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생태조경학전공), 2013. 2. 정욱주.2011년 현재, 서울과 6개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중소도시에 계획된 근린공원은 총 3,432개소, 406,604,415㎡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대도시(1인당 8.44㎡)에 비해 인구대비 훨씬 많은 면적(1인당 14.78㎡)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지방의 농어촌도시에 도시계획시설의 일부인 공원이 오히려 대도시지역보다 많다는 것은 의문이며, 공원의 기능을 충실히 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중소도시의 근린공원은 농어촌공원(country park)으로 불리며 대도시의 공원과는 전혀 다른 특징을 지닌다. 첫째, 지리상으로 공원이 제공하는 자연녹지의 기능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둘째, 이용자적 측면에서 지방에 큰 규모의 근린공원은 적합하지 않다. 셋째, 실질적인 공원 이용자가 적기 때문에 공원조성과 관리에 관심이 적고 예산책정에 있어 낭비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지방에 많은 공원이 조성된 상태이며 매년 많은 유지비용을 들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공원의 수를 줄이는 것보다, 대도시와 다른 기능을 지닌 지방 농어촌공원의 역할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방 근린공원의 이슈와 지자체의 공간 활용 이슈를 살펴보았으며, 근린공원의 활용 방안 중 하나로 지역축제와의 연계를 제시하였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 지역축제 조사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에 의하면 2006년 현재 한국 지역축제의 수는 1,176개, 국토해양부의 도시계획시설 자료에 드러난 국내 근린공원의 수는 약 4700여개이다. 근린공원은 수적으로, 공간적으로 축제를 수용하기에 용이하며, 때문에 이는 팽창하고 있는 축제들을 공원 공간에서 수용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축제는 공원의 잘 구축된 하드웨어 인프라 속에서 저비용으로 개최 가능하며, 일시적 공간프로그램으로서 수용되어 공동체적 커뮤니티를 제공하고 공원의 이용률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근린공원과 축제의 연결을 통해 양자간에 공간적, 비용적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우선 근린공원과 축제장의 공간속성을 분석하고 이를 비교하여 양자 간에 관계성을 도출하였으며 문화관광축제종합평가 보고서에 기재된 축제전문가들의 평가내용을 종합․분류하여 축제공간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천의 설봉공원을 대상지로 하여 실제 축제지원공간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드러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 근린공원의 정체성을 탐구해 보고 대안(축제공원)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지역축제의 이슈를 공간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조경설계적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셋째, 현재 지방의 공간이슈와 밀접하게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넷째,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설계안을 수립하였다는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목 차
❚ 국문초록 I
❚ 목차 Ⅳ
❚ 표 목차 Ⅸ
❚ 그림 목차 XI
❚ 도면 목차 XIV
제 1장. 서론 1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절. 선행연구 고찰 7
1. 축제 전반의 연구동향 7
2. 축제공간을 다룬 연구 7
3. 본 연구의 차별성 8
3절. 연구의 방법 및 범위 9
1. 연구의 방법 9
2. 연구의 범위 10
제 2장. 이론적 고찰 11
1절. 축제의 일반적 특징 11
1. 축제의 기원과 어원적 의미 11
2. 축제의 개념 12
3. 현대 지역축제의 본질 14
2절. 축제의 공간적 특징 19
1. 축제장의 기능과 역할 19
2. 축제장의 공간속성 21
3. 축제장의 공간유형 24
3절. 근린공원의 공간적 특징 27
1. 근린공원의 개념과 분류 27
2. 근린공원의 공간속성 28
4절. 소결 30
제 3장. 연구 이슈 고찰 31
1절. 지방 근린공원의 축제 수용 가능성 탐구 31
1. 지방 근린공원의 기능과 역할 변화 31
2. 근린공원형 축제장의 현황 33
3. 축제장과 근린공원의 공간속성 비교 36
4. 소결 39
2절. 축제장의 실질적 공간이슈 고찰 41
1. 고찰방법 41
2. 고찰결과 42
2.1. 축제장 공간이슈의 유형분류 42
2.2. 축제장 공간이슈의 유형별 빈도 분석 44
2.3. 축제장의 문제점 도출 46
2.4. 공간이슈별 계획방향 고찰 48
3절. 소결 55
제 4장. 대상지 분석 56
1절. 설봉공원 분석 56
1. 대상지 위치와 접근성 56
2. 대상지 주변 컨텍스트와 설계범위 56
3. 지형분석 58
4. 공간구성 분석 59
5. 세부공간 분석 62
2절. 개최 축제 분석 67
1. 이천도자기축제 67
2. 이천국제조각심포지엄 69
3. 설봉산 별빛축제 71
4. 이천쌀문화축제 71
5. 설봉문화제 76
제 5장. 대상지 설계 78
1절. 기본방향 설정 78
1. 지역주민의 일상적 이용 공간 조성 78
2. 근린공원의 축제인프라 조성 80
3. 지방도시의 문화적 구심점 형성 81
2절. 공간이슈 도출 82
3절. 설계 프로세스 및 전략 84
1. 장소전략 84
2. 공간조성전략 88
3. 식재전략 93
4절. 종합계획도 97
5절. 상세계획 99
1. 공간 ․ 프로그램 계획 99
2. 동선계획 102
3. 식재계획 104
4. 포장계획 107
5. 시설물계획 108
6. 주차공간계획 110
6절. 공간별 상세계획 112
1. 진입공간 112
2. 야외카페&전시공간 114
3. 광장(카페)&축제마당공간 115
4. 필드 117
5. 조각공원 120
6. 분수쉼터 121
7. 수목보스크쉼터 122
7절. 도면집 124
제 6장. 결론 129
▮참고문헌 131
▮부 록 134
▮Abstract 156M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