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경제계층과 한국민의 통일의식에 관한 연구

Abstract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3. 2. 김병연.시장화는 최근 북한 경제 관련 연구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이다. 1990년대의 '고난의 행군' 이후 시장화는 북한 일반주민들의 가장 중요한 소득원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국가경제 차원에서도 경제성장에 가장 큰 동력으로 자리잡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북한의 시장화 규모는 이전 사회주의국가들에 비교해 보아도 그 규모와 비중이 유례없이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북한 시장화의 독특함과 규모를 반영하여 그 동안 북한 시장화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관련 연구들은 북한 시장화에 대하여 주로 규모 추정, 비교분석, 시장화 확대의 결정요소, 그리고 북한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 등을 분석하여 왔다. 하지만 시장화와 동반하여 생겨난 여러 경제적 요인들이 실제 북한 주민들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정량적, 실증적 연구는 관련 자료 부족으로 인해 아직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자료부족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에서 매년 발표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다음 두 가지의 연구를 수행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북한의 뇌물이 시장소득으로 대표되는 비공식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를 활용한 2SLS 추정 결과 뇌물은 비공식소득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진행된 도구변수 분위수 회귀분석(IV quantile regression) 결과 뇌물의 수익성은 비공식소득 분위가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정결과는 Kim (2010) 연구가 주장하는 북한의 부패 균형(corruption equilibrium)의 취약성(fragility)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뇌물의 비공식소득 수준에 따른 차별적 수익성은 북한 주민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공식소득의 불평등에 기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 장은 앞선 분석과 같은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의 비공식소득에 대한 분포분석을 진행한다. 상대분포분석(relative distribution analysis) 방법과 중위상대양극화 지수(median relative polarization index) 방법을 통하여 시장화 확대 기간 동안 북한의 비공식소득이 더욱 양극화되었음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양극화의 대부분은 상위 소득 분포의 상대적 비중 증가보다는 하위 소득 분포의 상대적 비중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번 설문조사 자료가 내포하고 있는 표본선택편향(sample selection bias)에 대응하기 위한 표본의 재추출(resampling) 처리와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론 적용 이후에도 강건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비공식소득의 양극화 확대는 장기적으로 시장의 제도권 편입에 대한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한국인의 통일의식에 대한 분석을 진행한다. 최근 한국인의 통일의식에 대한 통계자료에 의하면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통일의식과 민족의식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이러한 부정적 통일의식 확산의 원인을 주로 북한주민들에 대한 '타자화', 그리고 늘어나는 젊은세대의 부정적 통일의식에서 찾고 있다. 또한 최근 일부 연구들은 북한주민들에 대한 타자화로 한국사회에서의 통일문제가 점차 일반적인 이민문제화 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일반적인 '반이민정서 이론(anti-immigration sentiment theories)' 중 하나인 '경제적 경쟁 모형(economic competition theory)'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설정한다. 경제적 경쟁 모형은 저숙련 노동자의 경우 향후 기대되는 저숙련 이민자와의 노동시장 경쟁에 대한 우려로 이민에 대하여 비교적 부정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높음을 설명하는 모형이다. 이 연구는 위 모형이 한국인의 통일의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특히 기성세대 대비 젊은세대에서 더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한다. 실증분석 결과 저숙련 집단일수록 통일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에는 세대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젊은세대의 경우에는 통일의식 형성에 자신의 숙련도가 유효한 변수인 것으로 추정된 반면, 기성세대의 경우에는 유효하지 않은 변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젊은세대 일수록 통일을 보다 실질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한, 이는 우리사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통일에 대한 담론이 기존의 전통적인 '한민족 통일'에 대한 것에서 경제적 비용과 편익 등 통일의 보다 실질적인 측면에 대한 것으로 변화해야 함을 시사한다.Marketization is the most prominent economic issue discussed most frequently in the North Korean economy literature. Since the Arduous March of 1990s, marketization has been expanding to become both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ncome for the normal North Koreans, and the main engine for growth of the North Korean economy. Furthermore, the level of marketization in North Korea is unprecedented even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examples of Soviet Union and former socialist states. Reflecting the uniqueness and sheer size of marketization,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study the phenomen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marketization thus far have mainly focused on topics such as estimating its size, comparative level, finding the determinants of expansion, and its contribution to growth of the North Korean economy. However, there are only limited number of empirical studies on how the consequent factors of the marketization affect the economies of the North Korean people due to data deficiency. To overcome the difficulty, the first two chapters of this dissertation utilizes the survey dataset of North Korean Refugee Survey. The dataset is annually published by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IPU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effect of bribe on informal income in North Korea. By selecting an instrumental variable, the 2SLS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bribe increases informal income. Furthermore, subsequent IV quantil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profitability of bribes increases with the informal income quantile. These results empirically confirm the fragility of corruption equilibrium argued by Kim (2010). Furthermore, result of the disproportionate profitability of bribes suggest that it may has contributions to informal income inequality. The second chapter provides distributional analysis on informal income of North Korea with the same data source as the first chapter. By relative distribution analysis and median relative polarization index estimation methods, an increased level of informal income polarization during the period of market expansion is observed. More importantly, the contribution of increase in the share of lower tail distribution to overall increased polarization overwhelms that of increase in the share of upper tail distribution. The results are robust after resampling of the data, and also after matching of the samples by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ology which were conducted in an effort to alleviate the sample selection bias. The result of increased level of informal income inequality may put pressure for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arkets in the long-run. This dissertation also conducts additional analysis on the unification perceptions of the South Koreans. Specifically, the last chapter seeks to analyze growing pessimism on unification. According to statistics on unification perception of the South Koreans, there seems to be a trend where negative perceptions are growing over time. The growing pessimism is especially alarming because some of the suggested reasons behind it, analyzed by previous literature, are increasing alienation of the North Koreans and salient pessimism among the younger generations. In light of this, the last chapt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s generation effect on economic determinants of unification perception by analyzing the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of IPUS. More specifically, empirical tests were conducted to discover whether the economic competition theory, one of the established anti-immigration sentiment theories, are a valid determinant of unification perception. The theory argues that low-skilled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harbor negative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over the concerns for potential competitions with low-skilled immigrants. In addition, whether the younger generations are especially susceptible to it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was investigated.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suggest that there exists generation effect in the negative effect of skill level. In other words, the younger generations consider their skill levels significantly when considering unification, whereas for the older generations, the skill level turned out to be immaterial. This implies that the context in which the unification is discussed in the society should change from traditional justification of mono-ethnicity to more practical aspects of unification such as economic costs and benefits.Introduction 1 Chapter I. Bribery and Informal Income of North Korea: An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 4 1. Introduction 4 2. Literature Review 7 3. Data 10 3.1 IPUS North Korean Refugee Survey 10 3.2 Main Variables 14 4. Empirical Analysis 20 4.1 Baseline Model 20 4.2 Instrumental Variable Approach 23 4.3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29 5. Conclusion 32 Chapter II. Marketization and Informal Income Distribution of North Korea 34 1. Introduction 34 2. Distributional Analysis 37 2.1 Threshold Year Analysis 39 2.2 Distributional Analysis 45 2.3 Robustness Checks 51 3. Discussion 62 4. Conclusion 64 Chapter III. Economic Status and Unification Perception of the South Koreans 67 1. Introduction 67 2. Data 72 2.1 Unification Perception Survey 72 2.2 Variable Construction 74 3. Empirical Analysis 80 3.1 Baseline Model 80 3.2 Age Effect Model 83 3.3 Generation Effect Model 86 3.4 Limitations 91 4. Conclusion 92 Concluding Remarks 94 References 97 Appendix 103박

    Similar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