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Exploration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By applying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Abstract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2.2. 엄문영.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human resource administration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and exploring the cause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were examined. Second, the determinants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were analyzed. Third, teachers' experience of forming risk of attrition was explored. This study solved the research problem by applying a triangulation design among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models to deri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Specifically, by using TALI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data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provided by the OECD, variables affecting teachers' risk of attrition were establish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hecked to find the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ith the risk of attrition. In addition, by perform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ALIS 2018 Korean elementary school data, this research identified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teachers' risk of attrition by age group (20-50s). And at the same time, two teachers with the risk of attrition by age group (A total of 8 people)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explore the reasons and circumstances under which teachers want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by the above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isk of attrition was 13%. This suggests that even if it does not lead to actual attrition, there are many teachers who remain at risk of attrition. Looking at the ratio of teachers' risk of attrition by ag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with 6% in their 20s, 2% in their 30s, 3% in their 40s, and 55% in their 50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risk of attrition by age group,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teaching experience of teachers in their 40s and 50s with risk of attrition was long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out risk of attrition. For teachers in their 20s and 30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risk of attrition.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attrition of highly experienced teachers, and it means risk of attrition of young teachers may be caused by organizational problems rather tha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eachers' risk of attrition of all age groups. In addition, job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risk of attrition of teachers in their 20s, and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risk of attrition in their 30s. Social utility motiv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risk of attrition in their 40s, and the highest level of form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and student-teacher rati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s' risk of attrition in their 50s. Third,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 was pointed out as the cause for teachers of all ages to consider their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In addition, teachers in their 20s were considering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irrational compensation, difficulty in self-realization as an expert, difficulty in student guidance, and excessive work. Teachers in their 30s were considering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irrational compensation, difficulty in self-realization as an expert,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excessive work. Teachers in their 40s were thinking of attrition because of conflicts between teachers due to teacher performance bonuses, relationships with managers, and lack of efficacy as experienced teachers. Teachers in their 50s were thinking about leaving the teaching profession due to health problems and decreased physical strength, the timing of receiving honorary retirement allowances and pensions, relationships with managers, avoidance of older teachers, and lack of efficacy as experienced teachers.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to find out why teachers remain in the teaching profession despite their risk of attri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mained in the teaching profession not only because of economic motives, but also because of their affection for the teaching profes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academic and policy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teachers' risk of attrition considering the negative impact of risk of attrition on students and school organization.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eachers can focus on education, ensure growth potential and achievement in teaching, and improve a simple remuneration system and a static welfare system so that teacher can work with morale.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research on teachers at other levels and private schools,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n students when teachers with high risk of attrition, and research reflecting changes in the times and society need to be conducted continuously.본 연구는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교사들이 교직 이탈의도를 갖게 된 원인을 탐색하여 교육인적자원행정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의 현황과 특성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둘째,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결정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셋째,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는 어떻게 형성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출하고자 통합연구방법 모형 중 삼각화 설계를 적용하여 연구문제를 해결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OECD에서 제공한 TALIS(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한국 초등교원 데이터를 활용해 변인을 설정하고, 기술통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교사의 연령대별(20~50대)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동시에 교사들이 어떤 이유와 상황에서 교직 이탈을 고려하는지 구체적인 맥락을 탐색하기 위해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연령대별 교사 2인을 심층면담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에 의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국내 초등교사의 비율은 13%였다. 이는 실제 이탈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교직 이탈 가능성을 갖고 잔류하는 교사가 적지 않음을 의미한다.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비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 6%, 30대 2%, 40대 3%, 50대 55%로, 연령대 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교직 이탈의도 여부에 따른 교사의 개인적 특성을 연령대별로 확인한 결과, 40대와 50대 교사는 교직 이탈의도가 있는 집단의 평균 교직경력이 교직 이탈의도가 없는 집단보다 긴 것으로 나타났고, 20대와 30대 교사는 교직 이탈의도 여부에 따른 교사 집단 간 개인적 특성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고경력 교사들의 교직 이탈 가능성을 보여주며, 젊은 교사들의 교직 이탈의도가 개인적 특성이 아닌 조직적 문제에서 유발되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직만족도는 모든 연령대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20대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는 직무스트레스가, 30대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는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40대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는 사회적유용성동기, 교직경력이, 50대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에는 최종학력, 교직경력, 학생-교사비율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층면담 결과 교권실추는 모든 연령대의 교사로부터 교직 이탈을 고려하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외에 20대 교사는 비합리적 보상, 전문가로서 자아실현 곤란, 업무과다, 학생지도의 어려움으로, 30대 교사는 비합리적 보상, 전문가로서 자아실현 곤란, 동료교사와의 관계, 업무과다로 인해 교직 이탈을 고려하고 있었다. 40대 교사는 교원성과상여금제로 인한 교사 간 갈등, 관리자와의 관계, 고경력자로서 효능감 부재로, 50대 교사는 건강문제와 체력저하, 명예퇴직 수당과 연금수령 시기, 관리자와의 관계, 고령의 교사 기피, 고경력자로서 효능감 부재로 교직 이탈을 생각하고 있었다. 심층면담을 통해 교직 이탈의도가 있음에도 잔류하는 이유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단순히 경제적 동기만으로 교직에 남아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직에 대한 애정으로도 교직에 잔류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직 이탈의도가 학생과 학교조직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했을 때 교사들이 나타내는 교직 이탈 가능성에 학술적, 정책적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교사들이 교직에 만족하며 사기를 갖고 근무할 수 있도록 교육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교직에서의 성장 가능성과 성취를 보장하며, 완만한 보수체계와 정태적인 복지제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후속연구로서 타 학교급 및 사립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 높은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가 교직에 잔류할 경우 학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 시대와 사회의 변화를 반영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제 2 절 연구문제 8 제 3 절 용어의 정의 9 제 2 장 이론적 배경 10 제 1 절 이직과 이직의도 10 1. 이직 10 2. 이직의도 14 제 2 절 이직의도와 관련된 이론 18 1. 인적자본이론 18 2. 사회교환이론 20 3. 직무배태성 21 4. 종합 22 제 3 절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24 1.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개념 24 2. 선행연구 검토 25 제 3 장 연구방법 34 제 1 절 통합연구방법 34 제 2 절 연구설계 35 1. 연구의 절차 35 2. 양적연구 38 3. 질적연구 46 제 4 장 연구결과 54 제 1 절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 현황과 특성 확인 54 1.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 현황 54 2. 교직 이탈의도 여부에 따른 교사 특성 58 제 2 절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결정요인 분석 71 제 3 절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형성 경험 이해 74 1. 교직 이탈의도가 형성되는 이유 74 2. 교직 이탈의도가 있음에도 잔류하는 이유 101 제 4 절 종합 107 제 5 장 논의 114 제 1 절 교직 이탈의도를 가진 교사 현황과 특성 확인 114 제 2 절 교사의 교직 이탈의도 결정요인 및 형성 경험 이해 116 제 6 장 결론 122 제 1 절 요약 123 제 2 절 제언 126 참고문헌 131 부록 145 Abstract 148석

    Similar works

    Full text

    thumbnail-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