricity from respirators, the filter efficiency of 1st class and KF-94 respirators decreased by 21.72% and 19.53%, respectively. Over time, a decrease in static electricity was observed in all respirators except for one product, and a decrease in filtration efficiency was also observed in one KF-94 (p0.05), unlike humidity conditions. There was a decrease in filtration efficiency for only one KF-94 (p<0.05). The masks that were actually worn by the participants exhibited a decrease in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by 11.26% and 6.51%, respectively, as the wearing duration increased. The pressure drop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time (10.29%).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with respect to changing humidity; however, the correlation was weaker at variable temperature conditions. The decrease in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respirators in high humidity environments can be explained by the reduction in static electricity, however, the decrease in filtration efficiency at high temperatures was found to be the result of deformation of respirator properties rather than effect of static electricity. Conclusion: The rate of decrease in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of respirator was the highest for increasing humidity, followed by increasing time lapse and temperature. We sugges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while testing a mask. Furthermore, technological advanc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for retaining static electricity inside respirator filter.1. Introduction 1 2. Materials and Methods 4 2.1. Samples (Respirators) 4 2.2. Experimental design 4 2.3. Instrumentation 6 2.4. Data analysis 7 3. Results 8 3.1. Effect of electrostatic force on filtration efficiency 8 3.2. Effect of aging on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9 3.3. Effect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n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16 3.4. Variation of static electricity and filtration efficiency according to mask-wearing duration 29 4. Discussion 32 5. Conclusion 36 국문초록 42석

    고분 내부의 환경 분석을 통한 석실 및 벽화의 보존 방안 연구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건축학과, 2015. 2. 김광우.고분은 습한 내부 환경에도 불구하고 밀폐된 상태의 조건하에서 오랜 시간 유지되어 왔지만, 발굴과 함께 일반에게 공개되면서부터 무분별한 관리와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미생물의 증식 등으로 열화가 진행되어왔다. 기존의 고분 보존 연구는 고분이라는 공간의 환경적 특성과 자재에 따른 보존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공조기를 설치 및 운전한 결과, 고분의 훼손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학술적?역사적?고고학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임에도, 온전하게 보존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고분의 보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분의 보존을 위해 요구되는 환경 조건과 보존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 후 투습?전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보존방안 적용에 따른 고분 내부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고분의 보존 대상은 벽화로, 벽화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미생물이 생장하지 않으면서 벽체가 물리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환경 조건은 고분 내 벽체와 유사한 의사시료에 균주 현탁액을 접종하여 항온항습 챔버와 고분 내 배치를 통한 온?습도 조건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온도 15-18℃, 습도 97-99%가 유지되어야 할 것을 보존환경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강한 기류는 벽화 및 전돌의 풍화와 수분증발의 원인이 되므로 인공적인 기류를 발생시키지 말아야 한다. (2) 공조기를 통한 환경 제어는 일반 건물과 달리 벽체 구성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한 고분에서는 제어의 한계가 있으며, 높은 습도로 인해 기기의 고장 등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하므로, 패시브한 방법으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차단하여 온도를 저감하여야 한다. 자연 상태에서 고분 내의 습도는 97% 이상을 유지하므로, 온도가 18℃ 이상인 기간의 온도를 낮추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단열 성능 향상, 일사 차단, 주변 환경 완화, 침기 차단하여 외부의 환경 완화 및 열을 차단해야 한다. 사람의 출입은 온?습도의 변동 및 외부 환경에의 노출 원인이 되므로 출입에 관한 운영 방안을 규정해두고 이를 준수하도록 해야 한다. (3) 고분에 포함된 열과 수분에 따라 각 요소의 이동이 영향을 받는 고분 내 환경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전열?투습 해석 프로그램 중 WUFI Plus를 선정하였다. 기존 연구와 도면을 참고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정을 통하여 모델링을 완성하였다. 앞서 제시된 보존방안의 적용 시, 온도와 습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환경의 확보 여부와 위험기간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지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단열 성능 향상시키는 것이 고분의 보존을 위한 온도 조건을 만족시키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일사의 차단과 주변 환경의 완화는 내부 온도가 낮아졌고, 기밀 성능의 향상은 연교차를 감소시켰으나 보존환경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사람 출입 시 인체의 발열로 온도가 높아지며 순간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아졌다. 불가피하게 고분 내에 사람이 출입해야할 때에는 인체 발열 등의 영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운영방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은 고분의 보존환경에 대한 기준과 지침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훼손되어가는 고분의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제 1 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제 2 장 예비적 고찰 2.1 문화재의 보존환경 2.1.1 문화재의 보존 2.1.2 유물의 보존환경 2.2 고분의 보존환경 2.2.1 사적을 보존하기 위한 기법 2.2.2 고분과 고분벽화 2.2.3 국내 고분 보존 연구 2.2.4 국외 고분 보존 연구 2.3 소결 제 3 장 실측을 통한 고분의 열수분 환경 분석 3.1 대상 고분 개요 3.1.1 송산리 6호분 3.1.2 보존연혁 3.1.3 기설 공간 현황 3.2 고분 내부 환경 실측 3.3 고분 내부 환경 실측 결과 분석 3.4 실측 자료를 이용한 고분의 열수분 이동 메커니즘 분석 3.4.1 열수분 이동 고찰 3.4.2 고분의 열수분 이동 메커니즘 3.5 소결 제 4 장 고분의 석실 및 벽화 보존 방안 4.1 개요 4.2 고분의 보존환경 기준 설정 4.2.1 고분의 훼손 요인 4.2.2 고분의 보존환경 기준 4.3 고분의 벽화 및 석실 보존 방안 4.4 소결 제 5 장 시뮬레이션을 통한 보존 방안의 검증 및 선정 5.1 시뮬레이션 개요 5.1.1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선정 5.1.2 시뮬레이션 모델 5.1.3 시뮬레이션 케이스 5.2 시뮬레이션 결과 및 분석 5.3 소결 제 6 장 결 론 참고 문헌 ABSTRACTMaste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Get PDF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1.8. 조인호.This study focuses on my works from 2018 to 2020 presentin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 Through this paper, I explore and organize the subject and context of my works and lay the foundation for following works. Humans live together with memories. Memories are accumulation of the data that you have collected throughout your life, that defines who you are at the moment and also tells you what choices you will make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one should store memories that fade away frequently regardless of one’s will and presents the methods of storing them. In addition, I present my memories that are stored and show the methods of storage. Memories embodied in my work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memory of traveling and the other is of childhood. By decomposing and combining images,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y’is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aim here is to recombine scattered and receding images of memory and preserve the moments.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1, I elaborate on how I arrived at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briefly present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this paper, including the purpose of my works and artistic expressions in them.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torage of memories’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 Based on this definition, I redefine the concept from my point of view and review artwork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that can be considered as examples of memory storage. In art history, the storage of memories is represented in forms of restoration and resurrection. I examine the paintings from the Yuan Dynasty and sculptures from the Renaissance period as examples. Then I show the contents of my storage of memories. The memories I have can be divided into memories of traveling and memories of childhood, and my works are created by dismantling the images I experienced at the time into pieces and combining them again on the screen. I present my works one by one and elaborate on the meaning and the content of each work. Chapter 3 deals with the way memory images are dismantled and reassembled. As the existing image is dismantled into pieces, the shape and size of the image are distorted an through reassembling, listing and overlapping, new figures arise on the screen. Images represented through this process are uncanny, encompassing features of both abstract art and figurative art. Chapter 4 deals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artworks and materials. My painting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style, which are‘the centralized composition’and‘the irregularly-listed composition’. After the making of the artwork, I checked whether the artwork falls into one of the two groups through an eye tracking analysis. Subsequently, I explain the work materials such as pencils, paper, coloring, and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making process of my works. Finally, I conclude by organizing the works embodyini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further discussing on the direciton of my artworks.본 논문은 2018년부터 현재까지의 나의 작품세계에 대한 연구를 다루었으며‘기억의 보관과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회화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이 주제를 토대로 작품의 제작 배경과 목적, 내용, 조형적 특성과 재료기법에 관하여 분류하고 앞으로 진행될 작업의 이론적, 재료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나’는 누구인지, 왜 지금 이 일을 하고 있는지 문득 나의 존재에 대해 자각하거나 고민에 빠질 때가 있다. 나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에 앞서 과거에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떠한 경험과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그 결과가 현재의 나의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정체성에 대해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쌓아온 경험과 기억은 앞날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갈림길에 놓였을 때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인생의 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억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기억을 보관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는 어떠한 기억을 보관하고 있으며 기억의 보관은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밝혀보았다. 먼저‘기억의 보관’에 관한 사전적 정의를 통해 그 개념을 파악하고 동양의 철학자들에 의해 기억이 어떠한 의미로 풀이되고 있는지 ‘마음’과 연관 지어 설명하였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고 있는지 SNS에서 사진을 게시하고 보관하는 행위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역사적으로 기억의 보관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와 그 가치에 대하여 철학적, 미술사적 접근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자들이 내린 기억의 정의를 살펴본 뒤 그 내용을 바탕으로‘기억의 보관’에 관한 의미를 다시 정의 내렸다. 이어서 이전 시대의 답습과 복고에 대한 열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미술사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그림을 사례로 가지고 와 고찰해보았다.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그 양상을 나눌 수 있으며 동양 중에서도 특히 원나라 시기‘의고사상’을 통해 그 당시 회화기법이 답습으로 이루어졌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서양의 르네상스 시기에서는 미의식의‘부활’의 모습에 대해 대리석 조각을 사례로 가지고 왔으며 미의 내용적 유사함을 비교하여 답습과 복고의 흔적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나의 자아탐구를 통하여 어떤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기억은 크게 여행과 유아기로 나뉜다. 각 기억들이 시각화 된 작품을 살펴보며 그림을 그리게 된 내용과 과정 그리고 기억을 보관하는 것의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기억의 보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억을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의 모양을 정하고 이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어야 하는지 물리적인 포장과 개념으로써의 포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식에 대해 아이디어스케치를 제시하였고 후자는 기억 이미지를 선택, 추출, 가공, 재조합하여 새로운 기억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때 언캐니의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면을 구성하고 그 안에 대상을 배치한 결과를 중앙 집중식 구도와 불규칙한 나열 구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으로‘아이트래킹’을 시도해보았다. 스마트폰의 시선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림을 감상한 후 시선이 그림의 어느 지점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또 시선이 그림 안에서 어떤 순서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용한 재료와 기법의 특징을 연필, 종이, 채색기법, 마감처리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앞서 설명한 내용적 부분과 형식적 부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림 제작 과정과 함께 연구하였다. 나의 작업은 동양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바니쉬와 미디엄을 통한 질감표현과 마감처리를 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키치적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반짝이는 질감의 마감 처리와 그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기억의 보관과 방법’이라는 주제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나라는 추상적 개념이 조형언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물과 다양한 시도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회로 삼았으며. 그 안에서 나라는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을 통해 연구 가치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Ⅰ. 머리말 1 Ⅱ. 기억의 보관 9 1. 기억의 보관에 대한 이해 10 1) 기억의 보관에 대한 정의 10 2) 기억을 보관하는 이유와 가치 15 3) 작품을 통해 살펴본 기억 보관의 양상 28 2. 내 기억의 보관 39 1) 정체성 탐구와 향수 39 2) 여행과 유아기(乳兒期) 44 Ⅲ. 기억의 보관 방법 88 1. 기억의 보관에 관한 아이디어스케치 89 1) 기억의 형상화 91 2) 기억의 포장 방식 94 2. 이미지의 해체와 조합 100 1) 이미지 선택과 형태의 왜곡 106 2) 크기의 왜곡과 이미지의 중첩 112 Ⅳ. 화면의 구도와 재료기법 119 1. 화면의 구도 120 1) 중앙 집중식 구도 122 2) 불규칙한 나열 구도 133 2. 재료기법 142 1) 흑연의 활용 142 2) 바탕과 표현매체로써의 장지 활용 149 3) 선명한 색채와 반짝임의 표현기법 152 4) 미디엄을 이용한 마감처리 160 Ⅴ. 맺음말 164 참고문헌 170 작품집 173 Abstract 189석

    Effects of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nd 11ß-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on sebogenesis in SZ95 sebocytes

    Get PDF
    Dept. of Medical Science/박사A causative link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and acne has long been postulated. When the activity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HPA) axis system is increased due to stress, it results to the secretion of various hormones, such as the melanocortins and glucocorticoids. It is well known that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causes lipogenesis in cultured human sebocytes. Although corticosteroids cause immunosuppress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t is clinically well known that systemic or topical glucocorticoid treatment aggravates an acneiform reaction. The 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HSD11β1) regenerates active glucocorticoids from inactive forms and plays a central role in regulating intracellular glucocorticoid concentration. First of all, the effect of α-MSH was investigated on the expression of its receptors, MC1R and MC5R,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ed status of sebocytes an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oll-like receptor (TLR) 2. Additionally, different effects of α-MSH on the lipogenesis were investigated. Secon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HSD11β1 is expressed in sebocytes and cytokines affect on the expression of HSD11β1. Similarly, whether HSD11β1 affects sebogenesis on sebocytes was also investigated. Consequently, MC5R was only observed in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Lipid droplets were increased by α-MSH in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Moreover, SREBP-1c mRNA was increased by α-MSH, and SREBP-1c mRNA was more increased in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botrophic effect of α-MSH in SZ95 sebocytes via MC5R is superior to that of the sebotrophic effect happening via MC1R. The IP3 receptor antagonist and the PLC inhibitor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SREBP-1c mRNA which was induced by α-MSH in both un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α- MSH induces sebogenesis in SZ95 sebocytes by induction of SREBP-1c via IP3/PLC pathway. The expression of HSD11β1 in SZ95 sebocytes was increased by dexamethasone. An increment of HSD11β1 expression was inhibited by RU-486, glucocorticoid receptor (GR) antagonist, PF-915275, HSD11β1 specific inhibitor, and pioglitazone, PPAR-γ agonist. Similarly, dexamethasone increased sebogenesis in SZ95 sebocytes. In addition, RU-486, PF-915275, and pioglitazone inhibited sebogenesis induced by dexamethasone in SZ95 sebocytes. Moreover, dexamethasone increased the expression of SREBP-1a and 1c mRNA. The increment of SREBP-1a and 1c mRNA expression was inhibited by RU486, PF-915275, and pioglitazone. These data demonstrate that HSD11β1 involves dexamethasone-induced lipid synthesis, which is induced by SREBP-1a and 1c via GR. α-MSH induced the gene expression level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α, IL-6 and TNF-α in both un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IL-1α, IL-6 and TNF-α induced HSD11β1 gene expression level in SZ95 sebocytes and α-MSH induced TLR-2 gene expression in differentiated SZ95 sebocytes. Dexamethasone also induced TLR-2 gene expression in SZ95 seb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α-MSH and dexamethasone may involve inflammatory and immune reaction in acne vulgaris lesions. To conclude, psychological stress induced α-MSH induced not only sebum secretion but also inflammation in acne vulgaris. Furthermore, the following findings suggest that receptors of α-MSH and HSD11β1 could be critical factors for the medical treatment of acne vulgaris.ope

    Development of Inundation Analysis Technique by Combination of Storm Surge and Severe Water Waves in the Coastal Zone

    Get PDF
    최근, 지구온난화 및 변화된 해양환경의 영향으로 고파랑을 동반한 태풍 및 폭풍해일로 인하여 연안재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우리나라 남해안의 연안역은 태풍의 진로상에 위치되어 거의 매년 태풍으로 인한 막대한 연안재해를 입어왔다. 이러한 피해는 폭풍해일이 발생하는 지역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태풍의 규모와 강도가 커지고 있고, 향후 발생빈도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재해규모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폭풍해일의 경우에 최대폭풍해일고가 만조와 중첩되면서 해안구조물을 월류하여 제내지에서 많은 인명손실과 막대한 재산피해를 준다. 폭풍해일에 의한 재해를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해서 재해발생이 예상되는 모든 연안지역에 대해 지역적 특성과 관련된 폭풍해일고의 변동 양상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심해설계파를 고려하여 부산 연안역에서의 폭풍해일고의 변동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치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과거 부산 연안역에 심각한 피해를 발생시킨 태풍 Sarah(5914), Thelma(8705) 및 Maemi(0314)에 대해서 폭풍해일고의 검토를 위한 수치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유대기풍과 해상풍을 초기조건으로 MASCON모델에 의한 지형의 영향이 고려된 새로운 바람장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SWAN모델에 적용하여 천해파랑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부산 전연안역에 대해서 수심 20m내외 위치에서의 기존의 심해설계파제원과 신심해설계파제원에 의한 천해설계파를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추정된 폭풍해일고를 고려한 설계조위와 신심해설계파로부터 산정된 천해파랑에 대해 VOF법으로 월파량을 산정함으로써 고파랑과 폭풍해일의 결합에 의한 침수해석을 수행할 수 있는 수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현지에 적용하여 그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cently, coastal disasters occur frequently by the typhoon and storm surge which accompany the severe water waves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the oceanic environment change. Coastal zon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which is located on the course of the typhoon, has been experienced a vast coastal disasters due to the typhoon almost every year. These damages are greatly dependent on the local peculiarities of the region which storm surge occurs. The scale and intensity of the typhoon are becoming large, and its occurrence frequency will increase in the future. Also, the scale of disaster due to these typhoons will increase too. Especially, in the case of storm surge, if the maximum storm surge height which is increased by combining with high tide overflow the coastal structure, it could result in many loss of life and badly property damage in the inland.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recurrence of the disaster due to the storm surge, it is ver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storm surge height related to the local peculiarities at every coastal areas which occurrence of the disaster is expected. In this study, considering new deepwater design wave, the storm surge was simulated to examine its fluctuation characteristics at the coast of Busan. And typhoon of Sarah(5914), Thelma(8705) and Maemi(0314), which caused terrible damage to the coastal area in the coast of Busan in the past, were taken as an object of the storm surge simulations. In addition, new wind field, which calculated by MASCON model considering effect of topography, was estimated. Free atmospheric wind and sea wind were used as its initial conditions. Estimated new wind field data was applied to SWAN model. And, by using its results, characteristics of shallow wave were investigated. Results of shallow waves by consideration existing deepwater design wave and new deepwater design wave were compared about water depth 20m for the coast of Busan. Design water level considering storm surge, which was estimated by shallow wave, and shallow wave estimated by new deepwater design wave were applied to computation of overtopping rate. Also, calculation of overtopping rate was used VOF method. Using the overtopping rate estimated by these methods, technical skill of inundation analysis technique by combination of storm surge and severe water waves was developed. And, by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to actual place, validity of numerical analysis was confirmed.ABSTRACT = ⅰ 요약 = ⅲ 目次 = ⅴ LIST OF FIGURES = ⅷ LIST OF TABLES LIST OF SYMBOLS 제1장 서 론 = 1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1.2 연구의 구성 = 3 제2장 이론적 배경 = 4 2.1 폭풍해일모델 = 4 2.1.1 개 요 = 4 2.1.2 기초방정식 = 4 2.2 MASCON모델 = 10 2.2.1 태풍시의 바람 = 10 2.2.2 기초방정식 = 11 2.3 SWAN모델 = 14 2.3.1 개 요 = 14 2.3.2 기초방정식 = 14 2.3.3 바람에 의한 파랑으로의 에너지유입항 = 15 2.3.4 파랑에너지의 소산 = 16 2.3.5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한 에너지전달항 = 17 2.4 VOF법 = 18 2.4.1 개요 = 18 2.4.2 기초방정식 = 18 2.4.3 이류방정식 = 20 2.4.4 무반사모델 = 21 (1) 무반사 조파시스템 = 21 (2) 에너지감쇠대 = 21 2.5 침수범람모델 = 23 2.5.1 개요 = 23 2.5.2 기초방정식 = 23 제3장 수치해석결과 = 26 3.1 폭풍해일 = 26 3.1.1 태풍경로 및 조건 = 26 3.1.2 대상영역 = 30 3.1.3 수치계산의 검증 = 36 (1) 기압 = 36 (2) 폭풍해일고 = 38 3.1.4 기압장과 바람장의 해석 = 40 (1) 태풍 Sarah의 기압장과 바람장 = 40 (2) 태풍 Thelma의 기압장과 바람장 = 40 (3) 태풍 Maemi의 기압장과 바람장 = 40 3.1.5 폭풍해일고 = 47 3.2 MASCON모델에 의한 바람장 = 53 3.2.1 대상영역 및 조건 = 53 3.2.2 타당성 검증 = 54 3.3 SWAN모델에 의한 천해파랑 = 57 3.3.1 대상영역 및 조건 = 57 3.3.2 수치해석결과 = 67 (1) 녹산국가산업단지 = 67 (2) 광안리 인근해역 = 71 (3) 삼익아파트 전면에서의 파고 및 주기산정 = 71 3.3.3 천해파랑의 비교 = 80 (1) 구심해설계파랑 조건에 의한 천해파랑 = 80 (2) 신심해설계파랑 조건에 의한 천해파랑 = 88 (3) 천해파고의 비교 = 92 (4) 수심 20m에 있어서 파고 및 주기산정 = 92 3.4 월파량산정 및 범람해석 = 99 3.4.1 월파량산정 = 99 3.4.2 범람예측 = 101 제4장 결 론 = 104 4.1 폭풍해일 = 104 4.2 MASCON모델 = 105 4.3 SWAN모델 = 105 4.4 월파량산정 및 범람해석 = 106 = 10

    Estimation of Storm Surge and Tsunami Height at Southeastern

    Get PDF
    검토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과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얻어진 결과는 마산만의 인근연안역을 비롯한 타지역에서의 연안사업 및 연안방재사업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2) 지진해일 1)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수치해석기법을 통해 1983년의 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의 전파속도에 대한 계산치와 관측치를 비교&#8226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2) 1983년의 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에 대한 수치해석결과에서 관측치와 거의 동일한 전파속도와 전파양상을 나타났으며, 지진해일이 갖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러시아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대화퇴의 부근에서 일본의 남쪽으로 굴절되는 성분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1983년의 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의 발생한 최고수위는 사후조사에서 얻어진 최고수위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지역에서 수위변동의 관측치와 수치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한 결과, 제 1파가 도달하는 시간은 관측치와 일치하고 최저 및 최고수위의 값과 그의 변동양상은 정성적으로는 일치하지만 정량적인 관점에서는 다소 불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각 지역에서 주변해역의 개발로 인해 지진해일 내습 당시의 지형과 현재의 지형이 다소 상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지진공백역에서 발생한 가상지진의 경우도 그의 전파속도는 이전에 발생한 지진해일에 대한 해석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며, 단층파라미터의 차이에 따라 각 가상지진해일에서 상당한 수위분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과거에 내습한 태풍 Sarah, Thelma, Maemi의 수치시뮬레이션으로부터 부산 서부연안에서는 태풍 Maemi가, 부산 동부연안에서는 태풍 Sarah가 가장 높은 폭풍해일고를 나타내었다. 2) 부산 서부연안에서는 협수로로 인하여 수괴의 진행이 차폐되고, 만의 길이가 길고 수심이 얕은 지형적인 특성으로 조위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에 부산 동부연안은 대체적으로 평활한 해안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형적인 영향보다는 태풍의 특성(중심기압, 이동속도, 태풍반경)과 이동경로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3) 본 연구의 범람해석결과를 현지조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 및 마산만 인근연안역에서 범람해석에 관한 기존의 수치해석결과와 비교&#8226검토하여 그 특성들을 평가하였다. 이상의 과정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폭풍해일 1)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수치해석기법을 관측치와 비교&#8226검토하였다. 산정된 천해파랑을 대상지역 호안에 적용하여 VOF법으로 월파량을 산정한 후 월류량을 추정하고, 이로부터 제내지의 침수현상을 해석하여 범람을 예측하였다. 또한, 1983년의 동해중부지진과 1993년의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한 지진해일과 지진공백역을 대상으로 가상지진해일을 수치시뮬레이션하여 남동해연안에서의 수위변동, 전파시간 등과 같은 지진해일의 특성을 검토하고,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남동해연안의 각 지점에서 최대수위상승고와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등을 비교&#8226세계적으로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며, 그 규모도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진은 그 자체로서도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2010년 칠레지진, 2004년 인도양 지진과 같이 해저에서 발생할 경우에는 그로 인한 지진해일로 그 피해규모는 더욱 증대된다. 우리나라도 1983년과 1993년에 동해의 일본 서부연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에 의해 동해연안에 상당한 피해를 입힌 바가 있다. 이와 같은 지진해일의 발생과 피해상황으로부터 단층활동이 활발한 것을 알 수 있고, 지진해일의 발생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지진해일의 위험성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최근 지구온난화 및 변화된 해양환경의 영향으로 고파랑을 동반한 태풍 및 폭풍해일로 연안재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지구온난화 등에 의한 해수온도의 상승은 폭풍해일의 발생빈도와 재해규모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풍 Sarah(5914), Thelma(8705), Maemi(0314)를 대상으로 부산연안의 각 지역별로 상세한 폭풍해일고를 추정하고, 마산만 연안에서는 폭풍해일고를 추정함과 동시에 폭풍해일에 의한 배후역의 범람현상을 수치적으로 규명하였다. 기존의 태풍모델로 산정된 해상풍과 MASCON모델로 산정된 해상풍을 SWAN모델에 적용하여 천해파랑을 산정하고 관측치와 비교&#8226목 차 ABSTRACT i 요약 iv 목차 vii LIST OF TABLES xi LIST OF PHOTOS xiii LIST OF FIGURES xiv 제 1장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1.1 폭풍해일 1 1.1.2 천해파랑과 침수 및 범람 4 1.1.3 지진해일 5 1.2 연구의 구성 9 10 제 2장 폭풍해일의 수치시뮬레이션 2.1 서언 12 2.2 기초방정식 12 2.3 유한차분근사 16 2.3.1 유한차분근사 16 2.3.2 외해경계조건 18 2.3.3 이동경계조건 21 2.4 해석결과 및 검토 23 2.4.1 태풍경로 및 조건 23 2.4.2 대상영역 25 2.4.3 수치계산의 검증 27 2.4.4 기압장과 바람장의 해석 31 2.4.5 폭풍해일고 36 2.4.6 폭풍해일에 의한 범람해석 41 2.5결언 47 48 제 3장 천해파랑과 침수 &#61598범람해석 134 5.5 지진해일 134범람해석모델 83 84 제 4장 지진해일의 수치시뮬레이션 4.1 서언 86 4.2 기초방정식 88 4.3 유한차분근사 93 4.3.1 유한차분근사 93 4.3.2 외해경계조건 93 4.3.3 이동경계조건 93 4.3.4 단층파라미터 93 4.4 해석결과 및 검토 95 4.4.1 단일격자모델 95 4.4.2 복합격자모델 110 4.5 결언 129 131 제 5장 결론 5.1 폭풍해일 132 5.2 MASCON모델 133 5.3 천해파랑 133 5.4 침수&#61598범람해석 70 3.4 결언 82 3.4.1 MASCON모델 82 3.4.2 SWAN모델 82 3.4.3 침수&#61598범람모델 58 3.3 해석결과 및 검토 60 3.3.1 MASCON모델에 의한 바람장 60 3.3.2 SWAN모델에 의한 천해파랑 61 3.3.3 침수&#61598범람의 수치시뮬레이션 3.1 서언 49 3.2 해석모델의 개요 50 3.2.1 SWAN모델 50 3.2.2 MASCON모델 53 3.2.3 수치파동수로 55 3.2.4 침수&#6159

    HOXB5 Directly Regulates the Expression of IL-6 in MCF7 Breast Cancer Cells

    Get PDF
    Purpose: Among the survivors of a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STEMI), higher platelet volume indices (mean platelet volume, MPV; platelet distribution width, PDW) are associated with impaired reperfusion and ventricular dysfun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elet volume indices and 30-day mortality with STEMI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patien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STEMI between January 2011 and May 2016. The platelet volume indices were measured serially, using an automatic hematology analyzer, from admission to 24 hours after admission. The prognostic value of MPV, PDW for the 30-day mortality was determined by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alysis. Results: A total of 608 STEMI patients, who underwent reperfus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higher MPV (hazard ratio [HR], 1.414;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4-1.953; p=0.035) and PDW (HR, 1.043; 95% CI, 1.006-1.083; p=0.024) values at time-24 (24 hours after admiss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the 30-day mortality. A MPV value >8.6 fL (HR, 5.953; 95% CI, 2.973-11.918; p56.1% (HR, 5.117; 95% CI, 2.640-9.918; p<0.001) at time-24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30-day mortality. Conclusion: The platelet volume indices without an additional burden of cost or time, can be measured rapidly and simply. Higher MPV and PDW levels predict independently the 30-day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EMI after PCI.ope

    자돈 사료 내 종류별 핵산 첨가가 자돈의 성장성적, 혈액성상 및 설사빈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돈 사료 내 종류별 핵산 첨가가 공격접종 된 이유자돈의 해부학적 특성 및 설사에 미치는 영향 비교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2019. 2. 김유용.Weaning is one of the most stressful phase for piglets. Because of weaning stress, weaning pigs are generally showed a reducing digestion, absorption of nutrients and increase immune challenges, oxidative stress, or diarrhea, which in turn intervenes with feed intake and growth performance (Salobir et al., 2005Kim et al., 2010). It would affect commercial farms productivity by causing disease and an increment of mortality of pigs. Until a decade ago, antibiotic has been widely used as AGP (antibiotic growth promoter)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mmercial farms with increasing feed efficiency, promoting growth performance, decreasing incidence of diarrhea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animal diets. However, AGPs have been prohibited in 1986 from Sweden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and forbidden in the EU in 2006. In Korea AGPs were also prohibited from July 1st in 2011 because antibiotic resistant-bacteria were found in humans and livestock. The swine industry has been looking for some potential alternatives for in-feed AGPs in starter diets of pig to alleviate weaning-associated growth retardation. Among a number of alternatives such as probiotics, prebiotics, enzymes and zinc, nucleotide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occurrences of diarrhea in weanling pigs those are most often related to infections with bacteria such as E.coli. However, very lack of information is available related with nucleotide especially purine nucleotide effects on immune system,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health for young animals. Therefo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an effect of different type of nucleot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and diarrhea score in weaning pigs (Exp. 1) and effect of IMP (Inosine Mono-Phosphate) and GMP (Guanosine Mono-Phosphate) use on anatomic trait and diarrhea of weaning pigs under E.coli challenge was also evaluated (Exp. 2). The Exp. 1 was designed with a total of 288 crossbred ([Yorkshire x Landrace]) x Duroc) pigs (7.17 ± 1.176kg BW) were allotted into six treatments considering sex and initial body weight in 6 replication with 8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reatments were as followed CON: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5: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10: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10%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2.5: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25% + GMP 0.02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G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a: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GMP 0.05% + ZnO 80 ppm (Phase I / Phase II). The supplementing nucleotide showed positive results in growth performance especially IMP 0.025% + GMP 0.025% and IMP 0.05% revealed the best growth performance among treatments. In blood profiles of EXP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munoglobulins (IgG, IgA and IgM), TNF-α and IL-6 among treatments. In conclusion, supplementing IMP 0.025% + GMP 0.025% showed the highest results in BW, ADG, ADFI, and G:F ratio. The Exp. 2 was designed with a total of 45 crossbred ([Yorkshire x Landrace]) x Duroc) pigs (8.84 ± 0.20kg BW) were allotted into one of five treatments considering sex and initial body weight with 9 pigs per pen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RCB) design. Treatments were as followed I5: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10: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10%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G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a: corn-soybean meal basial diet + IMP 0.05% + GMP 0.05% + ZnO 80ppm (Phase I / Phase II). Weaning pigs were orally challenged with E.coli K88. Supplementing IMP 0.025% + GMP 0.025% improved immune system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weanling pigs. Nutrient digesti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The piglets were fed IMP 0.025% + GMP 0.025% mostly had greater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compared with control treatment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ncidence of diarrhea among treatments. Consequently, morphological changes in small intestine, such as longer villus height and deeper crypt depth, were observed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in general was highly affected by supplementation of IMP 0.025% + GMP 0.025% to show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nutrient absorption and utilization.본 연구는 자돈 사료 내에서 성장 촉진형 항생제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성장 성적을 향상시키고 강한 항균 효과를 갖으며 영양소 소화율 을 높인다는 공통점이 있는 핵산의 첨가에 따른 자돈에 있어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이번 실험이 수행 되었다. 본 실험은 2번의 사양실험 을 통해 성장성적, 혈액분석, 영양소 소화율, 소장의 형태학적 변화, 설 사 빈도를 측정하였다. 사양실험1을 위해 평균체중 7.17 ± 1.176 kg 의 삼원교잡종 ([Yorkshire × Landrace] × Duroc) 이유자돈 288 두를 공시하여 총 6주 동안 (자돈 전기 3주와 자돈 후기 3주)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양실험2을 위해 평균체중 8.84 ± 0.2 kg의 삼원교잡종 ([Yorkshire × Landrace] × Duroc) 이유자돈 45두를 공시하여 총 6주 동안 (자돈 전기 3주와 자돈 후기 3주)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양실험 1의 실험돈들은 체중과 성별에 따라 6처리 6반복, 펜 당 8마리씩 난괴법 (RCBD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 하여 수행되었고, 사양실험 2의 실험돈들은 체중과 성별에 따라 5처리 1반복, 펜 당 9마리씩 난괴법 (RCBD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처리구는 다음과 같다. 실험사료의 경우, 처리구는 다음과 같다: CON: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5: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 + I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10: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 + IMP 0.10%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2.5: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 + IMP 0.025% + GMP 0.02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 + IMP 0.05% + GMP 0.05% + ZnO 500 (Phase I) / 300ppm (Phase II)IG5a: 옥수수 -대두박 기초사료 + IMP 0.05% + GMP 0.05% + ZnO 80 ppm (Phase I / Phase II). 사양실험 1의 결과, 자돈 전기구간에선 체중 (BW), 일당증체량 (ADG), 일당사료섭취량 (ADFI) 그리고 사료 요구율 (G:F ratio)에서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돈 후기구간에선 일당사료섭취량 항목에서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CON 처리구의 수치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 < 0.05). 자돈 사료 내 핵산의 첨가는 이유자돈의 성장성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 되며 핵산의 첨가량을 IMP 0.025% + GMP 0.025% 과 IMP 0.05% 첨가 하였을 때 성장성적을 촉진 한다. 혈액성상의 경우 사료 내 핵산의 첨가를 IMP 0.025% + GMP 0.025% 과 IMP 0.05% 까지 해도 혈액 내 immunoglobulin (IgG, IgA, IgM), TNF-α 그리고 IL-6 과 관련하여 부정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산화아연의 첨가수준 또한 80 ppm 까지 내려 도 혈액성상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 된다. 실험 전기간 동안 혈액성상, 영양소 소화율, 설사 빈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양실험 2의 결과, E.coli challenge 상황 하에서 종류별 핵 산의 첨가 및 첨가량 조절이 소장, 대장 및 간의 무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장의 무게에 있어서는 IMP 단독 사용보다는 IMP와 GMP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소장 발달 및 방어능력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항목에서 사료 내 ZnO를 감량하여도 다른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사료 내 ZnO를 핵산이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장의 길이에 있어 IMP의 단독 사용보다는 IMP와 GMP를 혼합하여 쓰는 것이 더 나을 것으로 사료되며 ZnO를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장 벽의 morphology에 있어 IMP와 GMP의 혼합제재 사용이 공격접종 이후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고 회복을 돕는 것으로 사료되며, 핵산제재 사용이 사료 내 ZnO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IMP 0.05%, IMP 0.025% + GMP 0.025% 첨가는 체중, 일당증체량, 일일사료섭취량, 사료 효율에 있어서 가장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 또한, 소장의 형태학적 변화에 있어서도 대체로 다른 처리구의 자돈들보다 더 긴 융모 길이와 융와 깊이를 보여 영양소 흡수 및 이용에 있어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Summary ················································································································ i Contents ·············································································································· ⅳ List of Tables ···································································································· ⅵ List of Figures ··································································································· ⅷ List of Abbreviations ························································································ ⅸ Ⅰ. Introduction ·································································································· 1 Ⅱ. Review of Literature ·················································································· 3 1. Background ································································································ 3 1.1. Problems of post-weaning stress in piglets ································· 3 1.2.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mall intestine ······························· 5 1.3. Alternative additives for AGP (Antibiotic Growth Promoters) ··· 7 2. Functions of Nucleotide ········································································· 8 2.1. Structure of Nucleotide ································································· 8 2.2. Types of Nucleotide ········································································ 9 2.3. Metabolic Pathway and Biosynthesis of Nucleotide ················ 11 2.4. Functions of Nucleotide as a Feed Additive ··························· 15 2.4.1 Growth performance / Palatability enhancement / Digestive enzyme secretion promotion ·································· 16 2.4.2 Immunity, Stress Tolerance Effect ········································· 19 2.4.3 Improvement in Gut Health ···················································· 22 2.4.4 Nucleotide as a Antibiotic Alternative ·································· 25 3. Nucleotide on Piglet Performance ························································· 26 3.1. Effects of Nucleotide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piglet ···· 26 3.2. Effects of Nucleotide levels on immune system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piglet ···················································· 28 Ⅲ. Effect of Different Type of Nucleot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Blood Profile, Diarrhea Score and E.coli Challenge in Weaning Pigs Diets. ················································································· 30 Abstract ······································································································ 30 Introduction ································································································ 33 Materials and Methods ············································································ 35 Results and Discussion ············································································ 41 Conclusion ································································································· 53 Ⅳ. Literature cited ···························································································· 69 Ⅴ. Summary in Korean ··················································································· 90 Ⅵ. Acknowledgement ······················································································· 93Maste

    Vanilloid receptor ligand로서 N-(3-acyloxy-2-benzylpropyl)-N`-(4-hydroxy-3-methoxybenzyl)thiourea의 구조활성 연구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약학과 약화학전공,2001.Mast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환자에서 혈청 activin-A가 갖는 임상적 의미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과대학 임상의과학과, 2018. 2. 이상민.Background: There are limited data regarding serum activin-A as a biomarker for ARDS. We aimed to evaluate whether serum activin-A levels are elevated and it has any role in predicting severity and prognosis in ARDS patients. Methods: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with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MICU with diagnosis of ARDS and have serum samples stored within 48 hours of ICU admission between March 2013 and December 2016 at a single tertiary referral hospital. Serum activin-A levels were measured with ELISA kit, and were ii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healthy control and non-ARDS sepsis patients. Results: Serum activin-A levels of total 97 patients with ARDS were measured. Levels of Activin-A were elevated in ARDS patients compared to those of healthy controls (2.34 vs. 2.89, p<0.001) and non-ARDS sepsis patients (2.73 vs. 2.89, p=0.002). Activin-A was not correlated with severity of ARDS at the time of ICU admission, bu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hospital mortalities (Inhospital survivors 676.2 vs. non-survivors 897.9, p=0.047). In predicting inhospital mortality, serum activin-A concentrations showed superior AUC compared to that of APACHE II scores (0.65395% CI [0541, 0.765] vs. 0.591, 95% CI [0.471, 0.710]). With cut-off level of 708pg/mL, those with high serum activin-A levels had more than twofold increased risk of in-hospital mortalities. Conclusions: Serum activin-A levels in ARDS patients are elevated. Those with high serum activin-A levels tend to have poor prognosis.Ⅰ.Introduction 1 II.Materials and methods 3 2.1 Study design and Participants 3 2.2 Measurement of serum activin-A concentrations 4 2.3 Outcomes and statistical analysis 4 III.Results 6 3.1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features of ARDS patients 6 3.2 Clinical course of ARDS patients 6 3.3 Levels of serum activin-A in ARDS patients 7 3.4 Discriminant power of serum activin-A levels in ARDS patients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clinical variables 8 3.5 Prediction of clinical outcomes with serum activin-A levels 9 IV. Discussion 24 V.References 27Maste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