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Job Demand and Education/Skill-Job Matches on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in S. Korea

Abstract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고령자 고용과 관련한 연구들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 근로자의 주관적 직무만족에 대한 논의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령화연구패널 2차 기본조사의 55세 이상 임금 근로자와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직무요구도와 교육·기술수준 적합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직무요구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수준 적합도는 임금근로자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반면, 기술수준 적합도는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은 두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인이었고, 성별은 임금 근로자 집단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관련한 직무요구 및 교육·기술 수준 적합도의 중요성을 보여주었고, 나아가 취업형태별로 적합한 개별화된 정책 및 프로그램이 요구됨을 시사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mong older workers in South Korea. An older worker sample (age 55+, n=1,974) was drawn from Wave Ⅱ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conducted in 2008.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unique explanatory contribution of socio-demographics, job demand, and education/skill-job matches on job satisfaction. Two separate analyses were run to note differences among predictors between the salary and self-employed workers.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Job demand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in both salary and self-employed groups; While over-education, under-education, and under-skill influence job satisfaction of the salary worker group, it was found that over-skil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in the self-employed group; Age, household income, and health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for both groups while gender was significant only in the salary worker group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