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research outputs found
Risk Society and the Transition of the Energy System: An Analysis of Energy Preferenc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후쿠시마 사고 이후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너지 체제 전환 논쟁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개인적 차원의 에너지 선호와 선호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지는 에너지에 대한 선호, 선호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원자력 에너지, 화석 에너지, 新재생 에너지 선호를 종속변수로, 세 가지 요인(가치적 요인, 구조적 요인, 지각적 요인)들과 관련된 10개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진보적 성향을 가진 응답자는 新재생 에너지를, 환경주의는 反원자력을, 脫물질주의는 反화석-親新재생 에너지 선호를 유도하고 있었으며, 에너지 안보 위협과 과학적 낙관주의는 세 가지 에너지에 대한 선호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적 요소 중 지각된 편익, 신뢰, 지식 등은 각 에너지에 대한 선호를 높이는 반면에 지각된 위험과 부정적 이미지는 이를 낮추고 있었다. 특히 신뢰와 부정적 이미지는 한국인의 에너지 선호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Research into the transformation of the energy system in developed countries has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Fukushima accident. This study examined a variety of Koreans energy preferences and their determinants. The preference for three energy policies was adop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ree factors (structural, value, perception factor) provided the ten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show that progressives had a preference for renewable energy, environmentalists preferred anti-nuclear energy policy, and post-materialists were anti-fossil fuel and pro-renewable energy. The threat to energy security and scientific optimism both reinforced the preference for the three energy options. The perception factors of perceived benefit, trust, and knowledge increased the preference for each energy option while perceived risk and negative image decreased it
Development of Duplex-PCR Method for Rapid Identification of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s, a rapid method was develop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and Mediterranean mussel (M. galloprovincialis) in order to prevent their illegal distribution, and they are morphologically similar to each other during the spat period. The designed primers amplify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b (COB) region from mussel shellfish (genus Mytilus). Using the sequences of the COB region, the Mytilus_c primer set that shows amplification for mussel shellfish (genus Mytilus) and the Mytilus_corS primer set that shows specific amplification for hard-shelled mussel was developed. In the hard-shelled mussel, duplex-PCR with both primer sets amplified a species-specific band of 334 bp with a 236 bp band common to the mussel genus. However, in the Mediterranean mussel, only a common 236 bp band was amplified. This result suggests that duplex-PCR with two primer sets allows identification of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PCR process (i.e., lack of bands) and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hard-shelled mussel and Mediterranean mussel using a single PCR. Therefore, the molecular marke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a powerful and accurate tool to rapidly distinguish between hard-shelled mussels and Mediterranean mussel.22Nkc
Socialist Transition and Changes in North Korea: From a Perspective of Comparative Socialism
이 글은 비교사회주의 시각에서 사회주의 체제전환론을 고찰하고 전환의 유형과 방식을 결정하는 초기 조건(initial conditions)과 경로의존성(path dependence)에 대해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향후 북한 체제전환의 가능성과 방식을 전망하고 이를 위한 조건과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북이 체제전환에 나설 경우 아시아형 ‘점진적 체제개혁’과 정치체제의 근본 변화 없는 ‘당-국가 주도형’ 체제개혁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점진주의(gradualism)에서도 중국 베트남보다 ‘쿠바형’에 상대적인 친화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북한 특유의 초기 조건과 역사적 유제들을 고려하면 북한의 체제전환은 특정 유형이 아닌 고유한 ‘북한식’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 당장은 가장 북한적인 초기 조건으로서 수령제라는 대내 조건과 북미 남북관계라는 대외 조건이 체제전환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이다.
This paper will analyze the theory of socialist transition under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socialism and examine initial conditions and path dependence of regime change, which determine the form and method of transit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possibility of regime change and its method will be explored as well as conditions and tasks necessary to accomplish this will be suggested. If North Korea decides to pursue regime transition, it is most likely to take the Asian model of “gradual systemic reform” or regime reform centered on “party-state system” that will not involve any major change from its current structure. Under the explanation of gradualism, North’s regime change will resemble relatively that of “Cuban model” than that of China or Vietnam. However, considering the unique initial conditions and historical factors, North Korea’s regime
change will not resemble a specific case type but rather a distinctive “North Korean approach” will be taken. The initial conditions of North Korea that is preventing regime change are Suryong System that governs the domestic situation and external factors of US-DPRK and inter-Korean relations.이 논문은 2009년 서울대학교 통일학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development strategy in North Korea : focused on 1950s and 1990s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1999.Docto
항-TAG-72 면역리포솜을 이용한 인간 대장암 표적 유전자 전달
Dept.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박사[한글]암에 대한 이상적인 치료방법은 종양 세포에 특이적으로 표적화 될 수 있어야 하며, 정상 세포에 독성이 없고, 전신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전이된 종양뿐만 아니라 원발성 종양에도 도달될 수 있어야 한다. 단일 항체나 그 항체 절편이 부착된 면역리포솜은 종양을 표적으로 한 약물전달체로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전달체는 체내에서 전달효율과 선택적 전달성이 낮아 체내 유전자 전달에 대한 자료가 미미하다.
이들 문제들을 극복하여 체내 전달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두 가지 유형의 종양표적 면역리포솜을 제작하였다. 그 하나는 TAG-72과발현 종양 세포를 표적하기위해 liposome
DNA복합체에 항 TAG-72 Fab'' 절편을 부착하여 만든 항TAG-72 양이온성 면역지질복합체 (ILP)이다. 이 복합체는TAG-72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재조합 인간화 단일 클론 항체 HzCC49의 Fab'' 절편이 양이온 지질인 DMKD와 cholesterol, DPPE-PEG-Mal로 구성되어 있다 (1:1:0.03 molar비율). 여기에transferrin(Tf)을 첨가하여 만든 것이 Tf-면역지질복합체이다. 이러한 Tf-면역지질복합체는 높은 농도(60% 까지)의 혈청이 존재하여도 일반 지질복합체 보다 더욱 우수한 세포 내 유전자 전달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Tf-지질복합체를 이용한 인간 대장암 세포주 LS174T에 유전자전달은 비표적성 지질복합체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12배까지 높았다. 더 나아가, LS174T 세포주가 이종이식된 누드마우스 모델에 정맥 투여 된 항TAG-72 Tf-지질복합체의 암세포 내 유전자 전달활성 또한 비 특이적 지질복합체에 비교하여 매우 우수하였다.
또 다른 하나는 유전자를 포획하고 있는 항TAG-72 면역리포솜 (PIL) 이다. 항 TAG-72 PIL은 POPC (91-94 mole %), DMKD (2-5 mole %), DSPE-PEG2000 (3 mole %), DSPE-PEG2000-Mal(1 mole %)을 이용하여 균질 하게 제조된 리포솜(지름 90-110 nm)에 역시 HzCC49의 Fab'' 절편이 결합되어 만들어졌다. 이러한 항 TAG-72 PIL은 일반 리포솜에 비해 LS174T 세포의 표면에 대한 부착능이 뛰어났다. 또한, 높은 농도의 혈청이 존재하여도 일반 리포솜에 비해 LS174T세포에 대한 유전자 전달이 우수하였다. 또한 동물 실험에서도 비표적성 리포솜과 달리 항 TAG-72 PlL은 선택적으로 이식된 종양 조직으로 유전자를 전달하였다.
항 TAG-72 PIL을 통해 암세포로 전달된 항암 치료 유전자인 angiostatin K1/3, endostatin, saxatilin유전자들은 누드 마우스에서 LS174T 종양 성장과 종양 신혈관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Hydrodynamic 방법을 통해서도 투여된 angiostatin K1/3, endostatin, saxatilin 유전자들은 마우스에 이식된Matrigel 내부에서의 혈관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 하였다. 이들 세 가지 혈관 생성 억제 인자를 같이 투여하였을 경우가 각 각 투여한 경우와 비교하여 B16BL6 흑색 종양 성장과 전이가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되었다. 치료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pFLAG-AngioK1/3, pFLAG-Endo, pFLAG-Sax를 동시에 치료한 경우에서 86%의 B16BL6 종양 억제와 90%의 전이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을 통하여 볼 때, TAG-72 항원을 매개로 한 면역지질복합체(ILP)와 면역리포솜(PIL)이 전신적 투여를 통해 종양 세포에 직접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유전자 전달 수단임을 알 수 있다.
[영문]An ideal therapeutics for cancer would be one that selectively targets to tumor cells and is nontoxic to normal cells, and that could be systemically delivered, thereby reaching metastases as well as primary tumor. Immunoliposomes directed by monoclonal antibody or its fragments have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vehicle for tumor targeted drug delivery. However, there are currently very limited data regarding immunoliposome-mediated gene delivery due to their low transfection efficiency and lack of in vivo target specificity.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wo types of noble immunoliposomes were designed for tumor targeting. The one was the anti-TAG-72 cationic immunolipoplex prepared by adding modified anti-TAG-72 Fab'' fragments to liposome/DNA complexes for targeting to TAG-72-overexpressing tumor cells. The Fab'' fragment of a recombinant humanized monoclonal antibody, HzCC49, specific to TAG-72 was conjugated to cationic immunoliposomes consisting of cationic lipid DMKD (O,O''-dymyrisyl-N-lysyl aspartate), cholesterol, and DPPE-PEG-Mal (1,2-Dipalmitoyl-sn-Glycero-3-Phosphoethanolamine-N-[maleimide (poly-ethylene Glycol)2000]) (1:1:0.03, molar ratios). The anti-TAG-72 immunolipoplex was further modified by addition of transferrin (Tf-immunolipoplex). The Tf-immunolipoplex was more effective than plain lipoplexes (non-specific lipoplexes) in vitro gene transfection in the presence of a high concentration of fetal bovine serum (up to 60%). In this study, the Tf-immunolipoplex specific to TAG-72 was able to enhance gene expression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LS174T cells by 12-fold, compared to the plain lipoplexes. Furthermore, the anti-TAG-72 Tf-immunolipoplexes exhibited significantly enhanced transfection to LS174T cells xenografted in nude mice 48 hr post intravenous injection while the plain lipoplexes did not.
The other one was the anti-TAG-72 polyethylene glycol-coupled (PEGylated) immunoliposomes (PILs). The anti-TAG-72 PILs were constructed by conjugation of Fab'' fragments of HzCC49 to termini of PEG coupled to unilamellar liposomes (90-110 nm in diameter) to create targetability to TAG-72-overexpressing tumor cells. The PILs were prepared with POPC (1-palmitonyl-2-oleoyl-sn-glycerol-3-phosphocholine, 91-94 mole %), DMKD cationic lipid (O,O''-dymyrisyl-N-lysyl aspartate, 2-5 mole %), DSPE-PEG2000 (distearoyl-phosphatidylethanlamine-poplyethylene glycol 2000 Da, 3 mole %), and DSPE-PEG2000-Mal (DSPE-maleimide, 1 mole %). The anti-TAG-72 PILs were able to adhere to the cell surface of TAG-72-overexpressing LS174T cells more efficiently than the untargetable conventional liposomes. Also, in vitro gene transfection to LS174T cells, mediated by the anti-TAG-72 PILs in the presence of a high concentration of fetal bovine serum (up to 60%),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by the conventional lipoplexes. In nude mice bearing TAG-72-overexpressing tumors, LS174T xenografts, the intravenously administered anti-TAG-72 PILs were more effectively localized in the tumor tissues than the untargetable liposomes.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the TAG-72 immunoliposomes containing anti-cancer therapeutic genes, such as angiostain K1/3 (pFLAG-Angio K1/3), endostatin (pFLAG-Endo), and saxatilin genes (pFLAG-Sax), was able to effectively inhibit the growth of LS174T tumors and angiogenesis in the tumor tissues. In parallel, anticancer therapeutic efficacies of the genes were also evaluated by hydrodynamics-based transfection of the genes. Hydrodynamic administration of the plasmids encoding angiostatin K1-3, endostatin, or saxatilin was able to effectively inhibit angiogenesis in Matrigel-implanted mice. Hydrodynamic co-transfection of the genes was more effective in inhibition of B16BL6 melanoma growth and pulmonary metastasis in mice than administration of either gene alone.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the mice co-treated with pFLAG-Angio K1/3, pFLAG-Endo and pFLAG-Sax exhibited inhibition of tumor growth and pulmonary metastasis by 86% and 90%,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TAG-72-mediated targeting of immunolipoplex and immunoliposome can be recommended as a new modality for tumor-directed systemic gene delivery.prohibitio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Objective Levels of Nuclear Knowledge on Nuclear Acceptance: A Focus on Internet User Perception
기존 위험 연구 및 원자력 수용성 관련 연구에서 원자력 지식은 주관적・객관적 측정방식을 통해 변수화되어 논의되어 왔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들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 사용자들의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은 평균 3.62(6점 만점)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의 집단별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편익인식과 원자력 정부 신뢰는 저(低) 지식집단이 고(高) 지식집단보다 높았으나, 위험인식과 부정적 원자력 감정은 고(高) 지식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은 편익인식과 원자력 감정, 위험인식에 이어 상대적인 영향력(β)은 가장 작지만, 원자력 수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은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들과 일부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익인식의 긍정적 영향력을 낮추지만, 원자력 감정의 부정적 영향력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함의는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 준이 원자력 수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과 다른 원자력 수용성 결정요인에 대한 조절효 과를 실증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객관적 원자력 지식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Northeast Asian Human Rights Regime and the DPRK: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in Human Rights
본 논문은 국제적 차원의 인권 레짐이 북한의 인권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인식하에 현재 동북아 인권레짐의 현황과 발전 전망을 살펴보고 국제사회의 인권요구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북한 인권개선에 인권레짐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필요성과 정당성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지역에서 유의미한 인권레짐은 아직 존재하지 않고 있지만 북한 인권의 개선을 위한 국제적 노력과 요구는 지속되고 있다. 이같은 인권개선이라는 국제적 요구에 대해 북한은 최근 들어 이중적 대응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인권관은 여전히 우리식 인권을 고수하고 서방의 인권공세를 체제위협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구체적 사안별 대응에서는 과거에 비해 적극적이고 전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북한의 인권대응이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향후 인권레짐의 효과에 대해서 나름대로 긍정적인 기대를 갖게 한다. 즉 북한을 포함하는 국제적 인권레짐이 형성되고 제도화될 경우 북한이 그 틀 안에서는 제도의 효과를 받아들이고 협력과 상호이익을 추구할 수도 있음을 예상케 한다.
Under the notion th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will provide a meaningful
improvements in the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the Northeast Asian human rights regime and North Korean perception and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demands for human rights. Through this effort, the possibilities and the alternatives for effective operation of human rights regime for the future will be explored to prompt improvements in North Korean human rights. Despite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there is clearly a lack of human rights regime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the efforts and demands for the regime is ever increasing. Recently, North Korea began to show dual response to such international demands. Although the North is still obstinate on the "human rights our way" ideology which considers human rights pressures from the West as a threat to the regime, it has began to show more assertive and affirmative attitudes on specific issues than previously. The recent change in North Korea's attitude leaves room for positive expectations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rights regime. In other words, with the establishment and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inclusive of North Korea a more optimistic outcome may be expected involving cooperation and seeking mutual benefits.이 논문은 2008년 정부(교욕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08-005-J01502
Analysis of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Incentive Policy for Resolving Locally Unwanted Land Use (LULU) Facility Location Conflicts in: A Focus on Nuclear Regional Support Policy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주변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입지갈등 해소를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지원정책의 효과에 대해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원전 지역에 대한 지원정책은 입지 갈등 해소 측면에서 보상이나 인센티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2005년 법률개정 이후, 현재 원전 지역에는 전력산업기반기금에 의해 해당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기금지원사업과 발전사업자인 한수원이 자기 자금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자지원사업의 두 가지 지원사업이 시행되고 있다. 분석결과, 지원사업에 대한 원전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기금지원사업(3.06)과 사업자지원사업(3.05) 모두 전체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상형태에 따라 구분한 결과, 두 사업 모두 금전지불 형태의 지원사업이 현물보상 형태의 지원사업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원전 지역 지원사업의 정책효과 회귀분석 결과, 신규원전 정책수용성에 성별(남성: +), 지역(영광→고리: -), 위험인식(-), (긍정적) 원자력 감정(+), 후쿠시마 사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인센티브 요인인 지원사업의 정책효과는 전체 지원사업과 사업자지원사업, 사업자지원사업의 현물보상 형태의 지원사업이 신규원전 정책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원전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원사업을 보상 및 인센티브적 관점에서 분류해보고, 지원사업의 형태에 따른 정책효과를 실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ort policy implemented by the government for resolving conflicts in the location of LULU facilities for residents living near a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a typical hazardous facility that leads to conflicts. Such a support policy for nuclear power plants (NPPs) can be said to provide an incentive or compensation in terms of location conflict resolution. Two support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location of NPPs since the amendment of the law in 2005: a fund support policy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electric power industry fund and a business support project implemented by the KHNP as a self-funded develop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sidents of the NPPs in the support policies was generally at the level of overall fund support policy (3.06) and provider support project (3.05) overall. However,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compensation type showed that the monetary payments type f support projects had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in-kind awards type of support projects. In addition,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policy effects of the NPP support policy shows that the acceptability of new NPPs is affected by gender (male: +), region (YEONGGWANG → GORI: -), risk perception (-), positive nuclear effects (+), and Fukushima accident perception (-)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sidering the incentive factor f the policy effect of support policies, it was shown that support projects of the total support policy, the business support project, and the in-kind support type of the business support projec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the new nuclear power policy. Thus, it is meaningful in this study that the NPP support policies implemented are classified in terms of compensation and incentives, and that the policy effects are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upport policy.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 A3A292483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