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research outputs found

    MEMS 센서를 활용한 멀티로터형 무인항공기의 저비용 비행제어시스템의 설계에 관한 연구

    Get PDF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기계항공공학부,2019. 8. 여재익.흔히 드론(Drone)이라고 불리는 멀티로터형 무인항공기는 저렴하고 조종하기 쉬우며 간단한 구조와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여 군사적인 용도를 비롯하여 상업적인 용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멀티로터형 무인항공기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포함하는 관성 측정 유닛(IMU)을 이용하여 지표면에 대한 자세를 측정하여 각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비행하며, 비행 방향을 추정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와 고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압계를 내장한다. 비행체에 탑재되는 비행제어유닛(Flight Control Unit, FCU)은 이러한 센서 데이터와 조종 명령을 이용하여 각 모터를 제어한다. 이러한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존의 비행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32-bit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비행제어를 위한 펌웨어를 개발하는데 있어 회로 및 패턴 설계 및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SDK)을 구성하는데 있어 많은 시간과 인력, 비용을 필요로 하여 전체 시스템의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 또한 작은 크기의 멀티로터에 사용되는 저렴한 비행제어유닛은 프로그래밍이 불가능하거나 확장성에 제약이 있어 하나의 제어 시스템으로 하나의 비행체 모델에만 적용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빠르고 간편하게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며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8-bit AVR 프로세서와 MEMS 센서, C/C++언어를 이용하여 비행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그 결과 확장성을 갖추면서 가격이 저렴하면서 효율적인 비행 제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었다. 부족한 8-bit 프로세서의 성능은 프로세서의 수량을 늘리는 병렬 컴퓨팅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었으며 상보필터의 간결한 구조로 인해 8-bit 프로세서의 낮은 컴퓨팅 성능으로도 초당 약 250Hz의 제어 주기를 가질 수 있었다. 자세 제어 알고리즘으로 Cascade controller를 선택하여 외란에 강하며 빠른 제어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진동이 상대적으로 큰 팜 사이즈의 쿼드로터 UAV에서도 안정적인 비행 성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1. Introduction ············································································· 1 1. 1. About Research ···································································· 4 1. 2. Basic Theory ········································································ 6 1. 2. 1. Attitude Estimation ······························································· 8 1. 2. 2. Cascade PID Controller ······················································ 14 1. 3. Research Goal ······································································ 17 2. Hardware Design ·································································· 18 2. 1. PCB Design ············································································ 20 2. 1. 1. Design of Flight Controller ··············································· 20 2. 1. 2. Design of PMU for BLDC System ····································· 29 2. 2. Body Frame Design ·························································· 33 2. 2. 1. DC Motor Powered Quadcopter ······································ 34 2. 2. 2. BLDC Motor Powered Hexacopter ································· 36 3. Software Design ···································································· 38 3. 1. Flight Software Design ···················································· 38 3. 1. 1. Attitude Reference System ················································ 39 3. 1. 2. Cascade PID Controller ······················································ 44 3. 1. 3. Bluetooth-based Control System ···································· 46 3. 2. IMU & Attitude Reference System ··························· 51 3. 2. Attitude Control Performance ······································· 51 4. Conclusion ·············································································· 53 참고문헌 ························································································ 55 Abstract ························································································ 57Maste

    Image processing based analysis of elastic modulus onshort fiber reinforced composites

    No full text
    Maste

    Journalistic Objectivity Crisis and the Power of Culture: Facts Couched in Vocabularies of Tradition

    No full text
    본 연구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 과정에서 드러난 한국 언론의 위기가 파당적으로 대립하는 관계에 있는 시민들이라도 함께 수용할 만한 객관적 사실의 지평이 붕괴되었다는 것이라고 진단하면서 이런 붕괴의 문화적 원인으로 한국적 소통문화와 언론의 지사적 전통을 부각하였다. 진보 정권과 보수 언론의 지나친 정치적 대립이 몰고 온 사실의 위기가 이런 문화적 전통 때문에 심화되었다는 점을 지적한 본 연구는 나아가 의견과 사실을 엄격히 분리하는 객관보도의 원칙을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이런 필요가 공영방송의 경우에 더욱 절실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객관보도가 파당적인 신념과 가치를 수용자에게 강요하는 것을 금기시한다는 측면에서 자유민주주의의 다원적 질서를 뒷받침하는 언론윤리라는 점을 부각한 본 연구는 옹호하고자 하는 도덕적 가치를 전면에 내세우기보다는 객관적 사실 배후에 슬며시 감추어 두는 객관보도의 관습과 비자연적 의미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소통문화가 융합하게 된다면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성숙에 기여할 새로운 저널리즘 문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Tensile Behavior of Fiber/Particle Hybrid Metal Matrix Composites

    No full text
    Docto

    An Analytic Research Study of Knowing[知解] in Zen

    No full text
    중국의 초기선은 달마의 벽관(壁觀)으로부터 비롯되어 전등을 이어왔다. 그러나 벽관(壁觀)이 중국적 토양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알음알이가 부가되어 참선에 많은 장애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알음알이가 벽관(壁觀)이 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고 분석하여, 알음알이를 벽관(壁觀)의 상대적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알음알이의 시원을 도신의 일물(一物)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알음알이는 벽관(壁觀)에서 고성제(苦聖諦)가 분리되면서 발생하였다고 추정된다. 왜냐하면 자신의 고통이 아닌 문제를 연구할 때 그 문제는 추상화되고 자신과 관계없는 알음알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신의 알음알이를 이어받아 홍인은 진심(眞心)이라고 불렀고 혜능은 견성(見性)이라고 하였다. 그 방식은 선지식이 먼저 알음알이를 주어서 생각할 수 있는 기연을 만들고 다음에는 알 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을 겪도록 하였다. 이에 수행자는 선지식이 주는 알음알이에 혹했다가 다시 알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으로 공부하지만 늘 혼란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 이러한 알음알이의 영향으로 선가에서는 바르게 아는 것보다 체험주의가 확산되었고 개인적 수행주의가 만연하여 왔다. 본고는 이러한 면의 원인이 알음알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알음알이에 대하여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벽관(壁觀)을 바르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The Early Stage of Zen[初期禪] was derived from Dharma(達磨)s Byeokgwan(壁觀) and have been followed the light[傳燈]. But the Knowing[知解] was added to Byeokgwan(壁觀) i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in Chinese land, and then it became an obstacle to the study of Zen. Accordingly,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fact that the Knowing[知解] is the reason that someone cannot become Byeokgwan(壁觀). And I could find the origin of the Knowing[知解] at the One-thing[一物] of Dosin(道信). It was presumed that such Knowing occurred at the time when Goseongje(苦聖諦) was separated from Byeokgwan (壁觀). Hence the master gave his disciple the Knowing first to make him think and he made his disciple undergo the process to deny the Knowing next time. They inherited Dosin(道信)s Knowing, which Hongin(弘忍) named Jinsim (眞心) and Hyeneung(慧能) Gyenseong(見性). Therefore, the disciple always felt confusion because he was attracted to the Knowing that the master had given him and he studied the course of abandoning it in another moment.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Knowing, empiricism rather than a correct understanding of Zen spread, and it has been pervasive in individual practicism[修行主義]. This paper has the viewpoint that the cause of such a problem was deriv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Knowing, and a detailed study of the Knowing will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ccomplishment of Byeokgwan(壁觀)

    교류형 전기유전유체 복합적층보의 진동 특성에 관한 연구

    No full text
    Maste

    大衆媒體에 나타난 科學的 談論의 이야기화 現象과 그 現代社會的 機能에 관한 硏究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신문학과,1996.Maste

    Der ‚Tod des Subjekts‘ in Kafkas Erzählungen <Das Urteil> und <Ein Hungerkünstler>. Eine vergleichende Analyse.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독어독문학과, 2021. 2. 임홍배.Kafkas frühes Werk Das Urteil und sein späteres Werk Ein Hungerkünstler beschäftigen sich mit dem Tod eines erfolgreichen Kaufmanns bzw. eines Künstlers, der das Hungern als einen künstlerischen Akt benutzt.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diese beiden Todesfälle als Kritik an den negativen Aspekten des modernen Subjekts interpretiert. Ersterer bezieht sich auf den Tod eines subjektzentrierten monologischen Subjekts in der Moderne, und letzterer bezieht sich auf den Tod eines Körper-Subjekts, das von der modernen Macht in den menschlichen Körper eingeschrieben wird. Georgs Erinnerung, die im Anfangsteil von Das Urteil dargestellt ist, ähnelt dem Monologismus bzw. dem monologischen Narrativ in der westlichen Moderne, das Bakhtin kritisiert. Im zweiten Teil der Erzählung besucht Georg das Zimmer seines Vaters und führt einen Dialog mit seinem Vater. Von diesem Moment an verwandelt sich das monologische Narrativ in ein dialogisches Narrativ, was Georg mit jenen anderen konfrontiert, die er aus der Geschichte seines Lebens ausgeschlossen hat. In der dialogischen Situation entdeckt Georg den realen Lebenszustand, den er aus seinem monologischen Narrativ ausgeschlossen hat, und erkennt dann, dass die Geschichte, die seine Identität ausmacht, nicht wahr ist. Infolgedessen wird er, da er die falsche Geschichte verfasst, zum Tode verurteilt. Hier ist das über ihn gesprochene Urteil tatsächlich ein über das monologische Subjekt gefälltes Todesurteil. Georg akzeptiert das Urteil, obwohl sein Vater, der Kläger und zugleich Richter, keine Schuldbeweise erbracht hat. Das bedeutet, dass Georgs Entscheidung, Selbstmord zu begehen, nicht auf den von außen vorgebrachten Schuldbeweisen beruht, sondern auf seiner inneren Überzeugung der Schuldhaftigkeit. Das Todesurteil gegen Georg endet jedoch nicht mit einer bloßen Bestrafung, sondern führt zur Schaffung eines neuen Subjekts. Die Menschen, die Bakhtin beschreibt, existieren als eine große Masse, die keine klare Form besitzt und eine subversive wie generative Kraft auf die Alltagskultur ausübt. Diese Eigenschaft der Bakhtinschen Menschen ist in Georgs Vater zu finden, und die groteske Körperlichkeit seines Vaters bringt Georg vom monologisch-ideologischen Alltag in den lauten karnevalistischen Raum zurück. Folglich wird Georg als neues Subjekt geboren, das durch die Konfrontation mit der Kraft der Körperlichkeit geschaffen wird. Während in Das Urteil der Tod des monologischen wie geistigen Subjekts beschrieben wird, wird in Ein Hungerkünstler der Tod des Körper-Subjekts geschildert. Foucault argumentiert, dass Disziplin, als moderner Machtmechanismus, dem menschlichen Körper eingeprägt wird, um ein modernes Subjekt zu bilden. In Ein Hungerkünstler ist das Hungern ein körperlicher Akt, der die Einprägung symbolischer Zeichen ablehnt, welche durch Nahrung in den Körper eingeschrieben werden, um somit dem sozial zusammengesetzten Körper-Subjekt zu entkomm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as Hungern des Hungerkünstlers als Akt des Essens der Leere interpretiert. Durch das Hungern nimmt er das Fleisch weg, in dem das symbolische Zeichen eingeschrieben ist, und setzt an dessen Stelle ein Fleisch der Leere, das nicht zu symbolisieren ist. Unter diesem Gesichtspunkt kann das Hungern als ein Prozess der Destruktion des soziokulturell zusammengesetzten symbolischen Subjekts betrachtet werden. Für Lacan bedeutet Leere ein Loch in der symbolischen Ordnung. Sie ist so angelegt, dass alle Versuche, sich der Leere zu nähern, versperrt werden. Der Künstler jedoch versucht, gerade diese Leere zu treffen, indem er sich diesen Versperrungen widersetzt. Kafkas Hungerkünstler möchte seinen Körper zu einem Kunstwerk machen, indem er das Begehren nach einem Nicht-Essen, d.h. das Begehren nach einem Aufessen der Leere, in seinen eigenen Körper eingraviert. An diesem Punkt fungiert das Hungern in positiver Bedeutung als eine kreative Energie, durch die der Hungerkünstler die Wahrheit sucht, und rückt die negative, dass er keine Speise isst, in den Hintergrund. Darüber hinaus ähnelt der Körper des Hungerkünstlers, der faszinierend ist und gleichzeitig Ekel und Angst hervorruft, dem von Juila Kristeva beschriebenen Abject. Laut Kristeva verschwindet das Abject nicht, sondern dessen Spur bleibt im Unbewussten des Subjekts, wobei der Künstler versucht, sich dem Bereich des Abjects zu nähern. Diese Aussage von Kristeva über den Künstler gilt auch für den Hungerkünstler. Er entfernt durch das Hungern die symbolischen Zeichen, die in seinen Körper eingraviert sind, und enthüllt das Abject, das in seinem Körper unterdrückt geblieben ist. Man kann sagen, dass er ein Künstler ist, der die pathologische Kraft, die ihn dazu bringt, das Essen abzulehnen, zu einem Kunstwerk sublimiert. Sein Streben nach Leere ist die Arbeit, die von der symbolischen Ordnung verborgene Wahrheit zu enthüllen, und das Offenbaren des Abject durch das Hungern ist die Arbeit, die subversive Kraft in sich selbst auszustrahlen. In diesem Sinne kann man sagen, dass das Hungern das Werk ist, ein neues Subjekt zu konstruieren, wie Foucault sagt. Die Figur eines Panthers, der gleich nach dem Verschwinden des Hungerkünstlers erscheint, kann in diesem Sinn als die Erscheinung eines neuen Subjekts gesehen werden, das in der Leere geboren wurde, die der Hungerkünstler erreicht hat, und die in diesem Moment nicht den Zustand der Vernichtung markiert, sondern einen Bereich der produktiven Kraft. So wird die Leere auch in Zusammenhang mit dem gebracht, das Bakthin die Menschen nennt. Beide sind gemischte Massen ohne Unterscheidung durch ein symbolisches System und haben subversive wie generative Kräfte. In Das Urteil wird Georgs monologisches und spirituelles Subjekt durch den Dialog mit dem anderen und die Kraft des Körpers der Menschen, ähnlich wie in Ein Hungerkünstler das von der Macht konstruierte Körper-Subjekt durch die Kraft des Abjects, als neues Subjekt wiedergeboren.카프카의 초기작인 「선고」와 후기작인 「단식 예술가」는 각각 성공한 상인의 죽음과, 단식을 예술 행위로 삼는 예술가의 죽음을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죽음을 근대적 주체가 지닌 부정적인 모습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한다. 전자는 근대의 주체 중심적이며 독백적인 주체의 죽음을, 후자는 근대적 권력에 의해 인간의 몸에 기입된 몸-주체의 죽음을 의미한다. 「선고」의 전반부에 나타나는 게오르크의 회상은 바흐친이 비판하는 서양 근대의 독백주의 및 독백적 서사의 모습을 보인다. 소설의 후반부에 게오르크가 아버지의 방을 찾아가 아버지와 대화하게 되면서 독백적 서사는 대화적 서사로 변하고, 게오르크는 자신의 삶의 서사에서 배제했던 타자들과 마주한다. 대화적 상태에서 게오르크는 자신의 독백적 서사에서 배제했던 삶의 실제 모습을 발견하게 되고, 그 결과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해 온 서사가 엉터리였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엉터리 서사를 구성한 그의 자아는 사형 선고를 받게 된다. 이때 그에게 내려진 선고는 독백적 주체에 대한 사형 선고라 할 수 있다. 게오르크는 원고이자 재판관인 아버지가 유죄의 증거를 내세우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선고를 순순히 받아들이다. 그것은 게오르크의 자살에 대한 결심이 외부로부터 주어진 유죄의 증거에서 오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죄에 대한 내면으로부터의 수긍에서 오는 것이라는 점을 말한다. 그런데 게오르크에게 내려진 사형 선고는 단순한 처벌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주체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바흐친이 말하는 민중은 뚜렷한 형태를 지니지 않는 커다란 덩어리로 존재하며 일상의 문화에 대해 전복적인 생성의 힘을 발휘하는데, 게오르크의 아버지에게서 이러한 민중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아버지의 그로테스크한 신체성은 게오르크를 관념적인 일상으로부터 시끌시끌한 카니발적 공간으로 끌어내리고, 게오르크는 신체의 힘에 의해 구성되는 새로운 주체로 태어난다. 「선고」에서 독백적이고 정신적인 주체의 죽음이 나타났다면, 「단식 예술가」에서는 몸-주체의 죽음이 나타난다. 푸코는 근대적 권력 장치인 규율이 인간의 몸에 각인되어 근대적 주체가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단식 예술가」에서 단식은 음식에 의해 몸에 새겨지는 상징 기호의 각인을 거부하고 사회적으로 구성된 몸-주체로부터 벗어나려는 신체적 행동이다. 본 논문에서는 단식 예술가의 단식을 공백을 먹는 행위라고 해석한다. 단식은 상징 기호가 새겨져 있는 살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상징화되지 않는 공백의 살을 찌우는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단식은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상징적 주체의 해체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라캉에게 있어서 공백이란 상징체계에 난 구멍을 의미한다. 상징체계는 공백에 접근하려는 시도들을 차단하려 하지만, 예술가들은 이러한 차단에 저항하면서 공백에 다가가려 한다. 단식 예술가는 음식에 대한 거식의 욕망, 즉 공백에 대한 폭식의 욕망을 그 자신의 몸에 새겨 넣음으로써 자신의 몸을 예술작품으로 만들고자 하며, 바로 이 지점에서 단식은 단순히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부정성의 의미를 벗어나 진리를 추구하는 창조적 에너지로서 긍정성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또한 매혹적이면서 동시에 혐오감과 두려움을 주는 단식 예술가의 몸은 크리스테바가 말하는 비체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크리스테바에 의하면 비체는 주체의 무의식 속에서 사라지지 않고 흔적으로서 남아있으며, 예술가들은 이러한 비체의 세계에 다가가려 한다. 크리스테바의 예술가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단식 예술가의 모습에도 적용된다. 단식 예술가는 단식을 통해 자신의 몸에 새겨진 상징 기호들을 제거하고 자신의 몸에 억압되어 있던 비체를 드러낸다. 그는 음식을 거부하게 만드는 병리적인 힘을 예술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예술가라고 할 수 있다. 단식 예술가가 공백을 추구하는 것은 상징체계에 의해 은폐된 진리를 드러내는 작업이며, 단식을 통한 비체의 드러냄은 자기 내부의 전복적인 힘을 발산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단식은 푸코가 말하는 새로운 주체의 구성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단식 예술가가 사라지면서 나타난 표범의 모습은 그가 도달한 공백의 세계에서 태어난 새로운 주체의 모습이라고 부를 수 있으며, 이때 공백은 절멸의 상태가 아닌 생성의 힘을 지닌 구역이 된다. 따라서 공백은 바흐친이 말하는 민중과 연결된다. 이들은 모두 상징체계에 의한 구분이 없는 혼합적인 덩어리로서, 전복적이며 생성적인 힘을 지닌다. 「선고」에서는 게오르크의 독백적이고 정신적인 주체가 타자와의 대화 및 민중적 몸이 지닌 전복적인 생성의 힘에 의해, 「단식 예술가」에서는 권력에 의해 구성된 몸-주체가 공백과 비체가 지닌 전복적인 생성의 힘에 의해, 각각 새로운 주체로 거듭난다.1. 서 론 1 2. 선고: 독백과 대화, 그리고 독백적 주체의 죽음 11 2.1. 게오르크의 회상과 독백주의 11 2.1.1. 독백적 서사로서의 게오르크의 회상 11 2.1.2. 타자의 목소리에 대한 억압과 독백주의 18 2.2. 대화주의와 타자의 목소리 25 2.2.1. 대화주의와 내적 대화 25 2.2.2. 무의식의 대리인으로서의 아버지와 타자의 목소리 35 2.3. 독백적 주체의 죽음 45 3. 단식 예술가: 몸-주체의 죽음과 예술가의 사명 52 3.1. 몸과 주체성 52 3.1.1. 근대적 주체와 그로테스크의 몸: 선고 52 3.1.2. 주체 구성의 장소로서의 몸: 유형지에서 57 3.1.3. 유형지에서와 단식 예술가의 상호텍스트성: 처형 의식과 식사 의식 63 3.2. 단식과 주체의 죽음 67 3.2.1. 음식과 몸-주체 67 3.2.2. 단식과 주체의 죽음 71 3.3. 예술로서의 단식과 새로운 주체의 구성 77 3.3.1. 예술 행위로서의 단식 77 3.3.2. 단식과 새로운 주체의 구성 84 4. 결 론 91 참 고 문 헌 94 Zusammenfassung 99Maste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Quantum Dot (QD)-based Photoresponsive Fluorescence Probe for Multicolor Super-Resolution Imaging

    No full text
    DoctorProbe-based super-resolution imaging technique is becoming a rising tool for visualizing unknown sub-cellular life phenomenon, because of their overcoming Abbe diffraction limit.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jumped into the new super-resolution bio-imaging field carrying on their unique photoactivable fluorescent probes, however, there are some problems being pointed out such as low brightness and lack of photocontrollability of organic-based fluorescent probes. Here, I used fluorescent semiconductor nanocrystals, quantum dots (QDs), surface-conjugated with photolabile molecules, crystal violets (CVs). Non-radiative recombination of excitons in QD was accelerated by the CV molecules near the surface of QD, as a result, the photoluminescence (PL) of QD was quenched. The QD-CV conjugates were dispersed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 7.4),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simulated human body fluid. The solution of QD-CV conjugates responds to visible light, showing their luminescent modulation from quenched state to photoactivated state and subsequent photobleached state (PLon -> PLoff -> PLon). In the process of the photoactivation by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the PL of QD-CV conjugates recovers significantly; the irradiated QD-CV conjugates shows the PL enhancement with > 1000 % compared with that of non-irradiated QD-CV conjugates. At this point, I analyzed the illuminated QD-CV conjugates using 1H NMR spectroscopy and fast atom bombardment (FAB)-mass spectrometer, and confirmed the presence of 4,4’-bis(dimethylamino)benzophenone (BDBP) as a byproduct of photodegradation of CV. This indicates CV molecules degrade to benzophenone derivative via the electron acceptance from photoexited QDs, and it is the very the reason that QD-CV conjugates turn on their PL in the irradiation condition. Meanwhile, PL decrease again down to the PL level of non-irradiated QD-CV conjugates after certain irradiation time. Photoexcited QD-CV conjugates were disclosed to accelerate the production of hydroxyl radicals which are one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urthermore the hydroxyl radical bleach out the luminescent property of QDs. Time-resolved measurements of the fluorescence decay reveal the conjugation of CV accelerates non-radiative recombination of carriers in exited QDs, and multi-exponential kinetics and an average lifetime that lengthens during the illumination period and shortens when QDs are returned to darkness. A shoulder in the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FCS) curve of QD-CV conjugates appears at microsecond-correlation times, which means that blinking dynamics changes from the power law to increased population of transitory on/off states with microsecond-dwell time. Therefore, changes in FCS curves as a function of CV amount could reflect changes in blinking parameters, as a result of carrier-trapping mechanism. These results inform us that when an electron transfers to LUMO of CV and a hole remains in the valence band of the QD, and the dwell time of the charge separation is in microsecond time scale. In addition, FCS measurements show the quenching process of QD-CV conjugates can be believed as the turning the bright QDs into the “completely” dark QDs by QD-nearing CV molecules. I demonstrate functional patterning of optically active QD-CV conjugate films, which combines some advantages of high-throughput as well as and simplicity of photolithography. Importantly, the same technique was used to produce not only monochrome but also multicolor images. It also was confirmed that QD-CV conjugates remain their unique photoresposive luminescent modulation in a biomodel. QD-CV conjugates incubated in HeLa cells exhibited their luminescent recovery and subsequent bleaching in the irradiation of visible light, where PL dynamic range, defined as an intensity ratio of bright state to dark state, reaches to ~10. Furthermore, under single particle fluorescence measurement based on total internal reflection (TIRF) microscope, I observed that PL of small aggregates composed of two QD-CV conjugates showed stochastic photoactivation and photobleaching. The two QD-CV conjugates were localized via the two-dimensional Gaussian function fitting process on the individual CCD frames, and the resultant distance between the QD-CV conjugates is 46.6 nm. The same approach could be extended to reconstruct super-resolution image using simultaneously two color imaging system. As a result, the two green- and two red-emitting QD-CV conjugates in diffraction-limited area were resolved as a 147 nm distance through the reconstruction process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