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on Key Competencies Needed for the Workforce

Abstract

본 연구는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를 분석하여,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가. 우리 나라 일의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요소를 추출한다. 나.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실태를 분석한다. 다.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 강화 방안을 모색한다.It is absolutely clear that the world is fast changing in terms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ustralia, Germany and New Zealand have taken a leading role in this developments and they have succeeded due to the fact that they have put more efforts on utilizing human resources. In order to prepare the workforce for the future in this respect, we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human resources that we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to be successful, to analyze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designed for grades one through ten) with respect to the key competencies, and to suggest a model for integrating those skills into the school systems. The key competencies were defined as the abilities that include the essential knowledge, skills, attitude, and experiences required for the workforce.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available literature, interviewing and surveying subjects about key competencies by using the questionnaire, surveying curriculum experts with the mailed-questionnaire and analyzing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as well as following the expert panel's recommend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re were nine key competencies which were essentially required for the workforce in twenty-two sectors of industry across the country. Those were communication, numeracy, problem solving,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resource use, human relationship,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skills.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National Core Curriculum has been actually integrated with the vocational key skills. On these skills, the Korean Language subject has emphasized in communication,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Civic subject had more emphasis on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human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skills. Social Studies subject concentrated more on information, organization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Mathematics subject focused on numeracy and problem solving skills. Science subject had more emphasis on problem solving, information, and technology skills, while Practical Arts subject(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had more on technology, resources use,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Physical Education subject concentrated more on self-management and development,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skills, Music subject more 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Fine Arts subject more communication and numeracy skills, while English subject had more concentration on communication and numeracy skills. A method for infusing those key competencies into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The model consisted of basic concepts, objectives, contents and strategie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infusing strategies were also laid down in the following order: Firstly,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secondly the publication of the textbooks and thirdly overseeing that they are taught and learned in schools.요약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3 2. 연구의 목적 4 3. 연구의 내용 5 4. 연구의 방법 6 가. 문헌연구 6 나. 조사연구 7 다. 내용분석 7 라. 전문가협의회 8 5. 용어의 정의 10 가. 직업기초능력 10 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1 6. 연구의 제한 11 II .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연계 동향 13 1. 직업기초능력의 개념 15 2. 교육과정에의 직업기초능력 반영 토대 20 가. 교육의 개념 측면에서의 토대 21 나. 교육과정 측면에서의 토대 24 다. 법적 근거 31 3. 직업기초능력과 교육과정의 연계에 대한 37 가. 미국 37 나. 영국 65 다. 호주 85 라. 독일 104 마. 뉴질랜드 114 바. 한국 126 III. 직업기초능력의 영역과 하위요소 개발 13 1 1. 직업기초능력 시안 개발 133 가. 시안 개발 방법 133 나. 직업기초능력 시안 139 2. 직업기초능력 시안에 대한 현장조사 145 가. 현장조사 방법 145 나. 현장 조사 결과 150 3. 직업기초능력 최종안 개발 168 가. 최종안 개발 방법 168 나. 직업기초능력 최종안 173 IV .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실태 분석 185 1.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한 연계 실태 분석 188 가. 교육과정 내용분석 방법 188 나. 교육과정 내용분석 결과 192 2.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의 의견조사를 통한 205 가. 의견조사 방법 205 나. 의견조사 결과 206 3. 연계 실태 분석 결과의 종합 및 시사점 233 가. 연계 실태 분석 결과의 종합 233 나.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에 주는 시사점 240 V .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강화 방안 247 1. 직업기초능력 교육 방안 249 가. 의사소통능력 249 나. 수리능력 254 다. 문제해결능력 257 라. 자기관리 및 개발능력 261 마. 자원활용능력 266 바. 대인관계능력 269 사. 정보능력 275 아. 기술능력 279 자. 조직이해능력 282 2.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연계 전략 286 가. 교육과정 개발시 반영 전략 286 나. 교과서 개발시 반영 전략 289 다. 교수- 학습과정에서의 반영 전략 291 3. 직업기초능력과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293 가. 인식 전환을 위한 지원 294 나. 교사의 교수- 학습 능력 강화 지원 295 다. 활성화를 위한 지원 295 라. 법적·제도적 지원 297 VI. 결론 및 제언 299 1. 결론 301 2. 제언 303 가. 후속 연구 303 나. 정책적인 과제 304 다. 활용 방안 306 참고문헌 307 Abstract 313 부록 317 부록 1. 직업기초능력 추출을 위한 질문지(근로자용) 319 부록 2. 직업기초능력 추출을 위한 질문지(고용주용) 325 부록 3. 제7차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명단 331 부록 4. 제7차 교육과정과 직업기초능력의 관계에 관한 질문지 33

Similar works

Full text

thumbnail-imag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redirect
Last time updated on 09/01/2019

Having an issue?

Is data on this page outdated, violates copyrights or anything else? Report the problem now and we will take corresponding actions after reviewing your requ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