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코 페놀산에 의한 췌도세포주 사멸의 기전

Abstract

목적: Mycophenolic acid (MPA)는 췌장이식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장기이식에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로 inosine monophosphate dehydrogenase (IMPDH)의 선택적이고 비경쟁적인 억제제이나 췌도세포주에서는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 세포주인 HIT-T15 세포를 사용하여, MPA가 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였으며 10% fetal bovine serum이 포함된 RPMI-1640을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세포 활성은 methylthiazoletetrazolium (MTT) assay, 세포 사멸은 annexin V와 PI 염색법,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활성화와 caspase-3 분절은 Western blo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MPA 1μM과 10μM을 처리하였을 때 MTT, caspase-3 분절 그리고 annexin V 염색이 24시간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외부에서 함께 투여한 guanosine 500μM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으나 adenosine 500μM 투여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MPA는 extracellular-regulated protein kinase (ERK), p38 MAPK 그리고 c-jun N-terminal protein kinase (JNK)의 활성화를 8시간과 24시간에서 증가시켰고 guanosine 투여는 이를 부분적으로 회복시켰다. ERK의 억제제인 PD98059, p38 MAPK 억제제인 SB203580 그리고 JNK 억제제인 SP600125는 MPA와 함께 처리하였을 때 각 시간에 증가된 MAPK 활성을 감소시켰지만 MTT와 caspase-3 분절을 살펴본 결과 PD98059는 영향이 없었으며 SB203580은 세포사멸을 증가시켰고, SP600125만이 MPA가 일으킨 세포 사멸을 일부 환원시켰다. Pan-caspase 억제제인 Z-VAD-FMK 또한 세포 사멸을 환원시켰다. 결론: MPA는 MAPK 활성을 IMPDH 의존적으로 증가시키지만, ERKl와 p38 MAPK와는 상관없이, JNK 활성화를 통한 caspase-3 증가의 경로로 췌도 세포 사멸을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ope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