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ies of 5 different industry-led training systems
- Publication date
- Publisher
Abstract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보다 일찍부터 산업수요 중심 직업훈련시스템을 운영해 온 해외 주요국들의 숙련제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 국가들의 직업훈련시스템에서 사회적 파트너들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들 국가의 숙련제도를 운영하는 거버넌스 체제에서 산업계와 국가의 역할을 살펴보고, 특히 숙련에 참여하는 산업계의 조직과 역할에 어떠한 국가별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대상이 된 국가들은 다양한 형태의 숙련제도를 가진 국가들인 동시에 우리가 직업훈련제도를 혁신함에 있어 주요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 온 나라들을 조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와 같이 학교기반의 직업교육훈련(VET) 제도를 가진 국가들과, 현장기반의 VET 제도를 가진 국가에서의 산업별 기구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우리가 어떠한 방향으로 산업별 기구의 역할을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인지에 대한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중심의 훈련체계를 지닌 독일과 스위스를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우리와 유사하게 학교기반의 훈련체계를 지닌 영국과 캐나다 사례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이밖에 호주 사례는 국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제도와 NCS 학습모듈의 모델이 된 사례이자 우리와 유사한 학교기반 훈련시스템을 가지고 능력중심 훈련체계 구축에 성공한 사례로서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국가별 직업훈련(VET) 시스템의 특성과 그 제도의 변화에 따라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하는 산업계와 산업별 기구의 역할도 변화하게 되므로, 이처럼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 국가들의 숙련제도의 특성과 그 안에서 산업별 기구의 역할을 재조명해 보는 것은, 향후 우리가 산업수요 중심 훈련체계 정착을 위해 제도적 인프라를 개선하고 산업계의 역할과 방향을 설정해 나가는 데 있어서 주요한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본다. 또한 산업(업종)별 기구에 대한 정부의 지원방식과, 이들 산업계가 능력표준 및 자격개발을 포함한 산업수요 중심 훈련제도를 운영하고 참여함에 있어 이를 국가 또는 정부가 어떠한 방식으로 지원하는가를 분석하는가를 살펴봄으로서 향후 우리나라의 산업계의 역할과 산업별 기구에 대한 정책수립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들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가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를 포함하여 국내 산업계와 주요 파트너들의 역할을 어떻게 정립하고 강화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1. Overview
The ever increasing youth unemployment coupled with the ageing workforce requests ever more efficient training system. To address these issues more effectively, the Korean government has recently introduced a numerous demand-driven, competency-based training arrangements such a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and Work-Study Training Programs.
These new training arrangements have in common that they need strong involvement of industries to be implemented successfully. While the countries these arrangements are adopted from, such as Germany and Australia, have established a tradition of industry involvement, Korea is just at the beginning stage of making it.
This study aims to compare 5 countries that has established such competency-based training system based on industry involvement: Germany, Switzerland, United Kingdom, Canada, and Australia.
These countries vary in the time such system is introduced, and so is the time sector councils are introduced. Their industry organizations that are in charge of developing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are also different.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that sector councils or their functional equivalents are based on, identify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making which form such differences, as well as the functional differences among sector councils in the 5 countries.
2. Major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Countries in the study are grouped into two types of countries. One type is composed of liberal market economies, United Kingdom, Canada, Australia; the other of coordinated market economies, Germany and Switzerland.
Countries like Germany and Switzerland have established their training system based upon close relationship with industries.
The German model differs from the Swiss model in that the labor unions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training system, while in Switzerland, employed-led organizations achieved stronger bargaining power against the government that the labor unions.
The two coordinated market economies have in common that industries have historically actively participated in competency development of the youth at the point they are entering the labor markets in form of apprenticeships. Their bargaining power comes from such history of involvement which made the government(parliaments) accept them as political partners.
These two countries have industrial organizations that represent industries in terms of sectoral competency development. These organizations take different forms in the two countries. In Germany, KWB, Employers’ organizations for competency development, and DGB(confederation of labor unions) come together to develop competency standards and qualifications. In swizerland, sector councils play a major role in developing these.
The liberal market economy countries such as U.K and Canada have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industry involvement compared to Germany and Switzerland. In fact, it is only in late 1990s that such system is introduced in U.K. and Canada. While there have been practices of apprenticeships in some areas in these countries, the nation-wide competency standards development has not come into practice until the government initiated such a practice between late 1990 and early 2000s.
It's the most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industry involvement; One has industry initiatives with little help from the government, in the other, the initiatives comes from the government.
While U.K. and Canada still struggles from lack of initiatives taken by the industries and their organizations, there is one countries which belongs to the liberal market economy, but fares quite well. This study finds that it comes from strong support of the government coupled with the establishment of working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and its reinforcement seems to be the only option for a country with liberal market economy tradition can be successful in adopting competency-based training systems, along with close quality control against training organizations.요약 xi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개요 3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2절 산업수요 중심 국가들의 숙련제도 분석 13
1. 해외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분석을 위한 논의 13
2.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분석을 위한 4가지 모델 16
3. 국가별 숙련형성 제도의 다양성 23
4. 국가별 숙련유형 및 주요 분석 내용 28
제2장 독일, 스위스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분석 33
제1절 독일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35
1. 독일의 숙련형성 모델의 역사 35
2. 독일의 현장중심 VET 시스템의 주요 특성 44
3. 독일의 VET 거버넌스(사회적 파트너십)와 산업계의 역할 50
4. 독일 사회적 파트너(사업주와 노조)의 역할 및 조직적 특성 57
5. 독일 사례의 시사점 67
제2절 스위스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69
1. 스위스 VET 모델의 역사 69
2. 스위스의 직업교육훈련(VET) 제도의 특성 및 현황 74
3. 스위스의 직업훈련(PVET) 거버넌스 구성: 3개의 파트너 86
4. 스위스 산업별 기구의 특성과 역할 91
5. 스위스 사례의 시사점 96
제3장 영국, 캐나다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분석 99
제1절 영국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101
1. 영국의 숙련형성 모델 및 VET 거버넌스의 특징과 역사 101
2. 영국의 직업훈련(직업교육, 자격, 도제) 제도 105
3. 영국의 직업훈련 거버넌스와 산업숙련위원회(SSC)의 역할 122
4. 영국 사례의 시사점 138
제2절 캐나다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140
1. 캐나다의 숙련형성 모델 및 거버넌스의 특징과 역사 140
2. 캐나다의 직업훈련 제도 142
3. 캐나다의 직업훈련제도에서 산업별 기구의 역할 146
4. 캐나다 사례의 시사점 165
제4장 호주의 산업수요 중심 훈련시스템 분석 169
제1절 호주의 새로운 VET 거버넌스의 특징 171
1. 호주의 능력중심 훈련시스템의 형성 171
2. 새로운 VET 거버넌스 구조 174
3. 이전 거버넌스와의 비교 182
제2절 호주에서 개발된 훈련패키지 표준의 훈련기관 활용 185
1. 훈련패키지의 구성요소 분석 186
2. 훈련기관에서 훈련패키지 표준의 전달 및 활용 기준 190
제3절 훈련기관의 훈련패키지 활용 현황 및 사례 193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99
제5장 결 론 203
제1절 요약 및 논의 205
1. 요 약 205
2. 논 의 213
제2절 제언 226
1. 산업계의 참여 강화를 위한 과제 227
2. 국가(정부)의 역할 개선 234
3. 훈련기관의 역할 변화 및 재정립 238
SUMMARY 243
참고문헌 247
부록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