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ects of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Athletic Performance in Bowling Athletes - Focus on Isokinetic Strength, Pelvic Displacement and EEG Activation

Abstract

학위논문 (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체육교육과, 2013. 8. 김연수.본 연구의 목적은 볼링선수들을 대상으로 가속재활트레이닝 후 등속성 근력, 골반변위, 뇌파활성도,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등속성 근력, 골반변위, 뇌파활성도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도출된 등속성 근력 6개, 골반변위 3개, 뇌파활성도 4개, 경기력에 대해 실험을 통해 대학생 여자 볼링선수 40명을 12간의 가속재활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계방법은 ANOVA by repeated measur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속성 근력은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60°/sec, 180°/sec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01). 둘째, 골반변위는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장골의 길이, 장골의 너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셋째, 뇌파활성도는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전두엽(Fp1,, F3, F4)과 두정엽(C4)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넷째, 경기력은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다섯째, 경기력의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는 등속성 근력, 골반변위, 뇌파활성도 순으로 중요한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가속재활트레이닝을 통하여 대학생 여자 볼링선수들의 등속성 근력, 골반변위와 뇌파활성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등속성 근력, 골반변위, 뇌파활성도의 변화는 경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따라서 여자 볼링선수들에 대해 가속재활트레이닝 프로그램 적용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한다.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mental strength bowling athletes, but no comprehens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isokinetic strength, pelvic displacement, EEG activa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on woman bowling athletes in korean university bowling play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on isokinetic strength, pelvic displacement, EEG activa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Following written, informed consent, In this studies, 40 female( Exercise group: age=21.40±1.31, wt=61.89±8.76, ht=164.07±3.26Control group: age=21.20±1.54, wt=57.94±6.45, ht=163.87±2.63) university students were tested on the 6 identified bowling relevant isokinetic strength, 3 pelvic displacement, 4 EEG activation and athletic performance point, and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actors analysis, ANOVA by repeated measure and, multiple regression(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sokinetic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 60°/sec, 180°/sec(p<0.001). Second, results from pelvic displacement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 right innominate, sacral ala, illium shadow measurement and, left sacral ala, illium shadow measurement(p<0.001, p<0.01). Third, EEG activ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 Fp1, F3, F4, C4(p<0.05). Fourth, Athletic performance increased significantly before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in point(p<0.01). Fifth, order of the importance of athletic performance were isokinetic strength, pelvic displacement, EEG activ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12 weeks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had influence on the isokinetic strength, pelvic balance, EEG activ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mproved isokinetic strength, pelvic displacement, EEG activation. therefore, we emphasize acceleration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woman bowling athlete.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5 2. 연구 목적 5 3. 연구 가설 6 4. 연구의 제한점 6 5. 용어의 정의 6 II 이론적 배경 9 1. 가속재활 트레이닝의 개념 9 2. 등속성 근력과 기능 11 3. 골반의 기능과 구조 14 4. 뇌파의 개념과 분류 18 5. 국내·외 볼링관련 선행연구 분석 22 III 연구 방법 25 1. 연구 설계 25 1) 연구대상 25 2) 측정 변인 26 3) 측정 방법 26 2. 통계 분석 34 IV 결 과 35 1.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등속성 근력 변화 35 2.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골반변위의 변화 38 3.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뇌파활성도의 변화 41 4.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경기력의 변화 42 5.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43 V 논 의 49 1.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등속성 근력의 변화 49 2.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골반변위의 변화 50 3.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뇌파활성도의 변화 51 4. 가속재활트레이닝 전·후 경기력의 변화 54 3.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54 VI 결론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ABSTRACT 69Docto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