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Longitudinal Study on Retirement Typology Classifica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in Korea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중·고령자의 은퇴유형별 영향원인을 분석하여 규칙을 도출하는종단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자료로는 한국노동연구원과 한국고용정보원이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총 4회에 걸쳐 수집한 ‘고령화 연구 패널 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전반적인 평가를 살펴보면, 완전은퇴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일과 관련된 경험, 즉 일자리의 주관적 기대감, 일자리의 전반적 만족도, 업무스트레스 요인이 가장 밀접한 예측요인으로 도출되었다. 그러나 부분은퇴와 직업이동성은 전반적으로 응답자의 연령에 의해 2년 후 일을 줄일 것인지 또는 다른 직무를 바꾸어서라도 일을 더 할 것인지로 나뉘는 결정적 예측 요인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완전은퇴는 물론 부분은퇴 및 직업이동성에 관한 다양한 은퇴유형을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단순히 은퇴와 은퇴하지 않음으로 나눈 여타의 연구들과는 다른 차별점을 가진다. 또한 고령자 및 은퇴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마련하는데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Using the longitudinal approach, this study divided retirement into 3 types, employing the decision tree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to patternize relationship with each type of retirement.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ain factor that causes full retirement is work-related experience, which includes one’s subjective expectation on the job, one’s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ne’s working stress. The age, however, turned out to be the most crucial factor in both part-time retirement and job mobility to predict the followings: whether he or she wishes to work less after 2 years or if he or she still wants to work more, and whether the person will change his or her career only to work more. It is worthwhile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preparing various policies or systems for the elderly or retirees

    Similar works

    Full text

    thumbnail-image

    Available Ver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