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abor Market Outcomes in Young Adulthood by Income Class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시점 가구의 소득계층에 따라 청년의 노동시장 성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첫째, 소득계층별 첫 일자리 이행기간을 분석한 결과, 소득1분위에 비해 소득4분위와 소득5분위의 첫 일자리 이행기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고용상태와 이직횟수에 있어서는 소득계층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다. 셋째, 소득1분위에 비해 소득4분위와 소득5분위의 임금수준이 높고 저임금근로를 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교육수준이 높고, 해외연수 경험이 있는 경우에 임금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점의 가구 소득계층에 따라 노동시장 성과가 달라지는 점을 고려하여 소득하위계층에 속한 청년들의 노동시장 성과를 높이기 위한 생애주기적 정책이 요구되며, 고용과 교육, 복지를 포괄하는 통합적 정책이 확충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differences among labor market achievements during young adulthood (ages about 27) by their income class at the age of 17.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KEEP) using survival analysis and Heckman's sample selection mode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ng adults who were in the highest income class had longer period of school to work transition and higher wages compared to the lowest income class. Second, young adult who had a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 or a certification had more probability to get a first job after being graduated or dropped out of school. Third, young adult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ad an overseas training experience had higher wag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young adult policies have to concentrate on welfare services for the job ability of young adults who have been grown up in poor families as well as on improving educational attainment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