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research outputs found

    충청남도와 경상남도 비교를 중심으로

    Get PDF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1.8. 이영성.Regional economic growth is achieved in two ways: increasing input of production factors and improving productivity.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improving productivity, believing that continuous growth is difficult through input of production factor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 all the changes in economic growth in the actual region through productivity improvement. The regional economy is affected in a variety of ways based on economic, social,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influencing factors, local investment is active and the factor of production increases, which leads to economic growth. Nevertheless, existing studies were limited to regional internal factors and only analyzed factors for improving productivity.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of regional economic growth in various ways by focusing on international trade and region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mpact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period. Chungcheongnam-do and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as case regions that can show the difference in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The target period was divided into the period from 2002 to 2008 and the period from 2009 to 2017 based on the global financial crisis for the two regions to examine the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he economic growth of Chungcheongnam-do and Gyeongsangnam-do were different. In Chungcheongnam-do, international trade factors expressed as exports per worker showed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conomies of scale and regional innovation factors appear stronger over time. On the other hand, in Gyeongsangnam-do, international trade factors showed insignificant results. The effects of economies of scale and regional innovation factors also decreased over time. The population size has a negative effect, and it is interpreted as slowing economic growth as the rate of increase of the elderly increases. Differences in economic growth factors of the two regions were interpreted based on differences in export markets and regional industrial characteristics. Chungcheongnam-do is expanding its exports to Asian countries based on its geographical advantage close to the West Sea. Accessibility to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hich is growing as an export base for high value-added industries, has become a favorable 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ies in Chungcheongnam-do. On the other hand, Gyeongsangnam-do is adjacent to the East Sea and exports to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but the rate of increase in exports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the 2010s, Gyeongsangnam-do showed an average annual export growth rate of -6%, showing a rather declining trend. Based on this, in Gyeongsangnam-do, the export value variabl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although the share of exports in the regional gross domestic product was higher than the national average. In addition, both the coefficient value and the significance de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tends the factors affecting regional economic growth to external factors and in that it identifies measures to improve regional economic growth. The slowdown in economic growth in Gyeongsangnam-do compared to Chungcheongnam-do can be explained by local internal factors, but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causes of economic growth based on international trade factors such as regional export markets, items, and changes in expor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economic growth improvement plans of the two regions were derived differently. In Chungcheongnam-do, continuous investment in the growth of the current export industr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t is expected that measures to foster human capital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industry-related technologies will be helpful. On the other hand, Gyeongsangnam-do needs change or innovation in the export industry. Policy support for the growth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which is the basis of export industries, should be provided, and investment in export-related infrastructure and human capital attraction should be made to induce business move-in and innovation.지역경제성장은 생산요소 투입 증가와 생산성 향상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기존 연구는 생산요소 투입을 통해서는 지속적인 성장이 어렵다고 보고 생산성 향상에 집중하여 논의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생산성 향상을 통해서 실제 지역의 경제성장 변화를 모두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경제는 경제·사회·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영향을 받는다. 영향 요인으로 인해 지역 투자가 활발해져 생산요소가 증가하고, 이는 경제성장을 이끈다. 그럼에도 기존 연구는 지역 내부 요인에 국한되어 생산성 향상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그쳤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 교역과 지역 산업 특성에 집중하여 다방면으로 지역경제성장 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과 기간에 따라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보았다. 경제성장 영향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사례 지역으로는 충청남도와 경상남도를 선정하였다. 대상 기간은 두 지역에 대해 세계금융위기를 기준으로 2002년부터 2008년 기간과 2009년부터 2017년 기간으로 나누어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로 충청남도와 경상남도의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충청남도는 종사자 1인당 수출액으로 표현한 국제 교역 요인이 양의 영향을 보였다. 또한, 규모의 경제와 지역 혁신 요인이 기간이 지날수록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상남도는 국제 교역 요인이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규모의 경제와 지역 혁신 요인 또한 기간이 지날수록 영향이 감소하였다. 인구 규모는 음의 영향을 나타내며, 고령층의 증가 속도가 높아져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대한 두 지역의 경제성장 요인 차이는 수출 시장과 지역 산업 특성 변화 차이를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충청남도는 서해와 인접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아시아권 국가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 고부가가치 산업 수출 거점으로 성장하고 있는 인천공항 접근성은 충청남도의 첨단산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이 되었다. 반면, 경상남도는 동해와 인접하여 미국과 일본 등 국가로 수출하고 있으나, 해당 국가의 수출액 증가율은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2010년대 경상남도는 연평균 –6% 수출액 성장률을 보이며 오히려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상남도는 수출이 지역내총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국 평균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출액 변수는 지역경제성장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계수 값과 유의도 모두 기간이 지날수록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외부 요인까지 확장하였다는 점과 지역별 경제성장 개선 방안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충청남도와 비교하여 나타나는 경상남도의 경제성장 둔화는 지역 내부 요인으로 현상을 설명할 수는 있지만 이유를 밝히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경제성장 원인에 대해 지역의 수출 시장과 품목, 수출액 변화 등 국제 교역 요소를 바탕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두 지역의 경제성장 개선 방안은 서로 다르게 도출되었다. 충청남도는 현재 수출 산업 성장에 지속 투자하는 것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첨단산업 관련 기술 개발과 함께 인적자본을 육성하는 방안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경상남도는 수출 산업의 변화 혹은 혁신이 필요하다. 수출 산업의 바탕이 되는 제조업 중소규모 사업체의 규모 성장을 위해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수출 관련 인프라와 인적자본 유치에 투자하여 사업체 입주와 혁신을 유도하여야 한다.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2 제 3 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 2 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고찰 7 제 1 절 이론적 배경 7 1. 지역경제성장 이론 7 2. 이론 고찰 11 제 2 절 선행연구 고찰 12 1. 규모의 경제 12 2. 산업구조 13 3. 지역혁신 15 4. 집적경제 16 제 3 장 사례지역 경제현황 18 제 1 절 지역 일반 현황 18 1. 일반 현황 18 2. 산업 특화 26 제 2 절 지역 수출 현황 28 1. 수출액 비중 28 2. 항만/공항 수출액 34 제 4 장 분석 모형 및 연구 설계 36 제 1 절 분석 모형 36 1. 분석 모형 설정 36 2. 패널 모형 설정 37 제 2 절 변수 구성 38 1. 종속 변수 38 2. 독립 변수 39 3. 통제 변수 40 제 5 장 분석 결과 43 제 1 절 기초통계 43 1. 충청남도 기초통계량 43 2. 경상남도 기초통계량 45 3. 지역 비교 47 제 2 절 모형 검정 49 1. 시계열 자료 검정 49 2. 패널 모형 검정 50 제 3 절 분석 결과 54 1. 분석 결과 종합 54 2. 독립변수 55 3. 통제변수 56 4. 소결 59 제 6 장 결론 61 제 1 절 연구의 요약 61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65 참고문헌 67석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Get PDF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술대학 미술학과, 2019. 2. 김성희.이 논문은 본인의 초현실적 주제를 가진 수묵화 작품을 바탕으로 하며, 그 배경이 된 일품(逸品)화풍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작품의 배경 및 내용을 고찰하며 이를 통한 창작론·작가론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본인 수묵화 작품의 특징은 발묵(潑墨)·파묵(破墨), 호방한 붓질을 활용한 표현성과, 초현실적 상상력을 통한 자유로운 주제의 심상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미술사 및 화론의 일품론·일품화풍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일품론의 핵심은 기존의 화풍에 구애받지 않고자 하는 불구상법(不拘常法)의 정신이며 이는 작품 창작론에 기초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창작론 측면의 일품론과 실제 작가들의 일품화풍으로 분류 할 수 있고, 이는 모두 작품 창작의 근거가 되었다. 일품화풍은 당대(唐代)에 발현되어 주경현(朱景玄)의『당조명화록(唐朝名畫錄)』에서 그 의미가 형성이 되고, 황휴복(黃休復)의『익주명화록(益州名畫錄)』에 이르러 화론사에서의 입지를 굳히게 된다. 작품창작에 근거한 일품화풍의 특징은 이러한 당·송대의 특징이며, 원·명·청에 이르러서는 그 의미가 세분화 및 일반화 되는 경향이 있어 본고에서 다뤄지는 창작론과는 거리가 생긴다. 그러나 명·청대의 개성적 화가들 중에서 당대의 일품화풍을 계승한 작가들 서위(徐渭), 팔대산인(八大山人), 석도(石濤) 등은 작품에 참고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고전적 일품화풍인 석각(石恪)과 양해(梁楷) 형식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는 표현적인 작품들이다. 화론의 일품연구를 바탕으로 본고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창작론은 첫째, 기존의 화법에 구애받지 않는 자유로운 화풍의 추구, 둘째,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반영하는 화풍의 추구, 셋째, 화가의 감정과 개성을 강조하는 화풍의 추구이다. 작품 전체의 주제배경으로는 장자와 서구의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및 풍류에 나타난 초현실성이 있다. 장자와 초현실주의 비교는 작품 전체의 주제와 관련된 철학적 배경이다. 장자와 초현실주의는 전쟁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 이후에 나타났다는 점, 현실극복의 의지가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차이점은 장자의 경우 현실 초월을 통해 궁극적·정신적 해방을 추구했으나, 초현실주의의 경우는 현실에 대한 불안과 억압된 정신 상태를 여과없이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 두 측면은 본인의 작품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데, 장자의 사상을 그대로 시각화하며 소요유(逍遙遊)의 노닒을 나타낸 작품군이 있는 반면, 현시대와 자아의 심리상태에 나타나는 불안의 요소들을 직접적으로 표현한 작품군도 있다. 장자의 소요유를 작화태도 및 작품 구상법으로 삼았는데, 심재·좌망(心齋·坐忘) 및 무위(無爲)는 노닒의 경지인 소요유를 위한 마음가짐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무위를 초현실주의자들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에 비유했다. 본인 작품의 도상을 만들어내는 근거 중의 하나로 초현실주의자들의 작품에서 나타났던 사물의 변형을 들 수 있고, 그 사상적 근거는 제물론(齊物論)이라고 할 수 있다. 초현실성의 몽환적 측면과 관련해서는 호접몽(胡蝶夢)과 정신분석학의 꿈을 작품의 기반으로 삼았다. 도석인물화에는 각종 신선과 그들의 마법이 등장하는데 이를 초현실성의 두 번째 주제로 설정했다. 중국의 방대한 신선관련 기록은 한국의 팔선도와 이를 그린 도석인물화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를 주관적으로 변형하여 본인의 수묵화에 반영했다. 풍류의 초현실성은, 그 목적성에 있다. 풍류 역시 장자와 마찬가지로 현실을 초월하기 위한 목적이 있었기에 초현실성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김홍도의 풍류그림과 신윤복의≪혜원전신첩≫에 나타난 풍류의 다양한 모습은 본인의 작품 중에서 음악 및 극예술에 영감을 받아 만든 것들에 참고가 되었다. 일품화풍 수묵화와 연관된 기법으로는 발묵, 파묵, 감필(減筆)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감필의 전형적인 특징은 두드러지는 발묵과 파묵 효과, 형태의 요체파악을 통한 간략화이다. 화론에서 언급한 석각, 양해, 팔대산인, 석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나타나며, 황신(黃愼) 및 김홍도의 작품에서는 각 작가의 개성이 두드러지는 감필법이 나타난다. 김성희의 연구 중에 복잡한 구도 안에서 부분적인 감필법을 찾아낸 부분이 있었는데, 이는 본인 작품의 복잡한 구도를 설명하는 근거가 되었다. 부분적으로는 미점준(米點皴)을 활용하여 대기표현을 하였고, 성김[疏]·빽빽함[密], 이완[鬆]·긴장[緊]의 기준을 화면구성의 원리로 삼기도 했다. 또한 다양한 시점을 적용하여 중첩과 겹침을 표현하고 포치(布置)와 포백(布白)을 기준으로 구도를 만들기도 했다. 이 모든 요소들은 본인 화면의 시각적 서술구조를 만들어 내는데 활용되었다. 작품의 주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는 방의 개념을 활용한 방법론을 사용한다. 방의 개념은 임모(臨摹)의 발전적 개념으로 원본 및 고인의 작품들을 근거로 하여 주관성을 펼치는 방법을 말한다. 이를 일품화풍 수묵화의 주제도출 및 화면구성의 방법으로 활용했다. 주제를 찾을 때 전통회화, 공연예술, 대중예술 등 다양한 다른 분야를 참고한 점은 방작을 현대적으로 활용한 부분이다. 방을 통한 방법론은 현대미술에서 중요해지고 있는 원본과 작품의 관련성과 연결지어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전체적인 주제, 기법, 방법론을 기초로 하여 제작한 수묵화의 주제들은 다양하게 세분화 된다. 자아탐구, 신선의 마법, 춘화, 현실비판, 마음의 휴식, 시공의 초월과 같은 주제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연예술 및 행위예술과 연관성을 갖는 작품들이 있는데 이는 수묵화 작품을 삼차원 공간 안에서의 요소로 고찰하면서 실험한 작품들이다. 특히 당대 일품화가들의 행위예술적 특징들을 백남준의 퍼포먼스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일품화풍을 종합예술의 형식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된다. 본인의 퍼포먼스 기획작품 에는 신윤복 작품들을 안무로 만든 부분이 포함된다. 작품에 부분적으로 적용한 방작의 개념은 화면 안으로 전통회화 및 다른 장르의 요소들을 불러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특히 확장적·창의적 개념의 방작으로 오페라, 음악, 문학 등을 반영한 작품들을 만들었는데 니벨룽의 반지 시리즈 에서는 벽화, 설치, 수묵화의 요소들이 한데 어우러진다. 공연예술과 행위예술의 시도를 통해 얻은 아이디어들은 다시 오페라, 재즈, 연극, 문학 등의 요소로 수묵화의 주제가 된다. 본인의 일품화풍 수묵화는 불구상법의 창작론, 장자, 초현실주의, 도석인물화, 풍류의 초현실성, 발묵·파묵·감필의 기법을 통해 형성되었고 음악·극예술·행위예술로 확장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대미술의 분위기 속에서 전통회화와 화론을 기반으로 한 창작론 및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어 : 일품(逸品)화풍, 수묵화, 초현실성, 장자, 도석인물화, 방(倣) 학 번 : 2013-30357Surrealistic Expression in the Yipin Style of Ink-and-wash Painting -based on my works- Kim, Eun Hyung Department of Fine Art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was based on my own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on surrealistic themes, with a focus on the yipin(逸品, careless) style that serves as its backdrop. The purpose was to examine the works background and content to suggest of a discourse of creation and the artist. The yipin style may be categorized into yipin theory in terms of creative discourse and yipin practice by actual artists, both of which served as a basis for my creation. Yipin emerged as a style during the Tang(唐) Dynasty, with its meaning formulated in Zhou Jingxuans Tangchao Minghua Lu(唐朝名畫錄, Record of Famous Tang Painters)its stature in the history of art discourse had become firmly established by the time of Huang Xiufus Yizhou Minghua Lu(益州名畫錄, Record of Famous Painters of Yizhou). Rooted in my artistic creation, the characteristics of yipin w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y. By the subsequent Ming, and Qing Dynasties, the meaning of yipin exhibited tendencies of differentiation and generalization that result in some differences from my artistic discourse addressed in this thesis. At the same, some idiosyncratic painters from the Ming and Qing Dynasties who carried on the same legacy of Tang-era yipin painting served as references for my thesis. A particular underpinning for the art/artist discourse is a mindset of not being bound to preexisting artistic styles(不拘常法). This key element of yipin bears some connections with Zhuangzi(莊子), surrealism, and the concept of fangzuo(倣作, creative imitation). Both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sought to transcend and overcome their tumultuous historical circumstances, an attempt that led in turn to artistic thinking and creation. The fangzuo concept may be seen as connected to the yipin ethos of intangibility in its departure from the retreading of original works and its added element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Thematically, the context for my work as a whole can be found in Zhuangzi,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surrealism manifested in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and pungryu culture (風流, meaning to enjoy arts). A comparison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serves as a philosophical backdrop in terms of the works overall themes. Zhuangzi and the surrealists bear similarities in having emerged in the wake of war and the resulting social turmoil, and in having been committed to overcoming their circumstances. One difference is that Zhuangzi sought ultimate spiritual liberation through transcendence of reality, whereas the surrealists explored the unconscious by using art in an unfiltered expression of their practical fears and oppressive mental state. These aspects are both manifested in complex ways in my work: some visualize Zhuangzis ideas directly to depict strolling within stillness(逍遙遊), while others give direct expression to the elements of anxiety existing in the present era and the egos psychological state. Part of the process of exploring my works themes was a research effort in which elements associated with Zhuangzhi and the surrealists were paired: wuwei(無爲, non-action) with automatism, the equivalence of things(齊物論) with transformations, and the butterfly dream(胡蝶夢) with dreams within psychoanalysis. Daoist and Buddhist portrait paintings include images of various spiritual beings and their associated magical powersthese transcendent and mystical capabilities were treated a theme of my artwork in terms of surrealism. Chinas vast literature on spiritual was a source of influence on Koreas Eight Immortals imagery and its rendering in Daoist/Buddhist portrait art. A subjective transformation of this was incorporated into my surrealistic ink-and-wash painting. The surrealism of pungryu culture lies in its goal-directedness. As in Zhuangzis case, pungryu could be classified as a surrealistic theme in the sense that it had the goal of transcending reality. This study of surrealism had a particular influence on my works inspired by music and the dramatic art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echniques associated with yipin ink-and-wash painting include splashed ink(潑墨), broken ink(破墨), and abbreviated brush drawing(減筆). These techniques influenced the basic canvas composition and served as basis for creating new compositions applying different standards. Mi dots(米點皴) were used to render the atmosphere, while standards of sparsity/denseness(疏·密) and tension/relaxation(鬆·緊) were applied as compositional principles. Superimposition and overlapping were also included through the adop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while the layout of imagery and negative space(布置·布帛) served as standards in developing the composition. The methodology for selecting the themes of my work incorporated the concept of fang(倣, imitation). A conceptual advancement on the linmu(臨摹) approach, fang refers to a form of subjectivity based on original art masterpieces, which were adopted as means to identify themes for my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style. The use of different genres including traditional painting, performing arts, and popular art as references for selecting themes was an example of a modern application of fangzuo(倣作). This imitation-based methodology warrants emphasis in traditional art discourse terms in connection with the relatedness between artworks and originals, which is a matter of increasing importance in contemporary art. My themes were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urrealistic themes into various works of art,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s were produced according to different criteria including exploration of the self, mystical powers, pornography, critiquing reality, dramatic art, theater, and music. Through its partial application to works of art, the fangzuo concept in particular formed a basis for introducing element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other genres into the canvas. The creative fangzuo concept was applied first analogically to music and then expanded into different genres from there. Connections with performance art and dramatic art were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the ink-and-wash work in terms of elements within space beyond two dimensions, with the prominent presence of performance art characteristics in the work of yipin painters adopted as a reference. My works of ink-and-wash painting in the yipin were developed first through an artistic discourse of intangibility, the surrealism of Zhuangzi and the Western surrealists, and the use of splashed ink, broken ink, and abbreviated brush painting as techniquesfrom there, they were expanded into the realms of music, dramatic art, and performance art. My aim with this research was to propose a discourse of creation and method for the contemporary art environment based on traditional painting and painting theory research, while suggesting how this could be applied broadly to a range of artistic forms. keywords : Yipin Style(逸品畫風), Ink-and Wash Painting, Surreality, Zhuangzi(莊子), Daoist/Buddhist Figure Painting(道釋人物畵), Fang(倣) Student Number : 2013-30357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Ⅱ. 일품화풍 수묵화의 역사적 전개 10 1. 일품화풍의 기원 및 형성 12 1) 일품의 형성과 화론적 배경 12 2) 당·송의 일품과 표현의 확장 15 2. 일품화풍 수묵화의 전개 35 1) 일(逸)의 변화 및 세분화 35 2) 명·청 작가들의 개성적 일품화풍 38 3) 일품론을 통한 창작론 47 Ⅲ. 일품화풍 수묵화의 초현실성 52 1. 장자의 심미관과 서구의 초현실주의 53 1) 배경의 유사성과 특징 대비 55 2) 무위(無爲)와 자동기술법 61 3) 제물론(齊物論)과 사물의 변형 70 4) 호접몽(胡蝶夢)과 초현실주의자들의 꿈 79 2. 전통 수묵화에 나타난 초현실성 87 1) 도석인물화에 드러난 초현실성 87 2) 풍류를 통한 초현실성 102 Ⅳ. 일품화풍 수묵화의 조형적 적용 114 1. 필묵의 현대적 적용 114 1) 발묵·파묵의 현대적 적용 115 2) 감필(減筆)의 현대적 적용 123 3) 미점준·횡점을 통한 대기표현 132 2. 구도의 현대적 적용 136 1) 성김[疎]·빽빽함[密], 이완[鬆]·긴장[緊]의 조화 136 2) 시점의 중첩과 겹침 140 3) 포백(布白)과 포치(布置)의 적용 146 4) 복합적 구도를 통한 시각적 서술구조 150 Ⅴ. 초현실적 심상표현을 위한 방(倣) 153 1. 방을 통한 주관성의 표현 155 1) 임모(臨摹)와 방의 의의 156 2) 명대의 창의적 방 164 3) 방의 현대적 의의 171 2. 방 개념의 확장과 장르의 복합성 175 1) 회화의 방과 음악의 변주 175 2) 방의 현대적 적용과 매체 179 Ⅵ. 일품화풍 수묵화의 초현실적 표현 186 1. 초현실적 수묵화의 유형과 표현 188 1) 자아탐구와 형태의 변형 188 2) 신선그림과 마법 195 3) 초현실적 춘화도 201 4) 초현실적 현실의 비판 207 5) 현실을 초월한 유희와 마음의 휴식 214 6) 타임머신과 시공의 초월 218 2. 종합예술 형식과 초현실적 수묵화 224 1) 평면의 입체화 및 수묵의 적용 224 2) 행위예술적 작화태도 229 3) 극예술과 초현실적 수묵화 247 4) 음악과 초현실적 수묵화 270 Ⅵ. 결론 285 참고문헌 293 Abstract 301Docto

    고든 S. 우드, 『벤자민 프랭클린의 미국화 과정』

    Get PDF
    The Americanization of Benjamin Franklin by Gordon S. Wood. New York: Penguin Books, 2005. xvi, 299 pp.역사학자 고든 S. 우드(Gordon S. Wood)가 쓴 『벤자민 프랭클린의 미국화 과정』(The Americanization of Benjamin Franklin)은 출간 이래 거의 10여 년이 되어가지만, 프랭클린에 대해, 더 나아가 미국혁명에 대해 일반인들이 지닌 편견을 단번에 준다는 점에서 여전히 미국학도들의 필독서라 하겠다. 우드가 책의 시작 부분에서 밝히는 대로 프랭클린에 대한 편견과 선입관은 시공을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이 인물에 대한 이해는 성공지향적 물질주의, 성공에 대한 실용주의적 집착, 비천한 부르주아의 돈벌이 가치관 등과 같은 중산층 자본주의의 부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키는 용어들로 점철되어 있는 상황이다(5). 게다가 우리는 미국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프랭클린을 손쉽게 연관지으며 건국 아버지로서의 그의 정체성을 아주 당연시하기도 한다(5). 그러나 우드는 프랭클린에 대한 이 같은 이해가 역사적 사실에 기반 하기보다 오히려 후세의 시대적 요구, 즉 평등주의를 지향하는 상업적 사회동력에 의해 만들어진것임을 분명히 한다(13). 즉 우드는 프랭클린의 이미지가 중산층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라고 정의할 미국의 국가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굳어지게 되면서 실제 그의 삶과는 거리가 생겨나게 되었음을 책 전체를 통해 조명한다. 단적인 예로 그는 프랭클린과 쉽게 동일시되는 중산층, 혹은중간 부류(middling sorts)의 신분이 원래 그가 열망하던 계급적 정체성이 아니었음을 밝힌다(55)

    Childrens English Novels Lexically Appropriat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Corpus-Based Study

    Get PDF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word types that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know in order to comprehend English language novels for children. We selected 14 novels that are educationally appropriat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word types and tokens in a corpus of the novels. The study assumed that the students knew the 800 elementary-level basic word types in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other comprehensible word types (e.g., loanwords, proper nouns, numbers). We then analyzed the number of word tokens that would be comprehensible to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2,613, 3,211, and 4,729 word types covered 90%, 95%, and 98% of the total token frequency, respectively. Of these, 151, 749, and 2,267 word types were found to be incomprehensible to the target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suitable lexical sizes for comprehending childrens English novels and the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their students while reading these novel

    Ultrastructure of the cementum and cemento-dentinal junction in human teeth

    No full text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구강해부학전공,2002.Docto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diversification of banking business and management results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4. 8. 최병선.최근 장기화되는 경기성장둔화와 저금리 추세 속에서 수익성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국내은행업계는 비이자손익비중의 확대를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이자손익비중의 증가가 그동안 국내은행의 경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크게 세 가지의 실증연구로 구성되었다. 첫째, 총영업이익 중 비이자손익 비중의 확대가 은행의 주요 수익성 지표와 위험성 지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비이자손익을 구성하는 각 주요 항목들이 비이자손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은행의 수익성과 위험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행의 설립원인에 따라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을 구분하고, 각 은행그룹별로 비이자손익의 비중 확대가 수익성과 위험성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이자손익비중의 확대는 수익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위험성 역시 개선시키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이자손익을 구성하는 주요 항목 중 그 비중이 크고 변동성이 낮은 수수료손익의 비중 확대는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위험성의 개선에도 대체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변동성이 큰 유가증권, 외환 및 파생상품부문 손익비중의 확대는 수익성과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특수은행은 일반은행보다 비이자손익비중의 확대에 의한 수익성과 위험성의 개선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국내은행에 있어 비이자손익비중의 확대는 수익성과 위험성 양쪽에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이므로 국내은행의 비이자업무의 확대를 지침으로 제시한 금융당국의 정책 방향 역시 최근의 현실에 비추어 볼 때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비이자손익비중의 확대를 추진해야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비이자업무의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 커졌을 때 나타나게 될 리스크에 대해서도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 변동성이 큰 유가증권 및 외환, 파생상품 부문의 비중이 커질 경우에는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업무 확장 시에는 충분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이자업무 확대의 효과가 일반은행보다 특수은행에서 낮으므로, 특수은행에게 일반은행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여 비이자업무의 확대를 요구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향후 국내 은행들은 지난 13년간의 영업행태와 달리, 각 은행별로 자신들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업무의 영역을 차별화화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금융당국의 정책 역시 그런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은행 겸업화 효과의 분석을 비이자손익 자체 뿐 아니라 비이자손익을 구성하는 각 요소들에 대하여도 수행하였으며, 외국은행들의 사례를 주로 분석한 기존연구보다 국내 현실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비이자수익에서 비용을 차감한 비이자손익의 비중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외환 및 파생상품 등 양방향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는 비이자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왜곡을 줄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이자업무의 효과를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은행 특성에 따라 겸업화의 효과가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의 각 개별은행의 특징에 대한 분석은 도출하지 못했고, 분석대상은행이 17개로 많지 않고 분석대상기간이 13년으로 길지 않은데 그 한계가 있다. 향후 더 세부적인 은행특성 분류에 따라 겸업화의 효과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국내 은행산업의 향후 정책 방향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Amid prolonged struggles attributable to slowdown in economic growth and level of interest rate that has been kept low, it is required for domestic banks to increase the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i.e., income other than the interest income) in their operating income. In this regard, this study contains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would affec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domestic bank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Firstly, it was analyzed how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would affect the profitability and risk of the banks. Second part of the analyses evaluated how each component of non-interest income would affect the profitability and risk of the banks. Lastly, the impact increased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would have on the profitability and risk was analyzed for commercial banks and special purpose banks (i.e., on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pursuant to the special purpose law), respectively. Based on the above analyses, it wa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profitability and risk level for the banks (e.g., increase in profitability and decrease in risk). The analyses also indicated that the increase in fee income, a component that comprises large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and does not fluctuate significantly, has a positive impact on profitability while improving the overall level of risk.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portion of securities income, FX income, and derivatives income did not indicate a consistent correlation to the profitability and/or risk. Lastly, it was resulted that the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and risk through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would not be as effective for special purpose banks as for general commercial banks. In view of the results of analyses summarized above,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appears to be beneficial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in profitability, but also for the management of risk. As such, it was concluded that the policy of financial authority that encourages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is practical and appropriate. Having said that, while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banks to endeavor to increase the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for the short-term, they shall be adequately prepared for potential risks that may arise from the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exceed certain level in the long-term. Furthermore, an increase in the portion of securities/FX/derivatives -related income may have unexpected effect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banks to take due care when planning for an expansion in those business areas. Meanwhile, as the positive impact of the increase in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is lower for the special purpose banks compared to general commercial banks, it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 special purposes banks to increase the portion of non-interest income by applying the same criteria as general commercial banks. Unlike in the past 13 years, it is critical for domestic banks to precisely understand their strengths/weaknesse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s and the financial authority should implement a policy taking such imminent needs of the banks into consideration. Unlike prior studies that have been conducted,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 diversification in the banking business may have on banks profitability and risk by analyzing not only the non-interest income itself but also various components of such income. Likewise, this study has a different signification from prior studies (that have primarily focused on analyzing cases of foreign banks) in that it is more relevant to domestic banks. Furthermore, the interest revenue (e.g., before net of interest expenses) has been used as a variable in prior studies. However, as there are many financial transactions involving a companion transaction (e.g., hedging) in relation to FX and derivatives, the use of the revenue as variable may lead to a distortion in the analysis results. Therefore, the income, which is revenue net of expense, was used as a variable in this study to reasonably mitigate such distortions. Lastly, this study contains separate analysis conducted for general commercial banks and special purpose banks, respectively, and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diversification in the banking business have different impact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banks. This study entails some limitations as individual analysis results for each domestic bank could not be presented and the analyses contained in this study are based on seventeen (17) domestic banks and for the period of thirteen (13) years. If an additional study is carried out in the future that further analyzes the impact of diversification in the banking business (e.g., more refined classification of banks, etc.), it would cast more practical and relevant implications on the policy of financial authority.목 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목적 -------------------------------- 1 제2절 연구 대상과 방법-------------------------- 8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 10 제1절 이론적 논의 ------------------------------ 10 1. 은행 겸업화에 대한 정의 -------------------- 10 2. 금융지주회사 도입과 현황 ------------------- 12 3. 자본시장통합법 ---------------------------- 16 4. 특수은행과 일반은행 차이 ------------------- 18 5. 국내은행산업의 현황 ------------------------ 22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25 1. 비이자손익비중과 경영성과의 관계 ------------ 25 2. 특수은행과 일반은행의 성과 차이 비교 --------- 29 제3절 본 연구의 특징과 의의 ---------------- 31 제3장 연구 설계 ---------------------------------- 32 제1절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 ---------------------- 32 제2절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모형 ------------------- 38 제4장 실증분석 결과 ------------------------------- 43 제1절 총량자료 분석 ----------------------------- 43 1. 비이자손익비중과 수익성 지표의 추이 비교 ------- 43 2. 비이자손익비중과 위험성 지표의 추이 비교 ------ 44 3. 비이자손익의 각 항목별 비중의 추이 ------------ 45 4. 비이자손익비중의 은행별 차이 ----------------- 46 제2절 패널회귀분석 결과 -------------------------- 47 1. 비이자손익비중과 경영성과 -------------------- 47 2. 비이자손익의 각 항목의 비중과 경영성과 --------- 52 3. 은행특성에 따라 비이자손익비중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 ---------------------------- 55 제5장 결론 및 함의 -------------------------------- 59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59 제2절 정책적 함의 및 연구의 한계 ------------------- 61 --------------------------------------- 64 Abstract ----------------------------------------- 67Maste

    (A)Connecticut Yankee in King Arthur`s Court와 Looking Backward: 2000-1887 연구 : 이상적 공동체 전망의 한계와 내러티브적 성과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문학전공,2001.Maste

    주름을 통한 표현기법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동양화 전공,2006.Maste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