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협력전공,2019. 8. 유성상.현대 사회는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확실하고 안정적이라고 오랫동안 여겨지던 것들이 해체되어 가고 있으며 그 자리를 불확실성이 대신하여 채워가고 있다. 이제 예측 불가능한 사회 변화는 특정 사회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사회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변화는 기존 근대성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뿐더러, 인간의 사회적 조건과 환경을 이전과는 다르게 바꿔놓고 있다.
교육개발협력은 지난 반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개발도상국의 교육 향상에 엄청난 돈과 노력을 쏟아 부어왔다. 그 결과, 가시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교육개발협력 분야 안팎에서 여전히 많은 비판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교육개발협력을 둘러싼 비판을 살펴보고, 이를 근대성으로 재검토해보고자 한다. 광범위한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비판을 모두 살피기에는 시간과 지면상 한계가 있으므로, 교육개발협력 분야에서 헤게모니적 위치를 차지하는 세계은행의 교육개발협력으로 연구범위를 좁혔다. 본 연구는 세계은행의 교육개발협력에 비판적 관점을 취하는 2차 자료를 연구 데이터로 삼았다. 데이터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지그문트 바우만의 근대성 이론으로 재검토함으로써 급격하게 변하는 사회적 조건 속에서의 세계은행을 포함한 교육개발협력의 모습과 염두에 둬야 할 이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학자인 지그문트 바우만은 고체근대성과 액체근대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급격하게 변하는 인간의 사회적 조건 및 환경을 설명하였다. 고체근대에는 국민국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질서, 보편성, 일치에 가치를 두었다.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사회의 모든 것을 계획하고, 통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근대의 야망은 계속 진보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 액체근대에는 고체근대의 탄탄한 토대와 고정되어 있던 것들이 액체처럼 풀어진다. 액체근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빨리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국민국가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오직 개인만 남게 되어 개인이 선택과 결과를 포함한 모든 것들을 책임져야 하는 시대가 액체근대이다. 액체근대는 불확실성, 불안정성, 불안전성으로 대표될 수 있다.
세계은행의 교육개발협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검토, 분석 및 종합하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사용하였다. 일정 기준을 통해 분석 데이터를 수집 및 추출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방법으로는 테마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세계은행의 교육개발협력에 비판적으로 접근한 2차 문헌들을 대상으로 테마 분석한 결과, 개발, 교육, 지식, 신자유주의, 그리고 빈곤/불평등이라는 5개의 테마가 도출되었다.
각 테마에 관한 비판 내용을 살펴보자면, 첫째, 세계은행은 개발을 좁게 정의하여 경제 성장으로만 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은행이 말하는 개발은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둘째, 교육에 있어서, 세계은행은 교육이 지닌 경제 도구적 가치에만 초점을 둔다. 특히 인적 자본론에 근거하여 교육을 경제 성장을 위한 수단이자, 투자로만 좁게 인식한다. 셋째, 지식 은행을 표방하며 세계은행은 방대한 양의 지식을 생산해왔으며 이러한 지식은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세계은행의 교육 정책 및 실천에 정당성을 부여해 왔다. 넷째, 세계은행이 개발도상국들에 부과한 교육 개혁 및 조치들은 신자유주의적 내용을 담고 있다.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세계은행의 교육 개혁은 개발 도상국의 교육 시스템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도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비판받아왔다. 마지막으로, 빈곤과 불평등의 경우, 빈곤 퇴치가 세계은행이 달성하고자 하는 두 가지 목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세계은행의 교육 정책과 활동들이 빈곤 퇴치에 실질적 영향을 끼치지 못해 왔음을 지적받아왔다. 경제가 성장하면 빈곤이 자동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은행의 인식에 따라 추진된 친(親)성장적 정책은 오히려 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평가받는다.
바우만의 근대성 시각에서 보면, 개발, 교육, 그리고 지식에 관한 세계은행의 관점은 고체근대성을 토대로 하고 있는 반면, 신자유주의는 액체근대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리고 빈곤과 불평등에 관한 세계은행의 관점은 신자유주의적 가정에 의존하고 있다. 바우만의 근대성 이론을 다섯 테마에 적용한 결과, 세계은행의 교육개발협력은 고체근대에 기반한 개발, 교육, 그리고 지식을 이용하여 개발도상국들로 하여금 신자유주의를 받아들이도록 해왔고, 그 결과 빈곤과 불평등의 심화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액체근대성의 맥락에서 보면, 세계은행의 신자유주의적 교육 정책 및 실천은 글로벌 엘리트, 자본 및 금융의 자유로운 이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액체근대의 액화는 교육개발협력의 모습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첫째, 성장과 진보를 가정하는 기존 고체근대의 발전은 생존으로서의 발전으로 바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장 중심의 기존 개발 패러다임이 평등 중심으로 옮겨져야 한다. 둘째, 고체근대에 독점적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자원을 동원했던 근대국가의 막강한 힘은 약화된다. 개인이 자신의 선택과 뒤따라오는 결과에 온전히 책임을 지도록 하는 이러한 환경에서 타인의 문제에 공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고 공적으로 대응하는 시민을 기르는 시민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더 커진다. 셋째, 액체근대에 들어서면서, 교육과 지식의 관념 또한 변화한다. 기존 교사-학생의 관계와 교수 중심의 교육에서 공급자-의뢰인 관계와 개인화된 학습으로 바뀐다. 지식은 다른 소비재와 마찬가지로 쓰이고, 버려지고,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며, 지식 간의 위계 구조는 사라진다. 교육과 지식의 관념이 완전히 바뀐 액체근대에는 제도적 교육을 넘어선 평생 학습이 더욱 요청된다.The contemporary society is changing at an unprecedented scale and pace. Things that have long been considered certain and stable are dismantling, and uncertainty is filling the place instead. Now unpredictable social change is becoming an unavoidable phenomenon that takes place all over the world, not just in a specific social setting. Many of the changes taking place in societ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modernity, are transforming human social conditions and environment differently than before.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pouring enormous amounts of money and effort into improving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over the past half-century. As a result, despite its visible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many criticisms in and out of the field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criticisms surrounding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reexamines them with modernity. As there are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to explore all the criticisms of extensive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narrowed to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of the World Bank, which holds a hegemonic posi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As research data, this study uses secondary sources that take a critical stance on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Further,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landscape and issues to be considered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cluding the World Bank under rapidly changing social conditions by reexamining the analytic results through Zygmunt Baumans theory of modernity.
Zygmunt Bauman, a sociologist, explains the rapidly changing human social conditions and environments through the concept of solid modernity and liquid modernity. In the solid modern era, the nation-state system was centered, and order, universality, and uniformity were valued. It was widely believed that based on the strong trust in human reason, everything in society can be planned and controlled. This ambition of modernity led to the belief in continued progress. In liquid modern times, solid foundations and fixed things are dissolved like liquids. To survive in the liquid age, one must be able to move fast. It is in the liquid modern era that the influence of the nation-state is diminished, and only individuals are left to be responsible for everything, including their choices and accompanying consequences. Liquid modernity can be represented by uncertainty, instability, and insecurity.
To systematically review, analyze, and synthesize the existing studies on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this study uses qualitative meta-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Data for analysis is collected and extracted based on specific criteria, and thematic analysis is adopted as a data analysis method. The thematic analysis of the secondary sources critically approaching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results in the five themes: development, education, knowledge, neoliberalism, and poverty/inequality.
To examine the criticisms on each theme, first, the World Bank not only defines development narrowly as economic growth but the development that the Bank speaks of has an ideological character. Second, regarding education, the World Bank focuses only on the economic-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To be specific, education is perceived merely as an investment for and a means of economic growth. Third, the World Bank which describes itself as knowledge bank has produced a vast amount of knowledge, and this knowledge has given legitimacy to the Banks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in developing countries. Fourth, the education reforms and measures imposed by the World Bank on developing countries contain neoliberal contents. The World Banks education reforms based on neoliberalism have been criticized for having had an adverse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as well as on the education systems in developing countries.
Lastly, in the case of poverty and inequality,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 World Banks education policies and activities have not had a substantial impact on poverty eradication, even though poverty eradication is one of the two goals the World Bank aims to achieve. The pro-growth policy, pursued by the Banks perception that poverty will automatically decrease as a result of the economic growth, is considered to have intensified inequality.
From Baumans point of view of modernity, the World Banks view of development, education, and knowledge is based on solid modernity, while neoliberalism is closely related to liquid modernity. And the Banks view of poverty and inequality relies on neoliberal assumptions. The result of applying Baumans modernity theory to the five themes implies that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has led developing countries to embrace neoliberalism by using development, education, and knowledge based on solid modern perceptions, thereby deepening poverty and inequality. In the context of liquid modernity, it can be seen that the World Banks neoliberal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ces are conducive to the free movement of global elites, capitals, and finances.
How will the liquefaction of liquid modernity change the landscape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First, the development of existing solid modernity, which assumes growth and progress, will transform into development as survival. In this sense, the growth-centered development paradigm should be shifted to the equality-centered one. Second, the power of the modern nation-state, which once exclusively exercised its authority and mobilized its resources, is weakened. In this environment where individuals cannot help but be fully responsible for their own choices and the accompanying consequenc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ducation to raise citizens who can respond publicly to and seek collective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others. Third, with the entry of liquid modernity, the notion of education and knowledge changes as well. The exist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eaching-oriented education shift to supplier-client relationship and personalized learning. Knowledge is used, abandoned, and replaced by new ones like a consumer product, and the hierarchy of knowledge disappears. In todays liquid age when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knowledge have completely changed, the need for lifelong learning beyond institutionalized education is further demanded.Chapter I. INTRODUCTION 1
1.1 Background 1
1.2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2
1.3 Research questions and design 4
1.4 Scope and terminology 6
1.5 Organization of the study 8
Chapter II. LITERATURE REVIEW 10
2.1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10
2.1.1 Theories of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10
2.1.1.1 Liberal capitalist paradigm 11
2.1.1.2 Marxist paradigm 13
2.1.1.3 Postcolonialism 14
2.1.1.4 Liberal egalitarianism 15
2.1.1.5 Radical humanism 16
2.1.2 Practices in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18
2.1.2.1 Before the 1950s 18
2.1.2.2 During the 1950s and 1960s 19
2.1.2.3 During the 1970s and 1980s 21
2.1.2.4 During the 1990s and 2000s 22
2.2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modernity 25
Chapter III. THEORETICAL FRAMEWORK 37
3.1 Baumans view on modernity 39
3.1.1 Quest for order 40
3.1.2 A gardening nation-state 41
3.1.3 Conquest of space 44
3.1.4 Intellectual legislators 46
3.2 Liquid modernity 49
3.2.1 Liquidity 50
3.2.2 Emancipation 54
3.2.3 Individuality 57
3.2.4 Time/Space 60
3.2.5 Work 63
3.2.6 Community 66
3.3 Human conditions in solid and liquid modernity 70
Chapter IV. METHODOLOGY 75
4.1 Meta-analysis 75
4.2 Data collection 79
4.2.1 Search of the literature database 79
4.2.2 Criteria for selection 79
4.3 Data analysis 83
Chapter V. FINDINGS 88
5.1 The World Bank in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88
5.2 Overview of the data set 101
5.3 The five themes 104
5.3.1 Development 104
5.3.2 Education 109
5.3.3 Knowledge 113
5.3.4 Neoliberalism 120
5.3.5 Poverty and inequality 126
Chapter VI. DISCUSSION 133
6.1 Application of Baumans modernity theory to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133
6.1.1 The five themes from Baumans perspective on modernity 134
6.1.2 The meaning of mixed modernity of the World Banks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142
6.2 Education development cooperation in liquid modernity 144
6.2.1 Development as survival 145
6.2.2 The weakened modern state and the individual as the citizens worst enemy 149
6.2.3 Change in perceptions of education and knowledge 153
CHAPTER VII. CONCLUSION 158
7.1 Summary 158
7.2 Contributions of this study 161
7.3 Limitations of this study 163
REFERENCE 164
국문초록 185Doc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