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디클로로프로판의 취급 공정별 노출 수준에 대한 연구

Abstract

산업보건전공/석사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과 신장 기능 및 중추신경계의 억제작용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최근 담관암 발생 추정물질로 알려진 1,2-디클로로프로판에 대한 취급공정별 사용실태 및 노출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법적 관리수준 변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1,2-디클로로프로판을 취급하는 13개소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정에 따라 개인시료 24개와 지역시료 102개를 채취하였으며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은 OSHA에서 권고하는 공정시험법 7에 준하여 실시하였다.연구결과: 1,2-디클로로프로판 취급 근로자들의 개인노출수준은 기하평균 2.192±3.656 ppm이고 공정별로는 드럼통 포장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이 16.656±1.225 ppm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인쇄업 2.947±1.547 ppm, 직접세척 2.428±6.996 ppm, 스프레이세척 2.148±8.329 ppm, 초음파세척 1.446±1.847 ppm, 제조 1.218±1.975 ppm, 기계자동세척 1.140±1.281 ppm순이었다. 지역시료 농도는 기하평균 1.793±7.047 ppm으로 인쇄공정 농도가 5.743±3.047 ppm으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측정결과는 개인시료가 지역시료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p<0.676), 공정간며 상관성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3). 노출기준 초과율은 국내기준(75 ppm) 대비 4.2 %, ACGIH 및 후생노동성기준(10 ppm) 대비 12.5 %, JSOH기준(1 ppm) 대비 62.5%이었다. 국소배기는 초음파세척과 제조공정에만 설치되어 있었으며 초음파세척공정 사업장 2개소만이 용도에 적합한 개인보호구를 사용 하고 있었다.결론: 1.2-디클로로프로판의 측정결과 국내 노출기준 초과는 1건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개정된 외국의 노출기준 대비 초과율은 높았다. 또한 대부분의 취급사업장의 화학물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노출기준 개정과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수준의 강화가 필요하다.ope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