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Change in Downgrade Employment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Abstract

이 논문은 1)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 초기의 하향취업 규모를 분석하고, 2) 하향취업에서 벗어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생산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의 패널자료(1차년도-3차년도)를 활용하였다. 하향취업자의 비율은 졸업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나 감소 폭이 크지 않아 하향취업이 장기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취업자 중 하향취업자의 비율은 1차년도 조사에서 24.7%, 2차년도 조사에서 22.8%, 3차년도 조사에서 19.0%이다. 하향취업 상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대학 졸업 이전의 교육경험 이외에, 하향취업 이후의 교육훈련 요인, 직업경험 요인 등이다. 그 중에서 하향취업에서 탈출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경험에 관련된 변수들인데, 이들 변수는 선행연구들이 밝혀낸 하향취업의 결정요인들과 다르다.It is very important to have young university graduates escape from the downgrade employment at the early stage of their career. This study analysized the size and escaping the downgrade employment of young university graduates by using the panel data of ‘Graduates Occupation Mobility Survey(GOMS).’ The rates of the downgrade employment were 24.7%, 22.8%, and 19.0% at the time, each respectively, 18 months, 30 months, and 42 months after their graduation. Various factors affected the escape from the downgrade employments : 1) socio-demographic factors, 2)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s before their graduation, 3) educational experience and vocational training factors after their graduation, 4) vocational experience factors. Among them vocational experience factor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escaping the downgrade employment. The factors affecting the escape were different from those affecting the downgrade employment, which were found in the previous studies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