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atterns of Change in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 Materials - Based on Elementary Education Materials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근대계몽기부터 일제강점기를 지나 해방 이후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현재 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국어 교육 자료가 어떠한 변모 양상을 거쳐 왔는지 개념 변화와 성격 변화의 두 가지로 크게 나누어 살펴보았다. 개념 변화 측면에서는 근대계몽기-일제강점기에서 해방 이후로 넘어오면서 독본에서 국어로의 변화가 두드러졌으며, 미군정기-4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으로 넘어오면서는 교재에서 학습재로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성격 변화 측면에서는 우선 1) 목표 차원에서 계몽적 차원, 민족적 정체성 확립에서 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으로의 변화, 2) 사용자 차원에서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의 변화, 3) 제재 선정 차원에서 읽기 자료 중심에서 통합적 자료 중심으로의 변화, 4) 내용 제시 차원에서 (1) 기술 중심에서 탐구 중심으로, (2) 원리 서술형에서 활동형으로, (3) 분리 제시형에서 통합 제시형으로, (4) 학습자 흥미를 고려한 쉼터의 활용으로 특징지어졌다.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from the modern period of enlightenment, via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and until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aspect of change in concept, the change from 'reading book' to 'national language' and 'teaching material' to 'learning material' was remarkable. In the aspect of change in nature, there were changes: 1) from enlighte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to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s' communication skills in the goal level; 2) from teacher centered to learner centered in the user level; 3) from reading material centered to integrated material centered in the material selection level; and 4) in the content presentation level (1) from technology centered to exploration centered, (2) from principle description type to activity type, (3) from separated presentation to integrated presentation, and (4) to the use of recess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interests

    Similar works

    Full text

    thumbnail-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