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교육/박사[한글]
현대사회는 양질의 보건의료, 생활양상등에 의한 사망율의 저하, 평균수명의 연장, 질병양상의 변화로 계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요구되는 만성퇴행성질환을 지닌 노년층 인구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로 우리나라도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노인의 건강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노인의 건강문제가 만성 퇴행성질환으로 계속적인 치료와 관리가 요구되며, 또한 노인은 노화과정에 따르는 육체적 장애 자체로도 의존적이게 되므로 이로 인해 노인환자를 돌보는 그 가족은 자신의 생활구조와 기능을 변경하게 하며 이를 부담으로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을 가진 재가 노인환자의 자기간호 능력을 증진시키고 아울러 가족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중재 방법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199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사이에 만성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했던 노인환자 중에 현재 가정에 있는 노인환자와 이들을 돌보는 가족 총 96세대를 연구대상으로 1994년 3월 21일부터 4뭘 9일까지 20일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송미순이 개발한 4점 평점척도의 13항목으로 구성된 자기간호 능력을 사정하는 도구와 이숙자가 사용했던 4점 평점척도의 총 30항목의 부담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했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성질환을 가진 재가 노인환자의 자기간호 능력은 13점에서 52점의 범위에서 최하 13점에서 최고 52점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은34.69점으로 자기간호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2. 대상 가족의 영역별 부담감의 평균점수를 보면 시간-의존 부담감영역이 4점 척도에서 2.54점으로 가장 높은 경향이었으며 그 다음은 신체적 부담감(1.93), 발달 부담감(1.86), 재정적 부담감(1.80), 정서적 부담감(1.62), 사회적 부담감(1.47)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 가족의 각 항목별 부담감을 전체적으로 비교해보면 '노인을 끊임없이 지켜봐야 한다(2.98)', '노인의 많은 기본적인 기능을 도와야한다(2.89)', '노인이 의존적이라고 생각된다(2.80)', '나는 노인의 장래가 어떻게 될지 염려된다(2.7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중에서 '나는 노인의 장래가 어떻게 될지 염려된다'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시간-의존 부담감 영역에 해당되는 내용이었다
4. 만성질환을 가진 재가 노인환자의 자기간호 능력과 가족의 부담감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서(r=.802, p<0.001) 노인환자의 자기간호 능력이 낮을수록 가족의 부담감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영문]
Due to improved of medical care, decreases in the death rate, extension of the average span of life and changes in the impact of diseases in modem society, there is a trend toward population increase in the elderly group who hav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which require treatment and management on a long-term base. This raises various serious problems including problems of the health of the elderly.
Among the problems of the health of the elderly, one is that thei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require continuous long-term medical care and management.
Since the elderly frequently become dependent due to physical disability related to the aging process, other family members who must care for them, must change their lifestyle and function, and therefore may experience burden.
Accordingly, this study was done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self-care ability of the elderly who have a chronic disease and the burden of the other family member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to supply basic data
in order to provide methods by which the elderly can increase their self-care ability and thereby decrease the burden on other family member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96 persons including elderly people who had once been diagnosed and hospitalized for a period and were now staying at home and other family members who were taking care of the elderly at home. The questionnare that was used included two tools - the first, made up of 13 question items with 'a 4 points Likert measure', which was developed by Song, Mi Soon, measured self-care ability, and the second made up of a total of 30 question items with 'a 4 points Liken measure', which was developed by Lee, Sook Ja, measured the burden to other
family members.
For data analysis,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 value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s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elf-care ability measure had a possible total score of 52 points. The score achieved by the retired elderly patients ranged from 13 points to 52 points with an average score of 34.69 which indicated high self-care ability.
2. Regarding the burden to the other members of the family, for each question item, respectively, time-dependent burden of the elderly had the highest score of 2.54 points, followed by physical burden at 1.93, then development burden, at 1.86, then financial burden at 1.80, emotion burden at, 1.62, and social burden, at 1.47.
3. In general, a comparison of each question item, respectively, showed that the order ranked from the highest score 'the elderly should be continuously taken care of(2.98)', then 'it is deemed that the elderly are dependent(2.80)', then 'the
future of the elderly is questionable and worrysome(2.75)'. With the exception of' the future of the elderly is questionable and worrysome(2.75) 'the above items all relate to time-dependent burden.
4.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wer He self-care ability of the chronic, elderly patient was, the higher the level of burden felt by other members of the family(r=-.802, p<0.001).restric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