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fluency and phonological features in the spontaneous speech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Abstract

언어병리학 협동과정/석사[한글]말더듬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오랫동안 연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정확한 발생요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최근 말더듬의 발생요인을 언어적 요소와 생리적 요소가 동시에 요구되는 조음 음운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말더듬을 위한 보다 더 정확한 평가 및 효과적인 치료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이에 본 연구는 4세, 5세 그리고 6세 초반의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의 자발화를 분석하여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간의 조음복잡성 및 조음오류 발생빈도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조음 음운적 요소가 말더듬의 발생요인으로 작용하는 지를 살펴보았다.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세, 5세, 6세 초반의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 7명을 대상으로 그림책 보고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자발화를 수집한 후, 수집된 자료를 더듬은 어절과 유창한 어절의 두 어절집단으로 나누어 각 어절집단에 대한 어절 당 조음복잡성지표 점수 및 조음오류 발생빈도를 산출하였다.두 어절집단 간 조음복잡성지표 점수 및 조음오류 발생빈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통계 프로그램(version 12.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유창한 발화에 비하여 더듬은 발화의 조음복잡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둘째, 유창한 발화와 더듬은 발화 간의 조음오류 발생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조음복잡성이 증가할수록 비유창성의 발생이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러므로 조음복잡성은 말더듬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음오류 발생빈도의 변화에 따른 비유창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조음오류와 말더듬은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조음 음운적 요소와 비유창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로는 단순 말더듬 아동 뿐 아니라 조음장애를 동반한 말더듬 아동을 포함시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더욱 정확한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성별과 말더듬 중증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investigated the primary factors causing the fluency breakdown, they still remain unclear problem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increasingly turned to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aspect to investigate the factors causing the fluency breakdown. This kind of studies which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phonological aspect and stuttering can lead us to plan more accurate evaluation and effective treatment for stuttering.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rticulatory and phonological factors influence the fluency breakdown through analysing the spontaneous speech samples of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Seven preschool children identified as having a stuttering problem (1 girl, 6 boys, aged from 4 to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rovided spontaneous conversational speech samples during describing the pictures of five illustrated storybooks. This spontaneous speech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the first for stuttered utterance group and the second for fluent utterance group -and analyzed for the phonological complexity and frequency of phonological errors per each utterance. Paired samples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phonological complexity and frequency of phonological errors between the two subgroups.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phonological complexity between stuttered utterance and fluent utterance. The phonological complexity of stuttered utteranc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fluent utterance.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of phonological errors between stuttered utterance and fluent utterance.We concluded, therefore, that the phonological complexity can contribute to the fluency breakdown. The results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current theories, demand - capacity model and discoordination of the speech production. The results also emphasizes the need of considering the phonological aspect during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stuttering.ope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