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research outputs found

    『까라마조프家의 형제들』에서의 낭만적 부정성(否定性) 연구 : 이반을 중심으로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노어노문학과 노문학전공,1999.Maste

    Comparision Study of Forecasting Model on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No full text
    Maste

    Characterization of a dwarf mutant isolated by activation tagging in Arabidopsis thaliana

    No full text
    Thesis (master`s)--서울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부,2004.Maste

    Травестийный Апокалипсис Достоевского в фантастических рассказах <Крокодил> и <Бобок>

    No full text
    Резюме в данной статье рассматривается, как поднимается политическая проблематикаДостоевского на метафизический и религиозный аспект. Главным материаломнашего исследования являются два его фантастичких рассказа (1865) и (1873). был изучен до сих пор на фоне путевых записок и философского романа : он бьm справедливо воспринят как нападение на теоретическую систему Чернышевского и других / естидесятников./ На основе предыдущих исследованийздесь предпринята попытка выделитьетафизический план рассказа, скрытый в его публицистическом и политическом плане. В заключается апокалиптический 'страх и трепет' Достоевского как консервативного славянофила, ткнувшегося на фантасмагорическое явление 'modemity/: оно воплощается в западноевропейских капитализме и рационализме. Аллегорическая фантастика, созданная в подражаниегоголевскому , прежде всего, служит приемом для разоблачения тогдашних литературных и идеологических направлений. Однако, в глубине многоплановых метафор 'Пассаж' и /Крокодил' злободневный и современный контекст переноситс я на метафизический и религиозный. Подобная проблема наблюдается и в рассказе , написанном после двух апокалиптических романов и . Тема 'смерти' и 'посмертного мира', серьезная по своей весомости, с одной стороны связывается с журналистикой в жанровом аспекте, а с другой - с поэтикой фантастики, разработанной Достоевским с самого раннего этпапа его писательск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Отсюда и вытекает отчасти карнавальныймир или карнавализация мира (по терминологии Бахтина). В результате, образАпокалпипсиса, изображенный в романах 'Пятикнижия' Достоевского, здесь поддается карикатуре и травестии, и становится 'Апокалипсисом навыворот': тем самым, рассказ, содержащий в себе грубо аллегорический момент, превращаетсяв проникновенное наблюдение о смерти и бессмертии. Конечно, авторский проект заключается не столько в представлении Апокалипсиса либо как такового, либо как навыворот, сколько в осуществлении мечты о ' Золотом веке.' И соответственно, если раз поставелна писателем предпоссылка, что "За гробом - жизнь," т. е. если посмертный мир является лишь продолженимем той же земной жизни, то настоящая утопия должна быть найдена в самом этом мире. Именно в этом видится главная идея Достоевского как писателя и , а также исходная точка его последнего романа

    Коммуникация и сексуальность в литературе: Толстой и Достоевский

    No full text
    소통의 문제는 언어, 권력, 계급 등 여러 개념과 결합하여 다각도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성과 관련된 논의는 프로이드 이후 여러 석학들의 연구와 성문화의 전반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금기의 영역으로 남아 있다. 이는 성이 인간의 소통에 있어 가장 필연적이고 중대한 요소이면서 동시에 극히 배타적이고 특수한 양상을 띠기 때문이다. 실상, 성의 소통적 행위가 없었더라면 지구상의 그 어떠한 나도 지금 현재 여기에 존재할 수 없다는 평범하고도 절대적인 사실에 성의 모든 의미가 함축외어 있는 것이다. 어떤 식의 표현을 쓰든 간에 본원적 의미에서의 성은 죽음과의 대결 구도에서 발생한 것, 혹은 자연에 의해 그렇게 주어진 것으로 보인다. 개체로서의 인간이 지니는 유한성과 불연속성에 대해 무한성과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일한 출구가 바로 성의 소통적 실현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푸코의 방대한 연구가 보여주듯, 성에 대한 각종 문화적, 종교적 특수성과 맞물려 인간 사회가 주목해온 것은 성에 대한 이해(앎의 의지)와 그것의 효과적인 향유 -활용 혹은 통제-배려였다.이 논문은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KRF-2007-079-AM0057)

    Effect of Class Engag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ssessment-Oriented Learning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19. 2. 백순근.Previous research have proved the association between class engagement (CE) and academic achievement (AA). However, the mechanism of learning through which they are related has yet to be thoroughly studied. In this study, it was postulated that the learning mechanism would orient towards assessment. It is well known that learning is driven by assessment, but as assessment for learning has become the leading paradigm in educational assessment, the focus of research has shifted from teachers to students (or from instructors to learners). Students recognize assessment in manifold ways, which as a result differentiate educational outcome. To this poin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learning is oriented towards assessment, how it is facilitated, and to what it contributes. In this study, assessment-oriented learning (AOL) is defined as a self-directed effort to distinguish assessment demands of teachers and fulfill them in a strategic manner. Furthermore, the model where CE promotes AOL and AOL improves AA was empirically examined. The model is plausible as it can be hypothesized that students who are devoted to class engagement would be able to identify the assessment demands of teachers based on the cues directly and indirectly conveyed during class, develop and practic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to fulfill these demands, and eventually attain better academic achieve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prove such hypothesis are as follows: 1. How does class engagemen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2. How does class engagement affect assessment-oriented learning? 3. How does assessment-oriented learning affect academic achievement? 4. Does assessment-oriented learn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methods of research took place. First, Class Engagement Scale (CES) and Assessment-Oriented Learning Scale (AOLS)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o measure the corresponding constructs. CES is composed with cognitive engagement and affective engagement, while AOLS is composed with recognizing the value of assessment, executing the assessment demands, and utilizing the result of assessment, and each of these components included 5 items. The scales were develop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en were confirmed for content validity by a group of experts. Moreove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confirmed by a pilot test. A total of 335 female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 in Korea took part in this study. This study lasted over a period of a semester, and the semester consisted of 20 weeks. The participants CE was measured using CES at the 1/5 point of the semester, AOL was measured using AOLS at the 3/5 point of the semester, and at the 5/5 point of the semester, the final-term exam scores and performance assessment scores were collected to be used as an index of AA. The data was then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E, AOL, and A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CE and A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earson coefficient = .429). Among the components of CE, cognitive engagement, rather than affective engagement, demonstrated a higher correlation with AA. The SEM result also suggested that the path from CE to A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tandardized coefficient = 0.280), indicating that CE was predictive of AA.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CE and A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earson coefficient = .578). The SEM result also suggested that the path from CE to A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tandardized coefficients = 0.751), indicating that CE was predictive of AOL.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AOL and A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earson coefficient = .425). Among the components of AOL,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executing the assessment demands and AA, which implies that in order to improve ones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should not only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s assessments but also actually try to identify the assessment demands of teachers and attune their learning towards them. Meanwhile, the SEM result also suggested that the path from AOL to A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tandardized coefficients = 0.327), indicating that AOL was predictive of AA. Forth, the total effect CE has on AA is comprised of direct effect (CE → AA) and indirect effect (CE → AOL → AA), and thes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re estimated by SE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se effects were tested using Sobel test and bootstrapping method, and the result showed that both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46.8% of the total effect was accounted for by a mediating effect of AOL. This implies that AOL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CE has on AA,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with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effect of CE on AA is partially mediated by AOL. Such result implies that assessment-oriented learning is one of the mechanisms by which students class engagement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lassroom activities be planned and operated with the purpose to stimulate assessment-oriented learning. It means that teachers should convey their assessment demands to their students in a clear and communicative manner and retur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s as a form of customized feedback, whilst students in response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ir teachers cues of assessment demands so that they are able to strategically attune their learning to fulfill such demands. These ultimately allow assessments to become an effective and efficient channel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hich leads to better educational outcomes.수업참여가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수업참여로 인해 촉발되어 학업성취 향상에 기여하는 학습이 어떠한 양상을 지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학습이 평가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고 상정하였다. 학습이 평가에 의해 주도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만, 최근 학습을 위한 평가가 교육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함에 따라 연구의 초점이 변화하고 있다. 예컨대 기존의 연구들이 다양한 유형의 평가나 평가를 주관하는 교사의 전문성에 초점을 두었다면, 최근의 연구들은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두고 있다. 동일한 평가가 시행되더라도 그 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매우 다양하고, 그것이 차별적인 교육 효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생들의 평가에 대한 인식이 그들의 학습을 이끄는 구체적인 양상을 포착하고 그러한 학습이 무엇에 의해 활성화되어 무엇에 기여하는지 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평가주도학습을 평가의 요구를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실행하는 노력으로 정의하고, 평가주도학습이 수업참여에 의해 활성화되어 학업성취에 기여하는지를 경험과학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열성적으로 참여하는 학생들은 교사가 직·간접적으로 전달하는 단서들을 바탕으로 평가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평가주도학습을 이행함으로써 학업성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세분화하였다. 1. 고등학생의 수업참여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고등학생의 수업참여는 평가주도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고등학생의 평가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고등학생의 수업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주도학습이 매개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측정 도구로 수업참여 척도와 평가주도학습 척도를 개발하였다. 수업참여 척도는 인지적 참여와 정의적 참여의 2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고, 하위영역별로 5개 문항씩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평가주도학습 척도는 평가 가치 인식, 평가 요구 이행, 평가 결과 활용의 3개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고, 하위영역별로 5개 문항씩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척도들은 국내외 선행 연구 검토, 전문가협의회, 예비검사 등을 거쳐 완성하였고,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신뢰도가 모두 양호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 소재 ○○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약 20주간 실시되는 2학기 수업의 1/5 시점에 수업참여 척도를 사용하여 수업참여를 측정하였고, 3/5 시점에 평가주도학습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주도학습을 측정하였으며, 5/5 시점에 주요 교과(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의 지필고사(기말고사) 점수와 수행평가 점수를 수집하여 학업성취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와 같이 측정 및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수업참여, 평가주도학습,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는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수업참여와 학업성취의 상관은 .4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수업참여와 교과별 학업성취의 상관은 국어 교과에서 .403, 영어 교과에서 .390, 수학 교과에서 .345, 사회 교과에서 .343, 과학 교과에서 .395로 나타났다. 수업참여의 하위영역별로는 정의적 참여보다 인지적 참여가 학업성취와 더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경향이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수업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경로가 전체 모형과 국어, 영어, 수학, 과학 교과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5), 표준화계수는 전체에서 .280, 국어 교과에서 .250, 영어 교과에서 .337, 수학 교과에서 .425, 과학 교과에서 .459로 나타났다. 다만, 사회 교과에서의 해당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수업참여는 평가주도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수업참여와 평가주도학습의 상관은 .57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평가주도학습의 하위영역별로는 평가 요구 이행, 평가 결과 활용, 평가 가치 인식의 순으로 수업참여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나아가 평가 요구 이행과 평가 결과 활용은 인지적 참여와, 평가 가치 인식은 정의적 참여와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수업참여가 평가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경로가 전체 모형과 교과별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1), 표준화계수는 .751~.761 수준이었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평가주도학습은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평가주도학습과 학업성취의 상관은 .42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평가주도학습과 교과별 학업성취의 상관은 국어 교과에서 .400, 영어 교과에서 .380, 수학 교과에서 .343, 사회 교과에서 .345, 과학 교과에서 .358로 나타났다. 평가주도학습의 하위영역별로는 평가 가치 인식이나 평가 결과 활용보다 평가 요구 이행이 학업성취와 더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평가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경로가 전체 모형과 모든 교과별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5), 표준화계수는 전체 모형에서 .327, 국어 교과에서 .412, 영어 교과에서 .257, 수학 교과에서 .360, 사회 교과에서 .535, 과학 교과에서 .248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주도학습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추정된 직접효과(수업참여→학업성취)와 간접효과(수업참여→평가주도학습→학업성취)의 통계적 유의성을 Sobel 검증과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으로 확인하였다. 직접효과는 전체 모형과 영어, 수학, 과학 교과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5), 간접효과는 전체 모형과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교과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전체 모형에서 평가주도학습이 수업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였고, 평가주도학습의 매개효과가 학업성취에 대한 수업참여의 총 효과의 46.8%를 차지하였다. 교과별로는 국어와 사회 교과에서는 완전 매개효과가,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과학 교과에서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매개효과가 총 효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가주도학습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난 국어와 사회 교과에서 각각 55.4%, 73.2%, 평가주도학습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난 영어와 수학 교과에서 각각 36.8%, 39.1%로 나타났다. 요컨대 이 연구는 수업참여가 평가주도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평가주도학습이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수업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평가주도학습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경험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수업참여가 평가주도학습을 촉진하는 것이 학업성취라는 교육성과 달성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평가를 매개로 한 학생과 교사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학습자는 평가의 요구를 파악하고 그것을 이행하기 위한 학습 전략을 구사하기 위해 힘써야 하고,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평가의 요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평가 결과는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피드백으로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수업참여 2. 평가주도학습 3. 학업성취 4. 변인 간의 관계 Ⅲ. 연구 가설 1. 주요 변인 설정 및 정의 2. 연구 가설 및 연구 모형 Ⅳ.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방법 Ⅴ. 연구 결과 1. 기초통계 2.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Ⅵ. 요약 및 논의 1. 요약 2. 논의 참고문헌 부록(설문지) AbstractMaste

    Авторская дилемма Гоголя и Мертвые души

    No full text
    문우들에게 쓴 고골의 편지에서 ??죽은 혼(Мертвые души)??(1842)과 관련된 언급을 살펴볼 때1) 공통된 것은 규모 내지는 용량에 대한, 거의 강박관념에 가까운 열망이다. 그 무렵 그가 염두에 둔 것은 아주 긴 소설(7:129), 심지어 몇 권으로 이루어진 길고도 긴 작품(7: 147)이었다. 그런 만큼 플롯은 응당 방대하고 독창적이어야(какой огромный, какой ориги-нальный сюжет! 7: 144) 했다. 이런 거대한 형식을 통해 그가 그리고자 한 대상 역시 못지않게 거대한 것, 즉 전(全) 러시아였다.2) 그 모델이 호메로스의 서사시, 더 가깝게 단테의 ??신곡??,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였음3)은 주지의 사실이다. 고골이 선호한 포에마라는 말 역시 근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식의 서사 장르 구축을 향한 야망의 표명으로 볼 수 있겠다. 방대한 규모의 작품이라는 고골의 표상과 관련하여 참조할 만한 재미있는 글이 있다. 「러시아 청소년을 위한 문학교과서(Учебная книга словесности для русского юношества)」(1845)에서 그는 문학의 여러 장르에 대한 그 나름의 정의를 제시한다. 그 중 장편소설(роман) 항목에서 눈에 뜨이는 말은 소설은 서사시(эпопея)가 아니다. 그것은 차라리 드라마라고 부를 수 있다.(6: 385)라는 지적이다. Некоторые замечания, сделанные Гоголем в связи с работой над ??Мерт-выми душами??, говорят нам, какова велика была авторская амбиция: он хотел создать особого рода эпопею(поэмуили меньшие роды эпопеи, соответствующую новому времени В его понятии она должна предста-вить верную земную картину включающую в себя недостатки, злоупо-требления, порокичеловека. Итак, удовлетворила ли автора его поэма С этого вопроса начинается данная статья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