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research outputs found

    Linear trend of wave climate in the East Sea estimated from wave hindcast

    Get PDF
    파랑기후의 변화는 연안 침식과 해안선 변화 등 연안 환경에 많은 영향을 준다. 최근 우리나라 동해안에 고파랑에 의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고파랑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파고와 함께 연안 환경에 영향을 주는 파의 주기와 방향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WAN 파랑모형과 ERA-Interim 재분석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40년(1979~2018) 기간의 파랑을 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해에서 풍속, SWH, PWP, PWD을 분석하였다. 유의파고와 첨두주기의 40년 장기평균은 북서쪽에서 남동쪽 해역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공간분포를 보이며, 이러한 공간분포는 겨울철 장기 평균과 상당히 유사하다. 이는 겨울 공간분포가 장기 공간분포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첨두파향의 장기 평균은 강한 북서풍의 영향으로 동해 남동쪽 해역에서 북서계열의 파가 우세하며, 서쪽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변화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남동~북동계열파가 나타났다. 동해는 계절풍의 영향으로 계절별 풍향 변화가 크기 때문에 풍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 파향 역시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인다. 하지만 동해 남서쪽 해역인 포항 연안에서는 북동~남동계열의 파가, 동해 남동쪽 해역인 일본 연안에서는 북서계열의 파가 연중 지속된다. 99 백분위수 유의파고와 첨두주기는 동일하게 동해 대부분의 영역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특히 동해 남동쪽 해역에서 가장 크게 증가한다. 첨두주기와 99 백분위수 유의파고 월별 평균은 비슷한 공간분포를 보이지만, 선형추세는 다르게 나타난다. 풍속 추세에 영향을 크게 받아 99 백분위수 유의파고 추세는 시,공간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반면, 첨두주기는 8~10월 동해 북쪽 해역에서 감소를 제외하고 대부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Changes in ocean wave climate influences the costal environments such as coastal erosion and coastline change.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bout the high wave height, since high wave impacts on the east coast of Korea, recently. However, relatively few researches are investigated by the wave period and direction which affect the coastal environment with the wave heigh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wind speed, significant wave height (SWH), peak wave period (PWP), and peak wave direction (PWD) in the East Sea, using a 40 years (1979~2018) wave hindcast experiment conducted by using the SWAN wave model forced with the ECMWF reanalysis wind data. The long-term mean of the PWP and monthly-mean and 99th percentile SWH showed high value in the southeastern area, while low value in the northwestern area. This spatial distribution is considerably similar to that of December, which means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cember significantly influences long-term mean. The prevailing of the long-term mean of PWD is northwesterly in the southeastern area and translate an anti-clockwise toward the east coast of Korea. In association with the apparent seasonally-varying wind data by the Asian monsoon, the long-term mean of wave properties shows obviously differ in seasons. Nevertheless, throughout the year, there are predominant from northeasterly to southeasterly waves in the southwestern area, and northwesterly waves in the southeastern area. The PWP and monthly-mean and 99th percentile SWH appear an increasing trend in most of the area, especially, in the southeastern basin show a noticeable increasing tre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monthly mean of the 99th percentile SWH and PWP show a similar pattern, while that of the linear trends appear differently. The trend of the 99th percentile SWH considerably alter in accordance with locations and seasons, while, the PWP tends to increase in most of the East Sea except the northern area from August to October.1. Introduction 1 2. Data and methods 2.1 Wave model 4 2.1.1 Governing equation 4 2.1.2 Model domain 6 2.2 Methodology 8 3. Results 3.1 Significant wave height and wind speed 12 3.1.1 Model validation 12 3.1.2 Long-term mean of wind speed and SWH 14 3.1.3 Long-term trend of wind speed and SWH 18 3.2 99th percentile SWH, PWP, and PWD 23 3.2.1 Model validation 23 3.2.2 Long-term mean of wave properties 27 3.2.3 Long-term trend of wave properties 30 4. Discussion and conclusion 33 감사의 글 37 References (bold) 38Maste

    도시설계의 New Paradigm Ⅱ : 공공영역 설계를 위한 도시설계 -서울 그린웨이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파일럿 프로젝트(Pilot Project)-

    Get PDF
    많은 사람들은 현행 우리나라의 제도 도시설계"1)의 운영은 실패했다고 말하고 있다. 흑자는 더 나아가서 한국의 도시설계가, 많은 경우에, 오히려 도시환경에서 난개발을 부추겨 왔고, 경우에 따라서는, 난개발에 면죄부를 제공할 정도로 잘못 이용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면 우리나라에서 무엇이 도시설계로 하여금 실패하게 만들었을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도 첫 번째 이유는, 공공부문의 리더십 부족과 그로인한 공무원들의 소극적인 태도로 말미암아 우리나라의 도시설계가 본래 주어진 기능과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는,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도시개발 방법이 토지소유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고, 특히 토지소유자가 건설회사와 합동해서 개발하는 과정에서, 공공부문이 거의 역할을 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도시설계의 역할이 실제로 크게 주어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아마도 이것이 가장 큰 이유가 될 수 있겠지만, 도시설계가 도시환경에서 공공영역을 다루지 않고, 주로 민간영역, 다시 말해서, 민간획지 안에 들어가서 민간 건축물에 규제를 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좀 더 큰 위계에서 공공의 목표를 수립할 수도 없었고, 그 결과로 공공영역은, 실제로, 도시설계의 설계대상에서 제외되게 되었다. 바로 이 점이 우리나라 도시설계가 축소되고, 무력하게 된 가장 큰 근본원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왜 우리가 도시설계가로서 서울의 그린웨이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는가? 아마도 가장 큰 이유는 지난 20여년 동안 서울에서 도시설계 프로젝트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솔직히 말해서, 우리의 도시설계가 우리 도시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었다고 하기는 매우 힘들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도시설계가들도 매우 늦었지만, 실제적으로 우리 도시의 삶의 질 개선에 직접적인 기여를 하기 시작해야 한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A Study on the Settlement of Underground Excavation

    Get PDF
    Excavation of underground space in soft ground implicate to the structure, such as subsidence. As a result, it has been acting as a serious risk to the stability of the roads and facilities. Therefore, in order to stabilize the soil stabiliza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tructure, we have been using a number of methods and injecting material.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mount of subsidence regarding the ground reinforcement during underground excavation in soft ground by performing model test. And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LAC 3D. The subsidence was simulated numerically according to the tunnel excavation. The subsidence results of the model tests and numerical analyzes were relatively consistent. Thus comparing the ground subsidence by varying the reinforcement area on the numerical analysis was analyzed. As a results, three-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could be regarded to simulate better on the ground subsidence by various kinds of underground excav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of subsidence prevention methods.1. 서 론 1.1 연구배경 ····································································································· 1 1.2 국내외 지반침하 관련 연구동향 ··························································· 2 2. 기본 이론 2.1 지반침하 ····································································································· 4 2.2 지반침하의 매커니즘 분석 ····································································· 5 2.2.1 수치해석에 의한 침하영향 분석 ················································· 5 2.3 지반보강을 위한 주입공법 ····································································· 6 2.4 에폭시 수지의 조성 및 특성 ································································· 7 3. 실내 모형 실험 3.1 실험 방법 및 내용 ··················································································· 8 3.1.1 모형 토조 및 모형 지반 제작 ····················································· 8 3.1.2 모형 터널 설계 ············································································· 10 3.1.3 지반 보강을 위한 주입장치 및 주입재 ································· 12 3.2 모형 실험 과정 및 실험 결과 ····························································· 14 4. 수치해석법 4.1 수치해석법의 종류 및 특징 ···························································· 25 4.1.1 유한차분법 ·············································································· 27 4.1.2 FLAC ·························································································· 28 4.1.3 FLAC의 흐름도 ········································································ 29 4.2 모델링 개요 ························································································ 31 4.3 해석 결과 ···························································································· 35 4.4 보강범위를 달리한 수치해석 결과 ················································ 45 4.5 현장자료를 적용한 수치해석 ·························································· 52 5. 결론 ············································································································· 58 참고문헌 ·········································································································· 6

    시민이 참여하는 도시설계 : 프로젝트 단위의 민간 비영리조직 설립의 필요성

    Get PDF
    필자는 지난 8월에 뉴욕시를 방문했다. 이번 방문의 목적은 도시공원과 수변 주거단지 (Waterfront Housing)를 보는 것이었기 때문에, 맨하탄 중심에 있는 센트럴 파크와 42번 가에 있는 브라이언트 파크, 그리고 배터리파크 시티를 방문했다. 센트럴 파크는 과거와는 달리 매우 안전한 도시공원으로 변화하고 있다. 뉴욕 시민들의 쾌적한 휴식처로서 변모하고 있다. 현재 센트럴 파크는 미국의 어떤 도시에 있는 도시공원(Citywide Park)보다도 잘 관리되고, 시민들로부터 사랑 받고 있는 공원이라고 그들은 얘기하고 있다. 만일 고층, 고밀 거대도시인 뉴욕 맨하탄의 한 가운데에 남북으로 51블록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843에이커의 센트럴 파크가 없었다고 하면, 과연 뉴욕의 맨하탄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42번 가에 있는 브라이언트 파크는 뉴욕공공도서관 옆에 위치한 8에이커 규모의 도시공원으로, 과거에는 마약거래와 범죄의 소굴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일년 내내 시민을 위한 각종 행사가 개최되고, 주변에서 일하고 있는 직장인들을 위한 쾌적한 휴식처로 이용되고 있다

    도시설계의 New Paradigm: 공공영역을 위한 도시설계 : 제도도시설계의 위기와 도시설계에 대한 시대적 요청

    Get PDF
    만일 도시설계의 지침(Guidelines)에 의해서 건물이 지어졌는데, 그 건물의 매스가 지나치게 커져서 그 획지 위에 과도한 개발이 발생하여 지나가는 사람에게 혐오감을 제공하거나, 또는 주거단지 안에 충분한 녹지와 공원이 없어서 건물과 건물사이에 채광이 거의 들어오지 못하거나, 또는 건물과 주거단지에 의해서 한강이나 양재천, 탄천 등으로 사람들의 접근성(Access)을 차단하거나, 또는 주거단지 건물들의 클러스터 방법이 Private View에 초점을 맞추어서 오히려 시민들의 Public View를 차단하거나, 또는 주거단지 건물들이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파괴하고 있다고 한다면, 이러한 도시설계는 비록 법적으로 또는 제도적으로 볼 때 잘못이 없다고 하더라도 우리가 이러한 도시설계가 도시설계라고 할 수 있을까? 1979년 12월 14일에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한국도시의 미래와 도시설계의 역할에 관한 도시설계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그때는 우리나라에 도시설계를 제도로서 도입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도시설계가 무엇을 해야 하고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이 되어야 하느냐에 관해서 매우 심각하게 논의를 했던 기억이 난다

    스마트 그린시티: 그린웨이와 테크놀로지를 결합한 도시설계 전략

    Get PDF
    도시·환경 미래전략과정 토론노트 : 국토, 도시, 환경 - 전환기에 생각해 보는 전망, 도전, 과제 [제3주제]기후변화 문제와 도시환경 수준: 도시 면적은 지구 표면의 2%에 불과하나, 전 세계 온실가스의 80%가 도시지역에서 배출된다(2009년 C40 서울 정상회담). 21세기 말 까지 한국의 평균 기온은 5.9℃ 증가하고, 해수면은 136cm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상청, 2013). 기후변화는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도시가 함께 대응하고 공유해야 할 과제로서 도시공간의 재설계(redesign)를 통해 에너지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지속가능성, 행복지수, 도시환경의 질 등 다양한 지표를 통해 측정된 세계도시 비교에서 서울은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한강변과 용산공원 주변의 획일적 고층주거단지에서 보듯이 공공성, 친환경성, 질적 수준을 추구하기 보다는 개발이익을 극대화하는데 주력하는 도시개발이 보편화된 데 따른 결과이다. 전반적으로 공공공간이 부족하고 외부공간의 질적 수준이 낮아 내부지향적이고 에너지소비형 생활방식을 유도한다. 도시개발을 공익적으로 유도하여 시민세금을 쓰지 않고 풍부한 오픈스페이스를 확보하고 커뮤니티와 공유하는 미국과 싱가폴의 모범사례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한국도시설계의 유형과 발전방향

    Get PDF
    우리나라에서 도시설계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던 1980년대초 이후 지금까지도 우리가 도시설계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좀더 포괄적인 합의를 만들어내지 못하므로써, 도시설계가 표류하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물론 하나의 새로운 분야가 학문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정착되는 시간으로 10년이란 기간이 짧긴 하지만, 아직도 좀 더 분명한 방향을 찾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설계와 관련되는 전문가들이나 행정실무자들 그리고 시민들 모두 도시설계에 대해 혼란감과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한국의 도시설계가 처한 현실적 상황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냉철한 자기 성찰이 필요한 것 같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도시개발과 도시환경의 급격한 여건 변화는 도시설계로 하여금 새로운 개혁을 요구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지난 10여년 동안 여기 한국에서 도시설계를 제대로 뿌리내리게 하기 위한 나름대로의 논의들은 있어 왔다. 도시설계를 제도적으로 도입할 무렵에는 도시설계란 무엇이고, 또 어떤 일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가 이루어졌고, 도시설계가 시행된 후에는 제도도시설계가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논의도 이루어졌다. 이러한 논의둘이 충분한 것이라고 보기엔 미흡하지만, 이 논의들을 종합해보면 한국도시설계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번째 이유는 우리가 도시설계의 실천적 개념에 대한 원칙적인 합의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도시설계에 대한 개념과 유형은 보는 시각과 접근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겠으나, 도시설계가 도시개발과정에서 하나의 유용한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한국의 도시개발 현질에서 도시설계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그 대상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좀 더 개방된 논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두번째 이유는 도시설계의 잘못된 제도화에 기인한다. 현행 도시설계 제도는 여러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도 필자는 현 행 제도도시설계의 문제를 제도도시설계의 정의에서부터 법적위상, 집행수단에 이르기까지 의 도시설계제도 자체의 문제점과 도시설계의 운용 및 설계방법론의 문제점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그 발전방향을 제안한 바 있다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City: City Design Initiatives through Greenways

    Get PDF
    환경적인 측면에서 인류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위기는 기후변화(Climate Change)에 따른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라는 것을 일상생활에서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상고온현상, 사막화, 해수면 상승, 생태계 교란, 도시 전체를 마비시키는 대형 해일의 잦은 출현 등이 지구온난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밝혀진 지구온난화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Co2를 비롯한 온실가스의 과도한 배출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도시화가 상당히 진행되었기 때문에, 온난화 속도가 전 세계 평균보다 두배 이상 빠른 실정이다. 세계 온실가스의 80% 이상이 전체면적의 2%에 불과한 도시지역에서 배출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경우 우리나라가 지난 30년간 이루어낸 급속한 도시성장이 한반도 온난화 에 결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했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있다. 그렇다면,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늦추고, 나아가 억제할 수 있는 방법도 도시에서 찾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간의 우리 도시는 자동차 중심의 도시개발, 민간이익 중심의 과도한 개발,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커뮤니티 형성과 같은 난개발이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우리 도시의 현실에 최소한의 질서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보행을 중심으로 한 도시디자인, 공공영역과 공공성을 우선으로 한 도시디자인이 도시개발에 앞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린웨이(Greenways)는 이 같은 도시디자인의 창조적인 발전을 위한 촉매제(Catalyst)라고 할 수 있다. 그린웨이를 중심으로 도시디자인을 하게 된다면, 도시 공공공간의 질을 대폭 개선하고, 보행과 자전거 이용을 촉진할 수 있으며, 커뮤니티 시설과의 적극적인 연계를 통해 근린 서비스 수준을 올릴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내부지향적인 시민들의 생활 습관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 After years of relative indifference, our industrialised societies suddenly seem to be preoccupied with the risks of climate change. Zero carbon and energy reductions seems to be at the moment the catalysts for initiatives. Environmental awareness is reaching the decision makers and the citizen. However, identifying the problem does not mean ­nding a solution… A growing majority of people now believe that the dream world of a consumer society (if indeed one can speak of a dream) is not viable on a global scale, regardless of the progress of green technologies in the coming decades. A more in-depth trend is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shifting unsustainable daily practices and rethinking new and more sustainable ways of living. But what is a sustainable way of living? What will our daily lives become if we agree to change some of our routines? How do we reduce our impact without lowering our living standards? Observations show that growing material wealth and levels of population satisfaction are increasingly uncoupled. Could the pursuit of more sustainable lifestyles also lead to better quality and more satisfaction? In this article we attempt to answer some of these questions by shaping an new scenario of daily living: the scenario of Collaborative Services

    도시설계의 질적 향상과 도시설계 분야 발전을 위한 제언

    No full text
    최근 도시설계 발전과 관련해서 여러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 또한 환경계획연구소에서 지난 4년 동안 약수상세계획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하면서 도시설계 실무와 관련해서 여러 가지의 실제적인 체험을 하고 있다. 또한 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에서 도시설계/상세계획 프로젝트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면서부터는 우리 대학원과 도시설계 협동과정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에 봉착해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도시설계는 이름도 여러 개를 가지고 있다. 처음에는 도시설계였다가, 그 다음에는 상세계획이 도시설계와 공존하게 되고, 지금은 지구단위 계획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이름의 변화와 관계없이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도시설계는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우리의 도시설계는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행정 시스템과 공공부문에서 행정하는 사람에 토대한 도시설계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도시설계로서는 우리의 도시환경 수준과 우리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좀 더 과격하게 표현한다면, 어떤 어느 것도 의미 있게 만들어내기 힘들다는 사실이다

    Skin sulfhydryl oxidase expression in normal skin, cultured skin and several abnormal keratinizing dermatoses

    No full text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피부과학전공,1995.Docto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