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ing a nursing protocol to assess early enteral nutrition for critical care patients

Abstract

간호학과/석사본 연구는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 개발을 위하여 국내 중환자실 입원환자에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조기 경장 영양에 대한 최신 근거에 대한 분석 및 통합 과정을 통해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수용·개작하는 방법으로 간호 사정 프로토콜을 개발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의 개발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제 1단계로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의 핵심질문과 프로토콜의 개발 범위를 결정하였고, 제 2단계로 기존의 가이드라인의 검색 및 문헌고찰을 통해 권고안을 선택하였다. 제 3단계로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 초안을 개발하였고, 제 4단계로 30명의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제 5단계로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프로토콜의 사용자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마지막으로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최종 간호 프로토콜을 개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제공자 의견 수렴, 기존의 가이드라인 검색을 통해 조기 경장 영양의 적응증과 금기증을 확인하는 환자선택, 조기 경장 영양 공급을 위해 간호사가 확인해야할 요소, 조기 경장 영양의 시기로 3 영역으로 구성된 핵심요인을 도출하였다.2. 핵심요인를 확인하기 위해 가이드라인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권위 있는 학회 및 단체의 경장 영양 관련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여 1차 선택된 5편의 가이드라인을 선택하였다. 5개의 가이드라인에 대하여 K-AGREE II를 이용하여 질 평가를 시행하였고, 최종 4편의 가이드라인을 선택하였고, 추가적으로 문헌 고찰을 시행하- vi -여, 그 중 2편의 문헌이 선택되어 핵심요인의 내용을 확인하여 프로토콜 초안을 형성하였다.3. 중환자의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 초안은 정의, 특성, 사정, 평가의 4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정의는 본 연구의 조작적 정의에 따라 중환자실 입실 후 최대 48시간 이내에 조기 경장 영양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특성은 중요성과 목적으로 구성된다. 또 사정은 위장 기능, 혈역학 상태, 구강 섭취 가능 여부, 비위관 삽입 가능 여부로 구성되며, 평가는 경장 영양을 시행할 수 없는 경우 경장 영양이 시행될 때마다 8시간마다 재사정하는 내용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조기 경장 영양 사정 간호 프로토콜 내용의 타당도는 평균 0.85로 나타났으며, 혈역학 기능 사정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은 모두 CVI가 0.8 이상으로 나타났다. 4. 프로토콜의 사용자 타당도 검증에서 프로토콜을 환자에게 적용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평균 3.8분 이였으며, 대부분의 간호사들이 환자에게 프로토콜을 적용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다고 답변하였다. 5. 전문가 집단의 내용타당도와 사용자 타당도 검증을 통해 프로토콜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완성하였다. 최종 프로토콜은 정의, 특성, 사정, 평가의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조기 경장 영양 사정을 위한 간호 프로토콜을 실무에 적용함으로써 중요성이 간과되어왔던 중환자의 영양 간호 많은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연구와 실무의 격차를 줄이고자 최신 근거에 기반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최종 프로토콜을 개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간호 프로토콜이 전자의무기록(EMR)에서 구현되어진다면 더 빠르고 편리하게 간호 사정이 이루어져 조기 경장 영양 공급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전자의무기록을 통한 간호사정의 친숙한 환경의 조성을 제언한다.ope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