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research outputs found

    교란 빈도와 환경 구배가 토양 미생물 다양성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et PDF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2017. 8. Jonathan Adams.Microorganisms are the major component of global biodiversity, and it is found in the various habitats of terrestrial ecosystems. However, their ecological roles in nature and the patterns of microbial diversity are still poorly understood. Also the dominant factors regulating soil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and diversity variation within these ecosystems are still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nt of soil microbial diversity was investigated in both experimental and Mountain ecosystem and the way microbial communities are affected by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gradients, as well as the extent to which ecological processes or other environmental factors contribute to structuring the soil microbial communities. Firstly, I tested fungal community responses to disturbance gradients in a laboratory environment (Microcosms). Although disturbance is thought to be important in many ecological processes, responses of fungal communities to soil disturbance have been experimentally little studied and remained unknown about the responsiveness of soil fungal community structure to disturbance although there is a long history of the effects of disturbance on community structure in larger organisms. I subjected a soil microcosm to physical disturbance, at a range of frequencies designed to simulate ecological disturbance events. A soil microcosm is subjected to physical disturbance, sterilizing 90% of the soil volume each time, at a range of frequencies. The fungal community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Illumina HiSeq sequencing of the ITS1 region. It was found that fungal diversity decline with the increasing disturbance frequencies, with no sign of the humpback pattern found in many studies of larger sedentary organisms. There is thus no evidence of an effect of release from competition resulting from moderate disturbance – which suggests that competition and niche overlap may not be important in limiting soil fungal diversity. Changing disturbance frequency also led to consistent differences in community composition.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in OTU-level composition, with different disturbance treatments each having distinct fungal communities. The functional profile of fungal groups (guilds) was changed by the level of disturbance frequency. These predictable differences in community composition suggest that soil fungi can possess different niches in relation to disturbance frequency, or time since last disturbance. Fungi appear to be most abundant relative to bacteria at intermediate disturbance frequencies, on the time scale we studied here. Also, bacterial community responses to environmental gradients were tested in Mt.Norikura, Japan. Little is known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stochastic and deterministic processes on environmental gradients. The investigation on the community assembly, phylogenetic diversity and the relative role of both deterministic (niche-based) process and stochastic process may play in delimiting the bacterial phylogenetic community structure was conducted. Soil DNA from samples collected at a range of elevations was sequenced using Illumina MiSeq of the 16S rRNA gene. Mt. Norikura showed no increase in phylogenetic clustering in upper elevations, suggesting that this may not be a general pattern in elevational systems, no greater role of stochasticity towards upper elevations. However, the strength of phylogenetic clustering and the role of stochasticity was strongly related pH, with structuring and determinism being strongest at lower pH. This pattern follows that found in an earlier study of successional environments, where pH also dominates community structuring. The possibility that pH is a dominant factor in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s well as in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ABSTRACT…………………………………………………………………………………...i TABLE OF CONTENTS…………………………………………………………………....iii ABBREVIATION……………………………………………………………………………vi LIST OF FIGURES…………………………………………………………………………vii LIST OF TABLES……………………………………………………………………………x CHAPTER 1. SOIL MICROBIAL DIVERSITY AND RECENT TRENDS IN MICROBIAL ECOLOGY: AN INTRODUCTION………………………………………...1 1.1. The extent of Soil microbial diversity and its pattern in ecosystem……………….2 1.2. What makes soil microbial communities different?................................................4 1.2.1. Disturbance effects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4 1.2.2. Environmental gradients structuring soil microbial communities……..6 1.3. A general procedure of soil microbial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7 1.3.1. Metagenomic approaches in Soil microbial study……………………..7 1.3.2.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procedure……………………………..9 1.3.2.1. Initial processing and sequence quality control……………..9 1.3.2.2. Sequence alignment, pre-clustering, chimera removal and taxonomic classification…………………………………………...10 1.3.2.3. OTU based and phylogenetic analysis…………………….11 1.4. Objectives of this study………………………………………………………….13 CHAPTER 2. CHANGES IN SOIL FUNGAL COMMUNITY STRUCTURE WITH INCREASING DISTURBANCE FREQUENCY…………………………………………14 2.1. Introduction……………………………………………………………………..15 2.2. Materials and Methods………………………………………………………….21 2.2.1. Soil microcosm……………………………………………………….21 2.2.2. Disturbance and Growth regimen…………………………………….23 2.2.3. Autoclaving and Validation of Sterility and DNA Destruction………28 2.2.4.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ing of ITS1 Region…………………28 2.2.5. qPCR for Fungal ITS1 Region……………………………………….29 2.2.6. Statistical Analyses…………………………………………………..30 2.3. Results…………………………………………………………………………..31 2.3.1. Effect of Disturbance frequency on fungal abundance by qPCR…….31 2.3.2. Fungal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frequency…………………………………………………………………...33 2.3.3. Phylum-level pattern of fungal community in relation to disturbance frequency…………………………………………………………………...38 2.3.4. Ecological relevance of functional groups of fungal community in relation to disturbance frequency…………………………………………...39 2.4. Discussion………………………………………………………………………42 CHAPTER 3. SOIL PH RATHER THAN ELEVATION DOMINATES BACTERIAL PHYLOGENETIC COMMUNITY ASSEMBLY ON MT. NORIKURA, JAPAN………56 3.1. Introduction……………………………………………………………………..57 3.2. Materials and Methods………………………………………………………….60 3.2.1. Site description and Vegetation………………………………………60 3.2.2. Soil Sampling ………………………………………………………..67 3.2.3. DNA extraction, PCR amplification and sequencing………………...68 3.2.4. Sequencing processing and taxonomic analysis……………………...68 3.2.5. Phylogenetic analysis………………………………………………...69 3.2.6. Statistical analysis……………………………………………………72 3.3. Results…………………………………………………………………………..73 3.3.1. Bacterial community composition……………………………………73 3.3.2. Phylogenetic signal and Phylogenetic diversity……………………...78 3.4. Discussion………………………………………………………………………88 CHAPTER 4. GENERAL CONCLUSIONS………………………………………………92 REFERENCES……………………………………………………………………………...97 APPENDIX………………………………………………………………………………...115 국문초록 (Abstract in Korean)…………………………………………………………...117Docto

    A Study on th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for Hazardous Material Handlers in the Distripark Logistics Center

    Get PDF
    위험물 안전사고가 위험물취급자의 부주의로 사고원인의 증가로 인해 현장업무에서의 변화는 안전교육훈련을 통해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 위험물취급자의 현장업무의 변화를 몰고 올 다양한 요인에 대해 본 연구는 교육기대, 교육훈련 환경, 위험물 관리현황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교육훈련 성과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부산항에 취급되는 위험물 종류 및 취급현황, 물류단지 위험물저장소 현황, 위험물 처리 실무 관행, 위험물 사고현황 분석, 위험물 관련 법규에 대해 알아보았다. 위험물취급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특징 및 현황으로 교육대상자, 교육내용, 교육실적 자료를 나타냈다.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교육훈련 이론적 고찰하였고, 교육훈련 선행연구, 위험물안전관리 선행연구를 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 모집단은 부산항 배후단지 물류센터 위험물취급자를 대상으로 124부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예비 분석으로서 기술통계 및 요인분석을 하였고,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모형의 적합도는 검정 되었다. 구조방정식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기대는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육훈련 환경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위험물관리현황은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매개효과분석으로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교육훈련 성과에 부분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무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Hazardous material safety accidents must be strengthened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through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due to an increase careless handling of hazardous material handlers which causes of accidents and changes in the field work. On various factors driving the change of on-site operations of hazardous material handler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expect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environment, the present state of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on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want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n the outcome of education and training. We examined the types and handling conditions of hazardous material handled at Busan Port, current state of hazardous material store in logistics park, practical practice of hazardous materials handling, analysis of hazardous material accident situation, hazardous material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f hazardous material handling persons and the subj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of education and training, educational achievement materials are shown in the present situation. We examined education and training theory for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and in hypothesis training preceding research, hypothesis was set up by prior research on hazardous material safety management. In order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the population analyzed response data of 124 copies of hazardous material handlers of logistics center in the port hinterl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and the fitness of the model were performed as a preliminary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results showed, firstly, educational expectations positively (+) influence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econd, the education and training environ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Third, the current status of hazardous material management positively (+) influences on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und to affect the effect of partial parameters on the outcome of education and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various suggestions for related practices.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3 제2장 위험물 취급현황 및 위험물취급자 교육훈련현황 4 제1절 위험물 취급현황 및 처리 실무 관행 4 1. 위험물 취급현황 4 2. 위험물 처리 실무 관행 10 3. 위험물 사고현황 및 유해화학물질 사고현황 12 4. 위험물 관련법규 17 제2절 위험물취급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징 및 현황 19 1. 위험물 실무교육 19 2. 위험물 안전운송 초기교육 21 3.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24 4. T’사의 자체교육 사례 28 5. 구글플레이 앱 30 제3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31 제1절 이론적 고찰 31 1. 교육훈련의 개념 및 목적 31 1. 교육훈련의 방법 32 1. 교육훈련 효과 32 제2절 선행연구 33 1. 교육훈련에 관한 선행연구 33 2. 위험물 안전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34 제4장 위험물취급자의 안전교육훈련에 관한 실태조사 분석 36 제1절 연구설계 36 1. 연구설계 36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37 1. 교육기대 37 2. 교육훈련 환경 38 3. 위험물 관리현황 38 4. 교육훈련 프로그램 39 5. 교육훈련 성과 40 제3절 가설의 설정 41 1. 가설의 설정 41 제4절 조사대상의 선정 및 분석방법 43 1. 조사대상의 선정 및 자료수집방법 43 2. 설문지의 구성 43 3. 분석방법 44 제5절 분석결과 45 1. 일반적 특성 45 2. 요인분석 46 3. 변수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9 4. 구조방정식 분석 51 5. 매개효과 분석 52 제5장 결 론 56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56 1. 연구결과의 요약 56 2. 연구의 시사점 57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과제 58 부 록 59 참고 문헌 63 63 65Maste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Number of Yard Tractors Assigned to Vessels in Container Terminal

    No full text
    현재 해운·항만 산업은 급변하는 트랜드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항만물류자원의 확충 및 효율적인 운용을 통해 항만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펼치고 있다. 항만의 처리능력 산정은 부두에 설치되는 하역장비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항만의 처리능력은 물류자원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거나 활용 중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향상 시킬 수 있다. 하지만 물류자원의 추가 배치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처리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활용중인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운용 방법을 찾는 것이 실현성이 높다. 국내 항만들 역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정보화, 디지털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하역 프로세스에서 Y/T 배정 대수 산정은 전문가의 경험에 따른 감각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며, 관련된 선행연구 또한 Y/T의 배차 또는 항만 전체의 필요 대수 산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입항 선박의 하역정보를 활용하여 Y/T 배정 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회귀분석, 군집분석, DNN(Deep Neural Network : 심층신경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Y/T 배정 대수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하역량 관련 요인과 입항시기 관련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해당 요인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구분된 군집에 따라 심층신경망 모형을 통해 단일 선박의 Y/T 배정 대수를 예측하였다. 단일 선박의 Y/T 배정 대수 산정의 경우 다른 선박과 서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컨테이너터미널에는 다수의 선박이 동시에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다수 선박의 Y/T 배정 대수를 산정할 때에는 터미널이 가진 한정된 자원을 나누어 활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수리모형을 수립하여 다수 선박의 Y/T 배정 대수를 산정하였다.목 차 Abstract vii 제 1 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제 2 장 이론적 고찰 4 제1절 선행연구 고찰 4 1. 항만자원 배정 대수 산정 4 2. 항만자원 할당문제 4 제2절 시사점 및 차별점 6 제3절 현행 Y/T 배정 프로세스 분석 6 제 3 장 연구 설계 8 제1절 문제의 설정 8 제 4 장 컨테이너 선박의 Y/T 대수 산정 문제 11 제1절 단일 선박의 Y/T 대수 산정 문제 11 1. Y/T 배정 대수의 결정 요인 11 2. 선박 유형별 군집화 12 2. 예측모형 16 3. 예측 결과에 따른 모형 비교 16 4. Y/T 배정 대수 예측 모형의 활용 18 제2절 다수 선박의 Y/T 배정 대수 산정 문제 20 1. 대형 선박군의 Y/T 배정 문제 24 2. 소형 선박군의 Y/T 배정 문제 30 3. 대형/소형 혼합 선박군의 Y/T 배정 문제 36 제 5 장 결론 42 제1절 연구결과 요약 42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42 참고문헌 44 국문초록 47Maste

    China's FDI Policy Goals: Its Development, Outcomes, and Challenges

    No full text
    개혁․개방 이래 중국이 대량으로 유치해온 외국인직접투자(FDI)는 중국의 투자, 생산, 생산성 및 대외무역의 증대를 촉진시켰고, 외자기업은 중국 산업의 대외 경쟁력 향상을 주도해왔다. 오늘날 중국의 외자유치 정책은 전통적인 국제투자이론에상당한 변화를일으키고 있다. 특히 국제분업구도에서 중국이 세계적인 제조거점과 구매거점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다국적기업들은 중국에 경쟁적으로 진출하면서 선진적인 기술까지 투입하고 있다. 중국은 FDI를 자국에 보다 유리한 방향으로 유치하기 위해, 자국의 거대한 시장 잠재력에서 오는 수요독점자적(monopsonistic) 이점등 비교우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외자의 과도한 유입은 거시경제의 불안정, 국내자원의 유휴화, 경제구조의 불균형 심화, 대외의존도 증가 등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제 중국은 FDI를 적정규모로 유치하면서 거시경제 운용의 안정화를 이루고 외국기업의 중국시장 잠식을 제어하는 동시에, FDI의 기술이전효과를 최대화하고 자주적인 산업발전 역량을 향상시켜야 하는 힘든 과제에 당면해 있다.During the past two decades, China has attracted a large amount of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which have facilitated growth of investment, output, productivity and overseas trade of Chinese industries. Today, China's FDI policy even acts a factor to change some traditional theories of international investment. Especially, as China plays the role of dual hub of manufacturing and purchasing in the global supply chain or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multi-national companies become increasingly competing to invest into China, even committing advanced technologies to the investment. China now actively utilizes its relative advantages including monopsonistic one derived from the potential of the domestic market, so that it might attract FDI to be more favorable. Recently, however, excessive inflow of foreign capital including FDI has brought forth some undesirable side effects such as macro-economic instability, idle cost of domestic capital, growing imbalance of economic structure, and excessive overseas dependence. From now on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find a solution that not only brings in an adequate amount of FDI so as not only to stabilize macro-economic operation, but also to control the market-stealing effects of FDI, while at the same time maximizing its effects of technology transfer so as to enhance the capability to develop Chinese industries independently

    Properties of Solar Cells Made of Plasma Treated CIGS Thin Films

    No full text
    동시 증발법(co-evaporation)으로 Mo이 증착된 소다라임(soda lime) 유리위에 성장시킨 CIGS 박막을 Ar, O_2 및 N_2 분위기에서 각각 RF 플라즈마 처리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후 태양전지 특성 연구를 위하여Al:ZnO/i-ZnO/CdS/CIGS 구조로 제작하였다.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CIGS 박막의 표면 변화를 SEM 및 AFM 측정으로 관측하였으며, 제작된태양전지는 전류-전압 측정으로 전기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Ar 플라즈마 처리된 태양전지의 개방전압 저하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반응성 가스인 O_2 및 N_2 플라즈마의 경우 CIGS 박막 표면의물리적인 특성을 변화시켰다.2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