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f-car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hypoglycemia in emergency rooms

Abstract

간호학과/석사[한글] 본 연구는 저혈당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간호행위 및 가족지지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서, 자가간호행위 및 가족지지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양적 연구방법론 및 면담을 통해 현상을 분석하는 질적연구방법론인 트라이앵귤레이션(triangulation)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저혈당증을 주호소로 내원한 당뇨환자로 서울시 소재 A 종합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총 31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2008년 3월 28일부터 6월 6일까지 실시되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 및 의무기록검토,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30분 정도의 면담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조사 연구 자료는 변수에 대한 기술적 통계를 사용하였고 면담내용은 변수의 영역에 따른 범주, 개념, 의미있는 진술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의 유병기간은 평균 15.75년으로 당뇨유형은 제2형 (90.3%)당뇨병이 많았으며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는 74.2%로 나타났다. 내원시 평균혈당은 36.9mg/dl, 당화혈색소 수치는 6.7%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81%에서 의식변화를 동반한 중증의 저혈당증상으로 본 응급실을 내원하였으며 65%정도의 대상자는 저혈당의 직접적인 원인으로는 부적절한 식사로 나타났다. 2. 연구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는 평균 4.70점(0.68)으로 나타났고 가족지지는 평균 3.65점(1.06)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자가간호행위 이행 점수를 보인 영역은 약물요법(4.70점)이었고 가장 낮은 영역은 혈당관리영역(2.50점)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에서 정서적 지지(3.65점)가 신체적 지지(2.18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자가간호행위 촉진요인으로는 습관형성, 정기적 외래예약, 신체적응, 절제, 신체변화 조기 파악, 합병증 발생시 자각으로 나타났고, 저해요인으로는 관리의 중요성 인식부족, 질병과정에 따른 주관적 판단, 신체적 제한, 노화, 욕구조절 능력 저하, 약물의존, 사회·환경적 제약, 가족 및 동료지지부족, 문맹, 의료진에 대한 신뢰감 부족, 저혈당 무감지증, 혈당기 없음으로 나타났다. 4. 가족지지 촉진요인은 헌신적 돌봄, 화목한 가족인지로 나타났고 저해요인으로는 비수용적인 자기주장, 비효율적인 가족구조, 가족의 기능상실, 갈등적 가족관계, 가족의 개인생활, 가족의 지식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저혈당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당뇨환자들의 자가간호행위에 있어 습관형성과 가족의 지지가 가장 큰 촉진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당뇨 합병증과 중증의 질환들로 인한 신체적인 제약과 노인 특유의 요인들 그리고 오랜 유병기간 동안의 주관적 경험으로 인한 판단등이 중요한 저해요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지지에 있어서는 가족들이 헌신적 돌봄이 가장 큰 촉진요인이었으며 가족구조와 형태 및 가족특성에 따른 각각의 상황적 요인들이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저혈당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들의 중증 질환들과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당뇨관리 교육을 강화시키고, 저혈당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별 대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가족특성에 따른 상황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가족들을 교육에 참여시킴으로, 저혈당과 같은 합병증 예방 뿐만 아니라 당뇨병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grasp the understanding of self-car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of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hypoglycemia in emergency rooms. Surveys have been used in this research as to determine self-care behavior and family support with interviews as to perform quality analysis on phenomena by adapting the triangulation method.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1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hypoglycemia who have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General Hospital A located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rch 28 to June 6 of 2008. Structural survey, medical record review and semi-structural surveys have been adapted together with a 30 minute interview for data collection. Descriptive statistics for variables method has been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category, concept and mean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patients have shown to have been undergoing the disease for 15.75 years with 90.3%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74.2% with complication. Average blood sugar level has shown to be 36.9mg/dl, HbAlc level 6.7% and serious illness due to mental change 81% while 65% of the experimental group has had inappropriate diet as the main reason of hypoglycemia. 2. Self-care behavior points have shown to be an average of 4.70 points (0.68) and family support to be an average of 3.65 points (1.06). Medication therapy (4.70) was of the highest preference while glucose control was the least preferred at 2.50 points. As for family support, emotional support (3.65 points) has shown to be higher than physical support (2.18 points). 3. Facilitator factor of self-care behavior were habitual, periodical medical appointments, physical adaption, self-restraint, early determination of physical change, and consciousness upon complication. Barriers factors were lack of recognition of care, subjective judgement of disease process experience, physic al limitations, aging, deterioration of desire control abilities, drug dependence, social & environmental limitation, lack of family support, illiteracy, disbelief on medical team, hypoglycemia unawareness and do not own blood glucose tester. 4. Facilitator factors of family support were devotional care, peaceful family, comfort and acceptance. Meanwhile barriers factors were self-assertion of non·acceptance, inefficient family structure, loss of family function, family relation conflict, personal life of family, and lack of family knowledge. Such results have shown that habitual and family support has been the greatest promoting factors of self-care behavior for diabetes mellitus patients with hypoglycemia in emergency rooms. Physical limitations due to complicati on and serious illnes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subjective judgment of long term disease have shown to be the main factors of barriers. As for family support, devotional care was the most important facilitator factor with family structure and situational factors from various family traits have shown to be the factors for barrier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ntensified situational coping education program in consideration to elderly patients and patients undergoing serious illness. Furthermore, educational programs must be developed as to prevent hypoglycemia and its management. Having family members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program will contribute in prevention of hypoglycemia and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patients undergoing diabetes.ope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