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research outputs found

    고강도 7075 알루미늄 합금 판재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기계적 물성 및 에지 파단 특성 연구

    Get PDF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2021.8. 문자윤.As the automobile industry strives to increase fuel efficiency due to environmental regulations, various techniques for forming aluminum alloy 7000 series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thesis, the formability of W temper, super-saturated by solution heat treatment followed by water quenching, is examin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peak-aged temper (T6). Immediately after quenching, the W temper sheet shows reduced strength and larger elongation than T6 temper, and up to 80% or more of the strength of the original material is recovered during the natural aging process. Still, studies on the experimental results, plastic deformation behavior, and especially numerical analysis results of W temper are lacking.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W temper forming through various experiments. Formability is evaluated using a forming limit diagram and the springback with a U-shaped draw/bending experiment, and examining the edge cracking behavior with a hole expansion experiment using conical and flat-headed punches is also conducted. The M-K model is used to predict the forming limit diagram, and non-quadratic yield function (Yield 2000), chord modulus, and anisotropic hardening (HAH) model are used to capture springback. The thickness profiles of the flat-headed hole-expansion experiment are predicted using non-quadratic yield function and isotropic hardening. The experiments are conducted under T6 and W temper,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W shows serrated flow stress in the engineering stress-strain curve, called the Portevin-Le-Chatelier (PLC) effect,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he PLC effect on each experiment.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6, the same experi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are conducted with -W.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reflecting the material properties excluding the modeling of the PLC effect, the influence of the PLC effect on each experiment i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s, method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C effect i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considerations for analyzing the results are suggested. The following PLC effect influences on each experiment are investigated: 1) Overestimation of the strain hardening coefficient in hardening curve, 2) high roughness in the surface condition, 3) short post uniform elongation caused in the ductile material, and 4) appearance of PLC bands in the hole expansion experiment showing interactions with plastic anisotropy. In this thesis, the -W temper shows enhanced elongation, lower flow stress, larger forming limit diagram, smaller springback, and even greater stretch-flangeability than T6 temper.차량 경량화가 대두됨에 따라, 경량 금속인 알루미늄 7천계를 차량 부품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강도를 나타내는 T6 상태의 원소재를 용체화와 수냉 과정을 이용한 W 상태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W 상태는 T6 상태에 비해서 용체화에 이은 퀜칭 직후에는 낮은 강도와 긴 연신율을 가질 뿐 더러 퀜칭 이후 자연시효로 인해서 원 소재의 80% 이상까지 강도를 회복하는 장점이 있다. 현재 이런 W 상태에 관련하여 다양한 실험 결과나 소성 변형 거동, 특히 수치해석학적인 연구 결과가 아직 많지 않기 때문에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본 학위 논문은 W 상태의 성형 가능성에 대해서 여러 실험 방법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T6 와 W 상태의 소재를 대상으로 성형 한계 곡선을 이용한 성형성 연구, U자형 드로우/벤딩 실험을 통한 스프링백 연구, 원추형 및 납작형 펀치를 이용하여 홀확장성 실험을 통해 엣지 크랙 거동 연구 등의 주제에 대해 각각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W 상태의 소재가 T6 소재에 비해 더 넓은 성형 한계 곡선 영역, 더 적은 스프링백, 더 높은 홀 확장성 등을 나타내었다. 특히 W 템퍼의 경우에는 공칭 응력 곡선 내에서 Portevin-Le-Chatelier (PLC) 효과라고 불리는 톱니형 응력 곡선이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측정 결과들은 PLC효과가 각 실험에 끼치는 영향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T6를 이용한 실험 결과 및 유한요소해석 검증을 토대로, W 템퍼 결과에 대해서 동일하게 진행했으며 PLC효과를 제외한 물성을 반영한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실제 실험 결과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역으로 PLC 효과가 각 실험에 끼치는 영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PLC 효과로 인한 특징을 기존 유한요소해석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 혹은 결과 분석시에 고려해야 하는 점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PLC 효과는 강화 곡선의 변수 과도한 값 설정, 표면 거칠기 향상, 더 연질한 성질을 가진 재료의 짧은 post-uniform elongation 특징, 소성 이방성과 상호작용하여 특정 파단 위치에 집중된 응력 등으로 나타났다.1. Introduction 1 1.1 Overview 1 1.2 Theoretical background 7 1.2.1 Aluminum 7075 7 1.2.2 PLC effect 9 1.2.3 Plastic anisotropy yield model 14 1.2.4 Anisotropic hardening model 16 1.2.5 Marciniak – Kuczynski model 18 1.3 Outline of the thesis 19 2. Material property and characterization 21 2.1 Material preparation 21 2.2 Bacis mechanical properties and anisotropy 25 2.3 Compression tesnsion test 30 2.4 Loading-unloading test 32 3. Formability and springback 34 3.1 Introduction 34 3.2 Formability of W-temper 36 3.2.1 Forming limit diagram (FLD) experiment and results 36 3.2.2 Forming limit diagram prediction 39 3.2.2.1 Anisotropic plastic yield model 3 9 3.2.2.1 Formability prediction 4 2 3.3.3 Discussion 44 3.3. Springback 52 3.3.1 Experiment and results 52 3.3.2 Springback prediction 55 3.3.2.1 Elastic model 5 7 3.3.2.2 The U-draw bending springback simulations 5 9 3.3.3 Discussion 62 3.4 Remarks 66 4. Stretch-flangeability 69 4.1 Introduction 69 4.2. Hole-expansion using conical punch 71 4.2.1 Introduction 71 4.2.2 Experimental procedure and results 74 4.2.3 Discussion 80 4.2.3.1 The HER values of T6 condition 8 0 4.2.3.2 The HER values of -W condition 8 8 4.2.3.3 Comparison of the HER values of two tempers 9 5 4.3 Hole-expansion using flat-headed punch 100 4.3.1 Introduction 100 4.3.2 Experimental procedure and results 103 4.3.3 Material modeling and Numerical simulation 111 4.3.4 Discussion 122 4.4 Remarks 134 5. Conclusion 138 Appendix 142 Appendix A. References of journal publications related to this thesis. 142 Appendix B. Comparison of material properties of AA7075-T6 sheets 143 Reference 144 요약문 (Abstract in Korean) 156 감사의 말 158박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data collection duration on prospective atmospheric dispersion evaluation during normal operation of NPP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2017. 8. 김은희.원자력이용 시설을 건설하고 운영하기 위한 허가를 받기 위해선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주변 환경에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을 평가하야여 한다. 기체상 방출물이 대기 중으로 확산되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부지 특성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방사성 물질의 거동을 예측하여야 한다. 어떠한 기상 자료를 사용하고 어떻게 자료를 처리할지에 따라 평가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규제 기관에서는 기상 자료의 최소 수집 기간 및 처리 방법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원자력시설 주변 대기확산평가에서 기상 자료의 수집 기간이 대기확산평가에서 부지의 기상 특성 대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 그 과정에서의 기상 자료 처리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다. 수집 기간은 규제지침에서 최소 수집 기간으로 정하고 있는 2년과 더 적절하다고 권고하는 5년을 비교하여 부지의 기상 특성 대표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각 기상자료의 부지 기상 특성 대표성은 연구에 사용한 기상 자료의 전체 관측 기간 중 연간 기상 자료와의 유사성을 평가하고 유사하다고 볼 수 있는 연간 자료의 개수로 판단하였다. 기상 자료 간의 비교 대상은 풍향, 풍속 그리고 대기안정도의 등급별 분포와 제한구역경계 상의 16방위별 대기확산인자이다. 대기확산인자는 선원에서 방출된 오염 물질의 양에 대한 대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 비로 풍향, 풍속, 대기안정도와 같은 기상 특성 및 방출 핵종과 오염물질의 방출 높이, 측정 지점의 풍하거리에 따라 계산된다. 이 연구에서는 방출 핵종은 I-131, 측정 지점은 제한구역경계로 설정하고 방출 높이를 지표면 방출에 해당하는 0 m, 고공 방출에 해당하는 58 m 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풍향, 풍속, 대기안정도 등급별 분포는 카이제곱 검정을 통해 파이 계수의 값으로 두 자료 사이의 유사성을 살펴보았고, 대기확산인자는 같은 방위끼리 짝지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수행하여 두 자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판정하였다. 연구 결과, 2년과 5년 기상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할 수 있는 연간 기상 자료의 개수에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어느 기간의 기상 자료들을 평균하여 사용하는지에 따른 대표성의 변동을 적게 하고, 예년과 크게 다른 기상 패턴 발생 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5년의 기상 자료를 평균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대기확산인자를 비교한 결과는 풍향, 풍속, 대기안정도와 같은 기상 특성을 직접 비교한 결과보다 기상 자료 간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경우가 더 많다. 특히 지표면 방출을 가정하여 대기확산인자를 계산한 경우, 어떠한 기간의 기상 자료를 평균하더라도 모든 연도별 기상 자료와 유사하다고 검정되었다. 방출높이에 따른 대기확산인자의 분포를 살펴보면 지표면 방출의 경우가 고공 방출의 경우보다 선원 주변에서의 대기확산인자 값이 훨씬 크나 풍하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여 2 km 내외의 지점에서부터는 고공 방출의 대기확산인자가 더 크게 나타난다. 연구결과를 통해 고리 부지의 제한구역경계에서의 기체상 방출물에 의한 예상 피폭선량 평가 시 기상 자료의 수집 기간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표면 방출을 가정할 경우가 고공 방출보다 제한구역경계에서의 최대개인피폭선량은 더 보수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비상계획구역 내 집단선량을 평가할 때 오히려 더 작은 값을 나타낼 수 있다.제 1 장 서 론 1 제 2 장 연구 배경 3 제 1 절 방사선 환경영향평가 3 제 2 절 정상운영중 대기확산평가 4 제 3 장 문헌 검토 8 제 1 절 기상 자료 수집∙처리에 대한 국내 및 해외 규제 지침 8 제 2 절 부지 대표성 평가 선행 연구 사례 11 제 4 장 연구 방법 13 제 1 절 기상 자료 처리 13 제 2 절 대기확산인자 계산 14 가. CAP88-PC 14 나. 계산 방법 15 제 3 절 통계 분석 16 제 5 장 연구 결과 18 제 1 절 기상 특성 18 가. 기상 특성 등급별 빈도 분포 18 나. 카이제곱 검정 결과 24 제 2 절 대기확산인자 29 가. 대기확산인자 분포 29 나. Wilcoxon 부호순위 검정결과 60 다. 방출 높이 65 제 6 장 결 론 66 참고문헌 70 Abstract 80Maste

    밀 글루텐 효소가수분해물의 이화학적 특성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2017. 2. 황금택.Hydrolysis of proteins has been widely used to produce ingredients with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aming, solubility, emulsifying, etc.) as well as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ntioxidant,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hypertensive activities, etc.). Enzymatic hydrolysis has been applied to various foods of animal and plant sources. Wheat gluten, which is produced while separating starch from wheat, is relatively inexpensiv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wheat gluten hydrolysates (WGH) and utilize the WGH as an ingredient in a beverage system. Single (2, 6, 12 and 24 h) and sequential enzymatic hydrolyses (8, 10 and 12 h) were conducted to produce WGH using commercial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Protamex and Neutrase). Wheat gluten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20%, w/w) and hydrolyzed with the enzyme to wheat gluten ratio of 1:100 (w/w) at 50˚C in a water bath. Yields of all the produced WGH were over 50%. Degree of hydrolysis (DH) of the WGH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ydrolysis time (p<0.05). DH of the WGH produced by Flavourzyme was the highest, independent of hydrolysis time, while that of the WGH by Neutrase was the lowest. Sequential enzymatic hydrolysis remarkably decreased the fraction with more than 10 kDa and increased the fraction with less than 500 Da compared with the single enzymatic hydrolysis.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free amino acids in the WGH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nzyme types and hydrolysis conditions including the number of treated enzymes and sequences of the treated enzym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GH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ydrolysis time (p<0.05). On the other h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GH was rarely affected by the enzyme types and hydrolysis conditions. The WGH produced by Protamex showed lower turbidity, better thermal stability and higher solubility, suggesting they may be suitable for beverage development.INTRODUCTION 1 MATERIALS AND METHODS 3 1. Materials 3 2. Preparation of wheat gluten hydrolysates 3 3. Yield of the WGH 4 4. Degree of hydrolysis (DH) 4 5. Molecular weight (MW) distribution 5 5.1.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5 5.2.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SEC) 5 6. Free amino acids 6 7. Antioxidant Properties 7 7.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 7.2.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 8.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GH solution 8 8.1. Turbidity and thermal stability 8 8.2. pH solubility 8 8.3. Color 9 9. Sensory evaluation 9 10. Statistical analysis 10 RESULTS AND DISCUSSION 11 1. Yield and DH 11 2. MW distribution of the WGH 14 3. Free amino acids of the WGH 19 4.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WGH 23 5.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GH solution 25 6. Sensory characteristics of WGH beverage 30 REFERENCES 33 국문초록 37Maste

    Clinicopathologic significance of expression of cancer stem cell and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related markers in breast cancer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병리학전공, 2011.2. 박소연.Maste

    Early development of MLU values and vocabulary size in Korean young children : relation to intelligence and gender

    No full text
    Thesis(master`s)--서울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발달심리전공,2007.Maste

    서울시 소규모 미집행 근린공원의 민간공원법 적용가능성 연구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조경학과, 2014. 2. 이유미.공원은 도시가 갖추어야 하는 기본적인 도시계획시설로써 지나친 도시확장을 제어하고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심 내 산림이 공원으로 지정되는 경우 미집행여부와 관계없이 공원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와 같은 도시계획시설과 달리 집행 필요성의 인식이 낮아 공공자금 유입의 후순위로 방치되어 왔다. 하지만 장기간 미집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유재산권 침해를 방지하기 위해 결정실효제가 도입됨에 따라 오랫동안 미뤄온 미집행공원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 대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재정된 『민간공원법』은 부족한 공공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민간자본을 활용하여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이다. 하지만 『민간공원법』은 10만㎡이상 규모를 가진 도시공원으로 적용 범위를 한정함에 따라 상당수의 소규모 근린공원이 법의 테두리에서 벗어난다. 소규모 근린공원은 도심지에 위치하여 민간이 조성할 시 수익보장 과정에서 특혜 의혹 시비가 발생하고, 주변 시민의 이해관계가 얽혀있어 민간 개발보다는 국고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합당하다. 하지만 공공 자금을 통해 이를 해결할 가능성 또한 희박하다. 이는 현재 소규모 미집행 근린공원의 조성 가능성이 현저히 낮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야기되는 심각한 문제는 단순히 공원수의 감소가 아니다. 서울시의 경우 조성된 공원의 분포가 평준화되지 아니하여 송파구, 강남구 일대와 같이 충분한 공원이 조성된 지역과 달리 공원이 전무한 지역에 미집행 공원이 위치함에 따라 지역별 삶의 질 격차를 증가시킬 우려가 상당히 높다. 이는 지역별 격차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열악한 지역 주민들에게 상대적 박탈감을 증가 시킨다. 도시공원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여유로운 삶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는 소규모 미집행 근린공원은 도보로 10분 이내에 도달 가능하여 도시민 일상의 여가 활동을 수용함으로써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민간공원법』적용범위의 확대를 제안한다. 이는 미집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성된 법안으로 민간이 공원을 조성할 시 그에 상응하는 이익을 충분히 보장함으로써 민간자본 유입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현행법 중 가장 실효성이 높다. 하지만 제정 당시 차용한 일본의『민간설립공원제도』와 달리『민간공원법』은 10만㎡ 미만 공원에 대한 민간자본 유입을 허용하지 아니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공원의 지역적·위치적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차이점을 수용하지 못함에 따라 적용범위를 한정하고 현행법의 효용성을 상당히 낮춘다. 따라서 공원별 특성에 따른 면적 기준의 예외 적용은 미집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민간공원법』적용범위 확대를 위한 타당성을 구축하고자 10만㎡ 미만 근린공원이 현행법에서 제외된 원인을 파악하고,『민간공원법』적용범위를 확대할 시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민간공원법』은 공원 면적의 일부를 기부체납 하는 것을 조건으로 공원의 일부 면적을 용도 전환하여 개발을 허용하기 때문에 산지형 공원의 경우 산림의 훼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도시 난개발 을 제어하기 위해 산지를 공원으로 지정한 것을 감안하여 기존의 우수한 산림을 보호하고 도시 난개발 방지를 위해『민간공원법』적용이 가능한 미집행공원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미집행 근린공원의 유형을 구분하여 민간이 공원을 조성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도시환경에 불리한 공원유형을 파악하여 이를 제한하고 『민간공원법』적용이 가능한 공원을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민간공원법』적용범위에 있어 10만㎡미만 면적 규제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미집행 공원을 공공이 모두 수용하기엔 자본이 부족한 현시점에서 민간자본 활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안을 열어둘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미집행 근린공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는 수년간 진행되었다. 하지만 10만㎡미만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2011년에 고시된 『민간공원법』적용 가능성을 연구한 사례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가지는 필요성과 시의성이 높다. 하지만 이 또한 미집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제시일 뿐이다.. 해당 지자체는 공공 자금의 확보 및 시민의 기부금 조성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반드시 함께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제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5 2 절 선행연구의 검토 및 연구방법 선정·····························6 1. 선행연구의 검토 ·············································6 2. 연구의 흐름 ·················································8 제2장 실효제 영향하의 근린공원 현황 ························9 1절 조사방법 ·····················································9 1. 조사범위의 설정 ·············································9 2. 기존자료 분석을 통한 조사방법 설정 ·························11 2 절 현행법에서 제외된 미집행 근린공원 현황 ·····················13 1. 10만㎡이하의 도보권·생활권 근린공원 현황 ···················13 1.1 특징 ····················································13 1.2 집행공원 현황조사 ·······································14 1.3 미집행공원 현황조사 ·····································18 2. 10만㎡이하 사유지를 포함한 도시권·광역권 근린공원 현황 ·····22 2.1 특징 ···················································22 2.2 미집행공원 현황조사 ·····································23 3. 현황의 종합 ················································26 3 절 미집행 근린공원의 영향력 검토·······························27 1. 기준의 설정 ················································27 1.1 영향력 범위설정 ·········································27 1.2 영향력 평가기준 ·······································28 2. 영향력 평가 ···············································29 4 절 소결························································33 1. 미집행공원의 집행 필요성 ···································33 2. 영향력별 미집행공원 특성분석 ·······························36 제 3장 민간공원법의 적용가능성·······························40 1절 법의 필요성 ·················································40 1. 현 제도의 문제점: 동빙고공원 사례 ··························41 1.1 공공 공간의 사유화 ·····································41 1.2 사유재산의 침해 ·········································43 1.3 제도의 부재 ·············································45 2. 공원 민간개발을 위한 법의 역할 ·····························49 2 절 유사법 비교를 통한 민간공원법의 선정 ·······················51 1. 민간 공원조성의 법적근거 ···································51 1.1 민간 투자법의 검토 ······································51 1.2 민간 공원법의 검토 ······································54 2. 유사법 비교를 통한 민간공원법의 선정 ·······················55 2.1 선정 근거 ···············································55 2.2 합리적 법의 선정 ········································57 3 절 민간공원법 적용가능성 검토··································58 1. 민간공원법 검토 ············································58 2. 민간공원법 적용범위의 확대 제안 ···························62 2.1 일본 민간공원설립제도의 검토 ···························62 2.2 현 민간공원법의 한계점 ··································66 3. 민간공원법 확대 적용 시 기대효과 ···························68 제4장 민간공원법 적용범위의 설정 ···························69 1절 적용범위 설정의 필요성 ······································69 2절 적용범위의 설정 ·············································70 1. 미집행 근린공원의 유형화 ···································70 1.1 유형화 목적 및 방법 ·····································70 1.2 소규모 미집행 근린공원의 유형 ···························71 2. 유형별 민간공원법 적용범위 설정 ····························72 2.1 산림 연접형 근린공원 ···································72 2.2 산지형 근린공원 ········································75 2.3 평지형 근린공원 ·········································78 3 절 소결························································84 제 5장 결론····················································86 1. 민간공원법 적용공원 선정 ···································86 1.1 근린공원의 유형검토 및 평가 ····························87 1.2 결론 ····················································90 2. 연구의 한계와 의의 ·········································92Maste

    Design Strategy for MOOCs Video

    No full text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공학전공), 2018. 8. 나일주.디지털 영상기술과 초고속 인터넷의 빠른 보급으로 누구나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교육콘텐츠에 접속하여 학습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환경이 조성되었다. 이러한 온라인 교육방식의 대중화는 MOOCs(Massive Open Online Courses)를 전 세계적으로 각광받는 고등교육의 한 형태로 자리잡게 하였다. MOOCs는 대규모성과 개방성의 특징을 활용하여 누구나 다양한 양질의 강좌를 무료로 수강할 수 있는 거대한 온라인 학습장이다. MOOCs에서 영상콘텐츠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필수 구성요소이며 MOOCs 개발에 있어 영상제작 부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MOOCs에서 영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근 들어 국내외 교육학자들에 의해 MOOCs의 영상을 고려한 연구가 제시되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학습자들은 세련된 고품질의 영상을 선호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MOOCs 영상디자인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MOOCs 영상디자인의 중심과제는 어떻게 하면 학습자의 인지부하를 줄이면서도 주의집중과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가이지만 이 주제에 대한 직접적 답변을 시도하려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MOOCs 영상에 대한 교수·학습 측면과 영상기술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총체적,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여기에는 MOOCs의 영상을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도록 제작하기 위한 영상디자인 전략을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부분과 전문가들과 사용자들의 평가를 통해 그 개발된 영상디자인 전략과 가이드라인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부분의 두 부분이 포함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개발연구 유형2의 방법이 적용되었다. 우선 요구분석, 사례분석 및 문헌분석에 기초하여 영상디자인 전략 초안이 도출되었고, 전문가 인터뷰 및 타당화 검증을 통한 두 차례의 수정 과정을 거쳐 최종 전략과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최종 디자인 전략의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전략들을 반영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토타입에 대해 사용자들의 반응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교육공학 전문가 2인, 시각·영상디자인 전문가 5인, MOOCs 개발 및 강의 경험자 3인, 요구분석에 참여한 디자이너 4인, 과목 책임자 1인, 학습자 2인 등이었으며 이 외에도 사례조사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 5인 등이 있었다. 연구 결과, 프리 프로덕션(Pre Production) 단계에서의 전략 6가지, 프로덕션(Production) 단계의 전략 4가지, 포스트 프로덕션(Post Production) 단계의 전략 6가지 등 총 16가지 전략이 개발되었으며, 각 전략별로 두세 가지의 세부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도합 40가지 세부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프리 프로덕션 단계는 디자인 기획에 필요한 전략들로 이루어졌으며, 강좌의 개성이 드러나는 로고영상을 통해 학습자에게 친밀감과 흥미를 전달하고 또한 간결하고 통일감 있는 시각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해 학습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두 번째 단계인 프로덕션 단계는 영상촬영에 필요한 전략들로 구성되었으며, 안정적인 카메라 샷과 강의자의 자연스러운 말투와 제스처 등으로 학습자가 친밀감을 느낄 수 있는 감성을 전달하려는 목적이 있다. 세 번째 단계인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는 촬영한 영상과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준비한 시각 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한 영상편집에 필요한 전략들로 구성되었으며, 학습자가 개별 영상 구성요소들을 통합적으로 인지하고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개발된 최종 영상디자인 전략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결과, 효과성은 4점 척도 평균 4.00점, 이해용이성은 평균 3.67점, 적용용이성은 평균 4.00점, 만족도는 평균 4.00점, 일반화 가능성은 평균 4.00점, 활용의지는 평균 4.00점 등 전체 문항에서 긍정적 반응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내용타당도 지수를 의미하는 CVI는 모든 항목에서 100%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인 전략과 가이드라인들은 예시와 함께 별책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OOCs를 위한 영상디자인 전략은 온라인 학습이라는 맥락적 특성을 반영하여 단계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예시와 함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와 아울러 실천적인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는 디자인학의 시각·영상디자인 분야와 교육공학의 교수설계 분야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수행되어 두 학문 분야를 연계하여 수행한 학문 융합적 성격을 가진다. 이 연구의 후속연구로는 MOOCs의 다양한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반영한 영상디자인 전략 개발연구, MOOCs의 다양한 영상유형에 따른 촬영 및 편집 가이드라인 연구, 그리고 영상디자인 전략이 반영된 MOOCs 영상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등 몇 가지 주제들이 제안되었다.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연구의 의의 8 4. 용어의 정의 10 가. MOOCs 영상(MOOCs Video) 10 나. MOOCs 영상콘텐츠(MOOCs Video Contents) 10 다. MOOCs 영상디자인(MOOCs Video Design) 11 II. 선행문헌 고찰 12 1. MOOCs 영상 환경 및 유형 12 가. MOOCs 환경 및 학습특성 12 나. MOOCs 영상범주 16 다. MOOCs 영상유형 21 라. MOOCs 개발절차 26 2. 영상디자인의 개념 및 원리 33 가. 영상매체의 개념 및 특성 33 나. 영상 구성요소 37 다. 영상디자인 제작과정 48 라. 영상디자인의 원리 50 3. 교수학습 맥락에서 MOOCs 영상디자인 탐색 59 가. 보편적 학습설계와 유니버설 디자인 59 나. 영상정보와 인지부하 64 III. 연구방법 69 1. MOOCs를 위한 영상디자인 전략 개발 73 가. 영상디자인 전략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및 사례조사 73 나. 선행문헌 검토를 통한 MOOCs 영상디자인 전략 개발 81 다. 전문가 검토를 통한 MOOCs 영상디자인 전략 수정 83 2. MOOCs 영상디자인 전략이 적용된 프로토타입 개발 89 가. 영상디자인 전략이 적용된 프로토타입 개발 89 나. 영상디자인 전략과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용자 평가 93 IV. 연구결과 97 1. MOOCs를 위한 영상디자인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및 사례조사 97 가. MOOCs 학습자 및 개발자 요구분석 결과 97 나. MOOCs 영상디자인 사례조사 결과 105 2. MOOCs를 위한 영상디자인 전략 개발 결과 113 가. 선행연구 분석 결과 도출된 구성요소 및 영상디자인 전략 113 나. 영상디자인 전략 도출 과정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결과 144 다. 영상디자인 전략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결과 149 라. 영상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결과 157 3. MOOCs 영상디자인 전략이 적용된 프로토타입 169 가. 영상디자인 전략이 적용된 프로토타입 개발 결과 169 나. 영상디자인 전략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175 V. 논의 및 결론 178 1. 논의 178 가. 연구 결과의 이론적 함의 178 나. 연구 결과의 실천적 함의 182 2. 결론 및 제언 187 가. 요약 및 결론 187 나.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90 참고문헌 192 부록 206 Abstract 232Docto

    CMV-P1 Helicase domain과 상호작용하는 고추 유전자 동정 및 기능 분석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식물생산과학부 원예학 전공, 2013. 2. 강병철.Cucumber mosaic virus (CMV), which has the broadest host range among plant viruses, is a very destructive pathogen in pepper production. Capsicum annuum Bukang contains a single dominant resistance gene, Cmr1 (Cucumber mosaic resistance 1) to CMV. C. annuum Bukang is resistant to most of CMV strains, but susceptible to CMV-P1. CMV-P1 is a new strain overcoming Cmr1recently identified in South Korea. Previous study reported that CMV-P1 RNA1 helicase domain is responsible for overcoming Cmr1. To identify plant host factors involved in CMV-P1 replication and movement, a yeast two-hybrid system derived from C. annuum Bukang cDNA library was used. A total of 156 potential clones interacting with the CMV-P1 RNA1 helicase domain were isolated from about 100,000 clones in the first screening. Beta-galactosidase filter lift assay, PCR screening, and sequencing analysis narrowed the candidates to 10 host genes. These genes are known to be involved in virus infection, replication, or virus movement. To elucidate functions of these genes, the host genes were silenced in Nicotiana benthamiana, which were then inoculated with CMV-P1 expressing the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 Gene silencing was confirmed by semi-quantitative RT-PCR. Plants silenced for 7 genes showed normal development comparable to N. benthamiana wild type, whereas plants silenced for the other three genes showed developmental defects including stunting and severe distortion. Virus accumulation in silenced plants was assessed by monitoring GFP fluorescence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mong the 7 candidates, silencing the cysteine synthase gene showed rapid and high accumulation of CMV while silencing two host genes, formate dehydrogenase and calreticulin-3 precursor, showed reduced virus accumulation. In the case of the cysteine synthase-silenced plants, infection foci were observed in both inoculated and upper leaves, and GFP signals were detected earlier than TRV::00. Formate dehydrogenase-silenced plants showed local infection in inoculated leaves, and there were no GFP signal in upper leaves. In the case of calreticulin-3 precursor, no GFP signals were observed in both the inoculated and upper leaves. ELISA results confirmed the confocal observation result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ormate dehydrogenase and calreticulin-3 precursor are required for CMV-P1 infectionABSTRACT i CONTENTS ⅳ LIST OF TABLES ⅶ LIST OF FIGURES ⅷ LIST OF ABBREVIATIONS ⅸ INTRODUCTION 1 LITERATURE REVIEW Importance of pepper and pepper virus in Korea 4 Cucumber mosaic virus 5 Resistance to plant virus in nature 6 Resistance by replication blocking 7 Resistance by cell-to-cell movement blocking 8 Resistance by systemic movement blocking 9 MATERIALS AND METHODS Yeast two-hybrid analysis 11 β-galactosidase filter lift assay 12 Cloning and sequencing 12 Sequence analysis of candidate genes 13 RNA extraction RT-PCR for cDNA synthesis 14 Vector construction for VIGS 14 Virus-induced gene silencing 18 Semi quantitative RT-PCR analysis 18 Inoculum preparation and virus inoculation 21 Observation of virus infection using GFP 21 RESULTS Isolation of candidate genes interacting with CMV helicase domain 22 Sequence analysis of candidate genes 22 Silencing selected genes and observation of plant development 30 Functions of candidate genes in CMV infection 34 DISCUSSION 39 REFERENCES 42 ABSTRACT IN KOREAN 55Maste

    Metadata관련 사례발표 - 서울대학교 음악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No full text

    서울대학교 전자도서관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연구

    No full text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