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research outputs found

    Interspinous Implantation for Degenerative Lumbar Spin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at 3-yr Follow up

    Get PDF
    OBJECTIVE: Interspinous devices for dynamic stabilization of lumbar spine are undergoing development and clinical trials. A few short-term outcomes of interspinous devices have been reported but little has been mentioned about longterm outcomes. We reviewed 19 cases of interspinous implantation (Coflex Paradigm spine, Germany) to evaluate clinical long-term outcome and radiologic features.0aMETHODS: From January 2003 to March 2004, 19 patients (13 female and 6 male) who underwent interspinous implantation were included and follow-up data on clinical and radiologic outcomes were obtained at last clinic visit (mean follow-up: 38 months).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and Odom..s criteria.0aRESULTS: Preoperative VAS score for low back pain and leg pain was improved from 4.9ack pain and 7 and 11 showed excellent (36.8%) and good (57.9%) results for leg pain. Anterior and posterior disc height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on postoperative follow-up radiologic data due to discectomy at the level of instrumentation (p<0.01).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or device failure.0aCONCLUSIONS: In this long-term follow-up study, clinical outcome was good but disc degeneration after discectomy at instumented level resulting in decrease of disc height was observedope

    청신경초종 수술 후 장기 성적 : 164례의 분석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신경외과학전공,2000.Maste

    (A) New Model for Effective Diffusivity of Particles in Human Lung Airways

    No full text
    Docto

    A Study on Response Strategy of FTA

    No full text
    A Study on Response Strategy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 by Lee, Dong-Yeop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Graduate School of Korea Maritime University Abstract Recently, Korean export to China has been increasing rapidly. Now, China is the largest international trading market in northeast Asia. It is a major target market for exporters from many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So China is currently the largest market for Korean exporters, and it is the country where Korean company's overseas expansions are most active. At the same time, China poses as a possible direct investor for the Korea's domestic market. A Free Trade Agreement(FTA) which abolishes trade barriers, such as tariffs. FTA guarantees free movement of goods and economic growth through the creation of trade. So far, the establishment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 is under consideration. China is not only a new market with an opportunity, also a competitor with a 'definite threat'. In this situation, both countries pay close attention to establish FTA.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Expected Effect, such as benefits and harms,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 Then formulate most comprehensive and effective strategy of FTA between Korea and China. Key words : FTA between Korea and China, FTA, Strategy of Trade Abstract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2 1. 연구의 방법 ···················································································2 2. 연구의 구성 ···················································································3 제 2 장 FTA의 배경과 한·중 교역현황 ··········································5 제 1 절 FTA의 개념과 유형 ·····························································5 1. FTA의 개념 ····················································································5 2. FTA의 유형 ····················································································6 제 2 절 한·중 교역현황 ···································································12 1. 한·중 교역의 발전과정 ·······························································12 2. 한·중 교역의 현황 ·······································································15 제3 장 한·중 FTA의 추진현황 ·······················································18 제 1 절 양국의 FTA 현황 ·······························································18 1. 한국의 FTA 현황 ········································································18 2. 중국의 FTA 현황 ········································································24 3. 주요국의 FTA 현황 ····································································28 제 2 절 한·중 FTA의 추진현황 ·····················································30 1. 한·중 FTA의 추진배경 ······························································30 2. 한·중 FTA의 추진의 중요성 ·····················································32 3. 한·중 FTA의 추진일정 및 내용 ···············································35 제 4 장 한·중 FTA의 기대효과 분석 ···········································37 제 1 절 한·중 FTA의 취약분야 ·····················································37 1. 농업 ·····························································································37 2. 서비스업 ·····················································································38 3. 중소제조업 ·················································································41 제 2 절 한·중 FTA의 기대 효과 ···················································42 1. 한·중 FTA의 경제적 효과 ························································42 2. 한·중 FTA의 기대효과 ·····························································46 제 5 장 한·중 FTA의 대응전략 ·····················································52 제 1 절 예상취약산업에 대한 대책 ··············································52 1. 농업에 대한 대책 ·······································································52 2. 서비스업에 대한 대책 ·······························································53 3. 중소 제조업에 대한 대책 ·························································56 제 2 절 주요쟁점에 대한 대응 전략 ············································57 1. 중국 측 전략예상과 대응 ·························································57 2. 협상쟁점별 구체적 대응 ···························································61 3. 한·중 FTA의 대응 과제 ·····························································66 제 6 장 결론 ·····················································································71 참고문헌 ···························································································7

    Identifying Causes of Pediatric Malpractice and Developing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through an Analysis of Court Decisions on Medical Disputes in Pediatrics

    No full text
    국제보건전공/석사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및 인구의 고령화로 의료 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면서 의료사고로 인한 의료분쟁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소아청소년의 경우 출산율 감소로 인해 전체 인구수는 감소하였지만 의료이용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소아청소년에서 호발하는 질환은 그 특성과 예후가 성인과 다르며 의료사고로 인한 장애는 장기적으로 개인적, 사회적 손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의료 분쟁의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과 관련 의료소송의 판결문 분석을 통하여 소송의 주요 원인을 파악하고 소송으로 이어진 사고에 대한 재발 방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 동안 있었던 소아청소년과 관련 142개 판결문, 96건의 사건에 대해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10건을 선정하여 질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건의 발생 시점에서 종결까지 평균 해결기간은 1,424일로 약 3.9년가량 소요되었다. 2. 원고의 성별은 남자가 35명(36.5%), 여자 34명(35.4%)이었다. 3. 5세 이전의 환자에서 발생한 의료소송이 전체의 약 80%정도를 차지하였다. 신생아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소화기 질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 안과 질환에 대한 소송이 많았고 질식 사고의 1세 미만의 영아와 신생아에서는 발생 빈도가 높았다. 질환별로는 감염 질환이 24건(25.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질식사고, 신경계 질환, 소화기 질환의 순서로 나타났다. 4. 수집된 판례 중 54건(56.3%)이 제1심에서 사건의 최종 판결이 이루어졌으며 항소심 28건(29.2%), 상고심이 11건(11.4%)으로 나타났다. 5. 최종심 판결의 소송 결과는 원고일부승이 44건(45.9%)으로 가장 많았고 원고패 29건(30.2%), 조정이나 합의권고결정이 22건(22.9%)이었다. 6. 의료사고의 결과로 61건(63.5%)에서 사망으로 이어졌고 뇌성마비 등의 영구장애로 이어진 경우는 32건(33.3%)이었다. 7. 주의의무 위반으로 손해배상액이 발생한 것이 38건(39.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설명의무만을 위반한 사례는 2건(2.1%), 주의의무와 설명의무를 모두 위반한 사례는 4건(4.2%)이었다. 8. 원고일 부승 판결 44건에 대한 피고의 책임 비율은 평균 49.1%을 보였다. 9. 원고일 부승 판결 44건의 판례에 대한 손해배상금액 평균은 131,158,610원 (±100,276,120원)이고 최대값은 550,065,564원, 최소값은 8,008,504원이었다. 10. 2차 의료기관과 3차 의료기관에 대한 소송이 전체 소송의 75%이상을 차지하였다. 11. 피고의료기관의 위치는 서울이 35건(36.5%)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15건(15.6%)이었다.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검토사항과 재발방지 대책은 다음과 같다. 의료인의 행위에 대한 검토사항으로 우선 소아청소년을 진료하는 의사는 환자에 대한 정확한 문진과 함께 세심한 신체검진을 시행해야 한다. 질병에 대한 보호자 교육을 강화하여 협조가 힘든 어린 소아에서 보호자를 치료의 조력자로 만들어야 하며 증상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처치를 시행하되 1차 의료기관에서는 장비 등의 문제로 여건이 되지 않을 경우 즉시 상급 의료기관으로 전원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병원 내 의료진간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여 환자의 치료 방법에 있어 최선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의료진 개인적인 역량 강화에도 꾸준히 힘써야 한다. 의료기관의 운영체계에 관한 검토사항으로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의사와 전문 간호사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주말이나 야간 같은 당직시간에도 진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하며 응급상황에 대비한 의료진 비상 연락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의료진이 병원 밖에서도 원격으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진료시스템에 접근하여 처방을 허용하는 것도 더 빠른 처치를 위해 필요하다. 또한 지역 내 의료기관끼리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검사 및 치료를 위한 전원이 원활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소아에서 치명적일 수 있는 투약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 처방전달시스템과 처방검토 시스템을 개선하고 병동 내 응급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활력징후가 불안정하거나 미숙아, 저체중아 같은 특정 질환의 발생위험이 높은 환자들에서 위험요인 노출 정도를 모니터링 하는 집중관리 시스템을 시행하는 것도 의료사고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학회·직능단체 차원의 검토사항으로는 의료사고가 호발하는 질환들에 대해 빠뜨리면 안 되는 필수적인 검사와 그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관한 표준 진료지침을 개발하여 보급해야 한다. 정기적인 학술세미나를 통해 의료사고 사례를 공유하여 예방대책에 대해 논의하고 보호자를 위한 교육 자료를 제작·배포해야 한다. 또한 안전한 소아 수면 마취를 위한 노력으로 마취과와 영상의학과와의 학회 차원에서 소아 수면실의 운영 확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국가·지방자치체 차원의 검토사항에서 가장 필수적인 것은 저수가 체계에서 적정진료의 기반이 되는 의료수가 개선이다. 2·3차 의료기관의 실질적인 의료 인력인 전공의에 대한 수련환경 개선 역시 진료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의료인력 확보 장치를 마련한 후에 이루어지도록 보완책이 필요하다. 특정진료과목이나 일부 지역의 의료 자원 불균형과 부족에 대한 의료인력 수급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병원 신생아실에 대한 운영 지원을 시행하고 모든 신생아실에서 신생아 전문 인력 근무를 의무화하여 저 출산으로 인해 신생아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재정적 어려움을 보조하고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 동시에 노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의료전달체계를 정상화 하여 1·2·3차 의료기관 사이에서 환자 치료를 위한 유기적인 협력관계를 이루어야 한다. 소아청소년 판결문 분석을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사고 원인의 교정을 통한 의료사고의 예방이다. 이것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의료진 개인부터 환자와 보호자, 의료기관 및 국가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체계적이고 안전한 진료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ope

    Dispersionof Particle Pulse in a Double Bifurcation

    No full text
    Maste

    Treatment of callos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No full text
    의학과/석사[한글] 1984년부터 2005년까지 본 교실에서 조직학적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진단된 뇌량에 발생한 동정맥기형 환자는 총 56명으로 이들 환자의 입원기록과 방사선 검사 등 본 교실 뇌혈관기형의 데이터베이스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뇌량의 병소에 따라 뇌량슬(genu), 뇌량체(body), 뇌량팽대(splenium)의 위치별로 임상증상과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였다.전체 56명 중 수술치료를 15예(26.8%)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은 19.4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본원 감마나이프(gamma knife)를 사용하여 40예(71.4%)에서 시행되었고, Marginal dose는 20~50Gy로 평균31Gy였고, isodose line은 50%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25.3개월이었다. 수술치료를 시행한 15예의 환자 중 13예(86.7%)는 완전적출, 2예(13.3%)에서는 부분적출을 하였으며, 부분적출을 한 2예 모두에서 재출혈이 있었다. 이 가운데 1예는 재수술, 1예는 감마선치료를 추가로 하였다. 수술치료군의 치료결과는 14예(93.3%)가 양호, 1예(6.7%)는 보통의 치료결과를 보였다.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40예중 35예(87.5%)가 양호, 3예(7.5%)는 보통, 2예(5.0%)는 불량한 치료결과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상 병소의 용적이 완전소실된 경우가 22예(55.0%), 부분수축이 16예(40.0%), 용적의 변화가 없는 무반응이 2예(5.0%)이었다. 치료잠복기 동안의 재출혈은 40예 중 3예(7.5%)에서 있었으며, 뇌량팽대부 병소 2예, 뇌량체 병소 1예이었다.뇌량동정맥기형의 치료는 병소의 위치, 증상발현 등에 따라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후유증 없이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뇌량동정맥기형은 감마선치료 후 잠복기 출혈의 빈도가 여타부위보다 높으므로 출혈로 증상발현 된 뇌량슬과 뇌량체의 동정맥기형은 적극적으로 수술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뇌량팽대부 동정맥기형은 수술적 합병증의 빈도가 높은 부위이므로 우선적으로 감마선치료가 고려될 수 있고, 잠복기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뇌혈관 색전술을 고려해야 한다.본 논문은 뇌량의 동정맥기형에 대한 감마선치료법과 수술치료법의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뇌량에 발생한 뇌동정맥기형의 증상발현과부위에 따른 치료의 적응증과 치료법의 선택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Objective :To establish management strategy and to improve outcome of callos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s), fifty-six consecutive cases hospitalized from 1984 to 2005 are analyzed.Methods : Clinical and radiologic files were reviewe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9.4 months in microsurgery group, and 25.3 months in radiosurgery group.Results : The resection rate of microsurgery was considered total in 13 patients(86.7%), subtotal 2(13.3%). The final clinical outcome of microsurgery was good in 14 patients(93.3%), fair in 1(6.7%). One patient with splenial lesion had postoperative disconnection syndrome. Initial insults and hemodynamic complications were the major cause of an unfavorable outcome. In radiosurgery the complete regression of nidus was considered in 22 patients(55.0%), partial shrinkage in 16(40.0%), and no response in 2(5.0%). The clinical outcome of radiosurgery was good in 35 patients(87.5%), fair in 3 (7.5%), and poor in 2(5.0%). Rebleeding during the latency period(3 patients), radiation necrosis(1 patients) and initial insults(1 patients) were the major cause of postradiosurgery morbidity. Rebleeding during the latency period occurred in 3 patients(7.5%). Two lesions were in the splenium, and one lesion in the body of corpus callosum. All lesions were larger than 3cm in diameter. Two of them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and the rest one during the third year of latency period.Conclusion : Microsurgery, which eliminates the risk of bleeding immediately, is referred for callosal AVMs. Radiosurgery is another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splenial lesions with large bridging veins that interfere with microsurgical approach, and combined endovascular treatment would be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splenial lesions larger than 3cm in diameter that has higher risk of hemorrhage during the latency period.ope

    Changes of muscle strength in biceps brachii by the involuntary eccentric contraction

    No full text
    의공학부/석사근신경계 전기자극은 마비환자의 근력재활을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자극용 전류가 근신경의 탈분극을 유도하여 근육이 수축되게 되므로, 이는 중추신경이 마비된 환자라도 근 수축을 유도하여 근육의 구조적 재구성과 신경의 재활성화 등을 돕는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서 근신경계 전기자극을 이용한 근력재활이 유용함을 입증해왔으나 그 방법은 구심성 수축 운동에 국한되어 있었다.본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근력 강화 훈련에서 구심성 운동보다 원심성 운동이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에 착안하여, 원심성 근력운동을 마비환자의 근력 재활훈련에 적용하였다. 마비환자는 자의적 수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완 이두근에 적용할 불수의적 원심성 수축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근육의 수축을 유도할 전기자극기와 관절 운동을 만들어 낼 외골격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설계된 불수의적 원심성 수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7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24회의 근력훈련을 실시하였다. 한 세션에 30분간 지속적으로 상완 이두근을 대상으로 불수의적 원심성 수축 훈련을 진행하였고 주기적으로 근력의 지표가 될 최대 자의적 수축근력(MVC)과 등속성 운동중 최대 토크를 역량계(Dynam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 전/후에 초음파 진단기를 이용하여 상완 이두근의 근 두께를 측정하였다. 12주간의 훈련의 결과로, 최대 자의적 수축 근력은 11.67±4.99% 상승하였고, 등속성 운동 중 최대 토크는 각속도가 30, 60, 90°/sec에서 각각 24.0±6.09%, 20.3±7.84%, 24.3±11.87% 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 두께는 최대 자의적 수축 중에 32.4±26.6% 증가하였고, 이완 중에는 11.1±9.8%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본 연구를 통해서 불수의적 원심성 수축은 상완 이두근의 근력 증가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고, 특히 속근의 발달로 인해 빠른 각속도의 온동에서 더욱 효과적인 근력 증가 양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ope

    Validation of the MBI-SS Scales -based on Medical School Students-

    No full text
    본 연구는 외국에서 개발된 학업소진척도(MBI-SS)의 국내 타당화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의과대 학 재학생들(4개 학년, 총 382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설문지를 실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탐색 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무능력감, 냉소성), 총 14문항(정서적 고갈 5문항, 무능력감 5문 항, 냉소성 4문항)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요인구조 모델이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 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이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하위요인이 적절한 신뢰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업소진 척도는 우울과 정적상관을, 학업효능감과는 부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 타나 적절한 타당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 하였다. The MBI-SS (Maslach Burnout Inventory-Student Survey) Scales were validated using 382 medical students who were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3 factors with 14 items (5 items in exhaustion, 5 items in inefficacy, and 4 items in cynicism). After EFA, the hypothesized model was verifi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el was found in the good fit. Each factor also produc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inally, it was found that factor-derived scale scores were related to scores on a measure of 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efficacy.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Study on Method of Moments for Estimating Dynamic RCS of Drone

    No full text
    드론의 회전하는 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 도플러 신호는 드론을 새와 박쥐와 같은 유사한 RCS (Radar cross section; 레이다 반사 단면적) 레벨을 가진 클러터 또는 공중의 유기체와 구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드론의 마이크로 도플러 신호를 얻으려면 회전하는 프로펠러에서 산란되는 전기장의 계산 또는 측정이 필수적이다. 또한 분류기를 훈련시키기 위해서는 수많은 동적 RCS와 마이크로 도플러 시그니처 이미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프로펠러를 탑재한 드론의 움직임에 따른 동적 RCS를 빠르게 모사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프로펠러의 각 회전 각도에 대하여 임피던스 행렬과 어드미턴스 행렬을 반복적으로 계산하는 대신 프로펠러가 회전하더라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임피던스 행렬을 한 번만 구성한다. 또한 상대 각도 개념과 원거리장 근사를 모멘트법에 적용한다. 다음으로 드론 프로펠러의 거울상 대칭 특성과 원거리장 근사를 이용하여 단일 프로펠러의 동적 RCS를 합성하여 다중 프로펠러의 동적 RCS를 모사한다. 마지막으로 결과의 푸리에 변환을 이용하여 드론의 움직임에 따른 프로펠러의 회전 주파수를 획득하였다. 둘째, 다양한 움직임에서 드론의 동적 RCS를 빠르게 모사하기 위해 원거리 근사 및 메시 요소 회전을 모멘트법에 적용한다. 첫 번째 방법과 같이 3차원 메시와 단일 프로펠러의 임피던스 행렬은 프로펠러의 회전 동안 한 번만 생성하고, 드론 프로펠러의 거울상 대칭 특성과 원거리장 근사를 이용하여 단일 프로펠러의 동적 RCS를 합성하여 다중 프로펠러의 동적 RCS를 얻는다. 이 때, 메시 요소의 위치 정보는 3D 메시 또는 임피던스 매트릭스를 다시 생성하지 않고 회전한다. 마지막으로, 모사한 동적 RCS를 마이크로 도플러 시그니처로 변환하였다.1. 서론 1 1.1 드론의 동적 RCS 모사 연구배경 및 문제점 1 1.2 연구 논문의 소개 및 구성 3 2. 드론의 동적 RCS 모사를 위해 제안하는 방법 5 2.1 입사장 역회전법 5 2.1.1 단일 프로펠러의 동적 RCS 모사 5 2.1.2 다중 프로펠러의 동적 RCS 모사 9 2.1.3 방위각 평면에서의 다중 프로펠러의 동적 RCS 모사 10 2.2 메시 요소 회전법 12 2.2.1 단일 프로펠러의 동적 RCS 모사 12 2.2.2 다중 프로펠러의 동적 RCS 모사 15 3. 드론의 동적 RCS 모사 결과 및 고찰 17 3.1 입사장 역회전법 17 3.1.1 실험 조건 17 3.1.2 단일 프로펠러의 동적 RCS 18 3.1.3 상승하는 드론의 동적 RCS 22 3.1.4 전진하는 드론의 동적 RCS 25 3.2 메시 요소 회전법 26 3.2.1 실험 조건 26 3.2.2 상승하는 드론의 동적 RCS 28 3.2.3 전진하는 드론의 동적 RCS 36 3.2.4 좌측 이동하는 드론의 동적 RCS 38 3.2.5 노이즈가 추가된 경우의 드론의 동적 RCS 38 3.2.6 마이크로 도플러 시그니처에서 드론 몸체의 영향 46 4. 결론 49 참고문헌 51Maste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