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o Promote Re-employment among those who have been Long-term Unemployment

Abstract

※ 본 자료는 Issue 보고서로 선정되어 2004년에 재발간된 보고서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엄격한 의미에서 장기실업자의 개념을 재검토하여 실질적인 장기실업자 개념을 개발하고 그 규모를 추정한다. 장기실업자 실태조사를 통하여 요구를 조사·분석한다. 1997년 이후 장기실업자를 위한 실업대책의 전개과정을 검토하고 대표적인 대책의 재취업 및 고용안정 효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실질적으로 장기실업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고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직업능력개발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3 제3절 연구의 방법 5 제2장 장기실업자의 정의 및 현황 제1절 장기실업의 범위 및 정의 7 제2절 장기실업의 현황 및 국제비교 10 제3절 장기실업의 구조와 특성 16 제4절 장기실업의 파급효과 26 제3장 장기실업자 실태조사 제1절 조사개요 29 1. 조사목적 및 방법 29 2. 조사대상자의 특성 31 제2절 장기실업자의 실업유형 및 구직활동 33 1. 실업유형 33 2. 구직활동 35 제3절 전직경험 및 장기실업의 원인 39 1. 전직경험 39 2. 실업원인 44 제4절 장기실업자의 생활실태 및 사회심리적 상태 46 1. 생활실태 46 2. 심리적 스트레스 정도 50 3. 구직효능감 정도 51 4. 실업유형과의 관련성 52 제5절 정부의 실업대책 참여경험 및 성과 인식 53 1. 재취업훈련 53 2. 공공근로사업 55 3. 상담 및 성취프로그램 59 제6절 요약 및 시사점 60 제4장 장기실업자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 대책 제1절 장기실업자 대책의 기본적 논의 63 제2절 장기실업자의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 대책 유형 64 1. 공공근로사업 65 2. 장기구직자고용촉진장려금 67 3. 실업자재취직훈련 70 4. 고용안정센터 취업지원프로그램 72 제3절 외국의 장기실업자 대책과 시사점 75 1. 영국의 직업교육훈련 정책 76 2. 덴마크의 실업대책으로서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86 3. 시사점 97 제5장 장기실업자를 위한 고용안정 및 직업능력개발 대책의 평가 제1절 분석틀 99 1. 선행연구의 발견점 99 2. 평가를 위한 분석틀 104 제2절 실업대책 유형별 참여자 분석 106 1. 고용보험 DB에 나타난 실업대책 유형별 참여자 분석 106 2. 실업대책 유형별 참여자의 특성: 설문조사 결과 115 제3절 장기실업자에 대한 실업대책 유형별 성과분석 122 1. 재취업훈련 122 2. 공공근로 141 3. 장기구직자고용촉진장려금 수급대상자의 특성 146 4. 요약 및 시사점 150 제6장 장기실업자의 재취업 촉진을 위한 정책과제 제1절 기본방향 155 제2절 인력수요 중심적 직업능력개발 훈련의 확대 157 1. 인력수요에 기초한 실업자훈련 공급 157 2. 지역노동시장의 특성에 부응하는 실업대책의 실시 159 제3절 선고용 후훈련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60 제4절 장기실업자 유형별 특화 사업의 전개 164 제5절 사회심리적 측면에서의 지원방안 166 제6절 직무순환제: 유급훈련 확대와 대체인력 활용방안 170 제7장 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173 제2절 제언 177 장기실업자 실태조사지 181 장기실업자 직업능력개발 대책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지(1): 재취업 훈련 참여자 추적조사 193 장기실업자 직업능력개발 대책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지(2): 공공근로 참여자 추적조사 209 장기실업자 직업능력개발 대책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지(3): 장기실업자 고용촉진 장려금 수급대상자 추적조사 221 참고문헌 22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