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2014. 8. 임도빈.정부는 육아 및 가사노동과 직장 일을 병행하는 근로자들을 위해 유연근무제도의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탄력시간제, 시간제근무, 재택근무제, 집약근무제 등과 같이 자신의 여건에 따라 출퇴근 시간, 근무 장소, 고용형태 등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유연근무제도는 일과 가정의 양립을 통해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적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더구나 150개 정부소속기관과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될 예정이어서, 공공부문의 유연근무제의 수요는 더욱 증가될 전망이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은 유연근무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왔지만 유연근무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분석과 검증은 상대적으로 도외시 해왔다. 기존의 선행연구들도 유연근무제도의 지지나 선호정도, 제도를 시행하였을 때 기대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효과, 제도 자체에 대한 만족도 등 유연근무제도의 도입 및 활성화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논문은 유연근무제도가 조직효과성에 기여하는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유연근무 활용정도와 만족도를 통해 K공기업의 유연근무 활용현황을 파악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여 유연근무제도의 직·간접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편으로는 유연근무 만족도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소로서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와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유연근무 활용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연근무에 대하여 이용횟수가 많을수록, 이용이 쉽다고 인지할수록, 사용의사가 높을수록 유연근무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연근무 만족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유연근무 유형별로 탄력근무와 원격근무 만족도가 높을수록 조직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유연근무제도의 시행으로 조직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연근무제도와 조직효과성간의 관계에 있어 외부요소인 조직지원인식과 조직문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조직지원인식은 유연근무 만족도와 조직효과성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문화는 권위적 조직문화에 대한 일부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유연근무제도와 조직지원인식이 조직효과성에 기여하고, 조직원이 조직문화에 대하여 권위적이라고 인지할수록 유연근무제도와 조직효과성의 정적 관계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의 정부의 유연근무제도 정책방향은 유연근무 활성화를 위한 정책시행과 유연근무 사용실적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공공기관에서도 형식적인 제도시행으로 조직원들의 유연근무제도에 대한 효과성과 긍정적인 인식이 공감되지 못한 측면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와 공공기관은 유연근무제도의 적극적인 이용을 장려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국가와 기관의 생산성 및 효율성에 긍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기존의 유연근무제도의 시행과 실적 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기관의 특성에 맞는 제도를 발굴하고 절차를 간소화 하는 등의 이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필요가 있다.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3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4
제 1 절 이론적 논의 4
1. 유연근무제 4
2. 조직효과성 12
3. 조직지원인식 15
4. 조직문화 16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18
1. 유연근무제도에 관한 선행연구 15
2. 유연근무와 직무만족 등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0
3. 조직지원인식과 조직문화 등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22
제 3 장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23
제 1 절 연구 문제 및 대상의 특성 23
1. 연구 문제 23
2. 연구 대상의 특성 25
제 2 절 변수의 측정 및 조작적 정의 26
1. 변수의 측정 26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0
제 3 절 연구가설 및 분석틀 32
1. 연구가설의 설정 32
2. 연구의 분석틀 36
제 4 절 분석방법 및 모형 37
1. 분석방법 37
2. 분석모형 38
제 4 장 실증분석 및 결과해석 39
제 1 절 기술통계 분석 39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39
2.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42
3. 변수들간 상관관계 분석 44
제 2 절 유연근무의 활용정도와 만족도 46
1. 유연근무 활용정도 46
2. 유연근무 만족도 52
제 3 절 유연근무 활용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3
1. 탄력근무 활용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3
2. 원격근무 활용정도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55
제 4 절 유연근무 만족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56
1. 유연근무 만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56
2. 유연근무 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59
제 5 절 인지하는 조직지원인식과 조직문화 62
1. 조직지원인식 62
2. 조직문화 62
제 6 절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분석 63
1. 유연근무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매개효과 64
2. 유연근무 만족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매개효과 66
제 7 절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분석 68
1. 권위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68
2. 민주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73
제 5 장 결 론 77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및 의의 77
1. 연구결과의 요약 77
2. 연구의 의의 82
제 2 절 정책적 시사점 84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미래의 연구방향 85
1. 분석대상 및 범위의 문제 85
2. 분석방법상 문제 86M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