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research outputs found

    운용 조건을 고려한 태양광 추진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의 다점 최적 설계

    Get PDF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기계항공공학부, 2013. 2. 이동호.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추진 고고도 장기체공 항공기 날개에 대해 운용 조건을 고려한 다점 최적설계를 수행 하였다. 해당 항공기의 임무 형상을 설계에 반영하여 전 임무 영역에서 요구 동력 및 날개의 변형을 최소화하였다. 최적설계를 위해 공력해석과 구조해석을 연계하여 두 결과가 수렴할 때까지 계산을 반복하였다. 3차원 Euler equation으로 공력 해석을 하였으며, 구조 해석은 UM/VABS로 해석한 단면 해석 결과를 1차원 보 해석에 반영하여 수행하였다. 설계 시 적용된 기저형상은 가장 긴 무인체공비행기록을 갖고 있는QinetiQ사 Zephyr의 날개이다. 다목적 최적화 유전 알고리즘인 NSGA-II를 이용하여 날개의 공력 및 구조 성능을 향상시켰고 이를 통해 항공기의 장기체공 능력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었다.Multi-point design optimization of S-HALE wing is conducted considering its operating conditions. The mission profile of the aircraft is reflected to optimization process and required power and deflection in every operating condition are minimized. The ae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sign variables are analyzed iteratively to optimize design. 3-D Euler equation is used as a governing equation to calculate aerodynamic properties. For structural analysis, UM/VABS compute cross-sectional properties and the results are applied to 1-D beam analysis. Baseline shape is wing of QinetiQs Zephyr and it has the world record for the longest duration. Before the design optimization, parametric study of aeroelastic performance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design variables. The aerodynamic and structural performances are improved using the NSGA-II suitable for multi-objective design problem. From the results in this study, two optimized wing shape which have better endurance capability than baseline are obtained.AbstractⅠ ContentsⅡ 1.Introduction 1 1.1 Motivations 1 1.2 Objective and Outline 3 2.Numerical and Design Method 5 2.1 Fluid-Structure Interaction(FSI) 5 2.1.1 Aerodynamic Analysis 7 2.1.2 Structural Analysis 10 2.1.3 VMT Method 12 2.1.4 Displacement Transfer 13 2.2 Optimization Methodology 14 2.2.1 Design of Experiment (DOE) 14 2.2.2 Artificial Neural Network 14 2.2.3 NSGA-II 16 2.2.4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ethod 18 3. Design Formulation 19 3.1 Design Variables and Design Space 19 3.2 Design Points and Design Objectives 20 3.3 Multidisciplinary Design Optimization 22 4. Design Results 26 4.1 Pareto-Optimal Analysis 26 4.2 Optimized Wing Shape 28 5.Conclulsion 31 References 32 Abstract in Korean 34Maste

    (A)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s of Caring Class Program for eliminating bias against minority and enhancement of caring behavior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특수교육전공,2010.2.Maste

    Разница wежду <Коwедия о Царе Борисе и ГРИ8ке Отрепьеве> и <Борис Годунов>

    No full text
    На основе сравнений - в основном сравнены были выключение сцен и слов, изменение названия и конца драмы, очередь сцен и композиция - обоих вариантов исторической драмы Пушкина о Борисе Годунове, , написано в 1825 г, и опублоковано в 1993г., и , опубликовано в 1831 г. и в 1996 г., можно говорить, что в интенсивнее выражены макиавеллиевский политическиймир, особенно проблема легитимации, законного правления и законности как таковой. В начале пьесы Бориса просят принять законное правление и в конце пьесы Григорий провозглашен законным царем, два узурпатиры оставались в течение всего своего правления легитимными. Здесь мы можем ясно видеть, что между человеком и тем, что он символизирует, существует противоречие. Это различие между публичной фигурой царя и его личностью поднимает вопрос о природе законной власти. Мне кажется, что Пушкин оспаривает взгляд на царствование как священное, единое и неоспоримое, которыйвыражают Пимен и Карамзин. Этот взгляд оспорен через образы одеяний, идею "безвластного трона" и представление о мире политики как сцене, на которой люди играют свои роли

    Don Giovanni/Don Juan/Don Guan rufen "Donna Anna !"

    No full text
    이 글은 오페라 『돈 조반니 Don Giovanni』 (1787 초연), 호프만 (E.T.A. Hottmann)의 단편 소설 「돈 주안 Don Juan」(1812), 푸슈킨의 작은 비극 『석상손님 KaMeHHbln rOCTb』(1830)을 나란히 놓고 살펴보며 세 작품의 상호연관속에서 남성주인공 돈 조반니/돈 주안/돈 구안과 그들의 운명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여인인 돈나 안나를 이해해 보려는 시도이다. 대본작가 다 폰테 Da Ponte와 작곡가 모차르트 Mozart의 이상적인 합작 이라 평가되는 오페라 『돈 조반니』는 Drama Giocoso(유쾌한 비극)이라는 이름이 말해 주는 것처럼 희극적인 요소와 비극적인 요소가 어우러진 드라마로서 초연 이후 현재까지 매우 다양하게 수용되고 연출되어 온 바 이전설의 바람둥이의 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는 데에 대해서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1813년에 음악 평론지에 발표된 호프만의 단편 「돈 주안」이나 푸슈킨의 드라마 연구, 드라마 실험인 작은 비극 『석상손님』도 이러한 영향 아래 탄생한 작품이다. 이 두 작품에 대해서 다양한 해석들이 행해져 왔지만 이들이 오페라 『돈 조반니』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 역시 이견의 여지가 없다

    Fragment und Plan des Demetrius(1815) and Komedija o Tsare Borise i Grishke Otrep'eve(1993)

    No full text
    1815년 첫 출판되고 1821년 프랑스어로 번역된 실러의 미완성 드라마 ??데메트리우스??와 1824년 쓰기 시작되어 1826년 9월 이후 젊은 지성인들 앞에서 낭독되었고 1993년 첫 출판된 푸슈킨의 은 통치자의 정통성과 권력의 메커니즘 그리고 정치적 행위의 역사철학적 측면을 다루고 있다. 이 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여겨질 만큼 지극히 유사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두 드라마 텍스트의 비교 결과 다음과 같은 동일한 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일한 점들은 1) 통치자의 정통성은 만들어진다는 것, 2) 정치는 연극과 위장이라는 것, 3) 젊은 참칭자인 그리고리의 행동이 권태와 열정에 기인한다는 것, 4) 귀족들은 기회주의적이라는 것, 5) 종교는 권력의 수단이라는 것, 6) 백성들은 우매하고 여론은 조장되는 동시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 7) 여성 인물 마리나가 권력욕에 갇혀 자신의 성적 매력을 권력추구에 이용한다는 것, 8) 민족의식과 권력욕 및 권력이 대립한다는 것, 9) 통치자의 파멸은 정통성의 와해에서 비롯된다는 점이다. 아울러 역사는 반복된다는 점이 두 작품 속에 공히 강조되었다.Schillers unfinished drama, Demetrius, published under the title, Fragment und Plan des Demetrius, in 1815 and translated in French in 1821, and Pushkins drama, Komedija o Tsare Borise i Grishke Otre'eve, begun to be written in Michailovskoe in 1824, read in front of young intellectuals after September 1826, and published in 1993 treat the themes of the legitimacy of the governor, mechanism of power and the historic philosophical aspects of political behavior. The two dramas share extremely similar messages so that Pushkins drama can be considered to have received a significant influence from Schillers drama. These extremely similar messages are: (1) the legitimacy of the governor is artificially manufactured; (2) politics is none other than drama and camouflage; (3) the behavior of a young imposter, Grigory, is due to boredom and passion; (4) noble aristocrats are opportunistic; (5) religion is a means of power; (6) people are stupid and public opinion is manipulated, but they have influence; (7) female actor, Marina, who indulges herself in desire for power, uses her erotic attractiveness for the pursuit of power; (8) national consciousness conflicts with desire for power and power itself; and (9) destruction of the governor begins with the collapse of his legitimacy. In addition to these common messages, both works also emphasize that history repeats itself

    Dama s sobackoj (Dame mit dem Hündchen) und "Tristan und Isolde"

    No full text
    Beim Vergleich der drei Werke, Tschechows Erzahlung Dama s sobackoj (Dame mit dem Hundchen) und Wagners Oper ``Tristan und Isolde`` so wie Gottfried von Straßburgs Epos ``Tristan und Isolde,`` die alle eng miteinander verbunden zu sein scheinen, werden folgende Punkte sichtbar: 1) In ihren Liebesgeschichten haben A. Tschekhow und R. Wagner die Liebesgeschichte von Tristan und Isolde von Gottfried von Straßburg unter dem Einfluß Schopenhauers Weltanschauung betreffs die Liebe, den Tod und das Leben rekonstruiert. 2) In den drei Werken entstand die Liebe auf dem Hintergrund des Meers und wurde diese Liebe stets durch die Qual begleitet. D.h. die drei Worter - das Meer, die Liebe, die Qual - beeinflußen stark auf das Schicksal der Liebenden. 3) In den drei Werken werden die Liebenden ewig durch ein Schicksal, durch ein Herz gebunden. 4) In den drei Werken uberwinden die Liebenden alle Hindernisse und lieben immer starker. 5) In den drei Werken wird das gegensatzliche Verhaltnis zwischen Liebe und Leben (Wirklichkeit) betont. 6) Als Details, die den Einfluß des Gottfrieds Liebesgeschichte auf Tschekhows Liebesgeschichte deutlich sichtbar machen, kann man den gekopften Ritter mit dem Helm in der Hand und das kleine zierliche Hundchen nennen

    Woauf zielt A. S. Pushkins Parodie "Graf Nulin"?

    No full text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das Poem von A.S.Pushkin "Graf Nulin", das als erstes realistisches Werk Pushkins gilt, unter dem Aspekt Parodie zu analysieren, zumal Pushkin selber dieses Poem als Parodie auf "The Rape of Lucrece" von Shakespeare und auf die Geschichte genannt hat. Der Begriff Parodie wird als die bewußte Nachahmung verstanden, die zu dem Parodieπen verschiedene Verhältnisse (polemisch, humoristisch, instrumentell) haben kann, wobei oft sich in einer Parodie verschiedene Verhältnisse zu dem Parodierten gleichzeitig zeigen, wie bei der hier behandelten Parodie. Bei der Analyse des Werkes werden die drei Punkte berticksichtigt, entsprechend Pushkins Bericht 1830 über sein Poem: erstens, warum Pushkinn das Werk von Shakespeare schwach nennt? zweitens, was Pushkin rnit seiner Parodie angreift? Was für eine Beziehung die Parodie zu der darnaligen Gesellschaft haben kann. Durch die Analyse ergab sich: Erstens, durch die Umkehrung der Geschichte und die Banalisierung des Stils in der Parodie greift Pushkin die ungelungene Charakterisierung der Personen bzw. die unnatürliche epische Situation bei dem Werk von Shakespeare an. Die düstere pathetische Stimmung, die unnötige Szenenschilderung der Reue Lucreces, sogar die Unnatürlichkeit ihres asketischen Benehrnens werden bewußt kritisiert. Zweitens, wird die nicht auf die Wahrheit beruhende rörnische Geschichtsschreibung als die politische Mythe, als das Legitimationsrnittel des Herschers angegriffen. Drittens, die darnalige Adelsschicht, ihr Kultumiveau, ihre seichte und inhaltleere Erziehung, ihre unproducktive Lebensführung usw. werden angegriffen und dabei indirekterweise wird gesprochen, daß diese Adelsschicht bzw. die russischen Intellektuellen noch nicht dazu gereift sind, die Gesellschaft und die Geschichte zu änderen

    Советские песни по теме любви 30-ых и 40-ых годов

    No full text
    в сталинское время жанр песни поощрялся как важнейший официальный жанр литературы. Вообще при С-алине на литературу возлагалась своеобрв.зиая функция социальной коммуникаций, при ПОМОЩИ литературы население должно было УЧИ1"ЬСЯ постигать 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ь. для этой цели особенно подходила песня со своими при знаками. В песнях ЗО-ЫХ и 40-ых годов видна такая схема мьшления, в котороЙ четко выражается, что под руководством Сталина советские ЛЮДИ, Я8ЛЯЯСЬ членами советского общества, прилежно работают, счастливо живут и идут на священную войну, сражаясь на ней с полным само поже рт в О ваннем. это должно было быть неким БИДОН объяснительной модели к советской веяствв-гельности и образу действий советских людей. для песни военного периода отчасти характерны более интенсивные человеческие о т ношения, то есть подчёркиввние чувств, тенденция к субъективности, а также к меланхолии и пессимизму. Перед лицом серьёэ ной военной ситуации политическое руководство вынуждено было допустить эти черты, так как оно понимало, что в такой ситуации литература должна отвечать душе человека. В отличие от довоенных любовных песнях, в которых любовь представляется как неотъемлемая часть счастливого существования в частной сфере, в военный период в любовных песнях более чётко рассматривалась любовь как вопрос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эмоциональной сферы людей. Перед войной любящий часто полон жизненного оптимизма, но любящий во время ВОЙНЫ чаС1"О находится в отчаянии. В любовных песнях 30-ых годов любовь часто использовалась йЛЯ дополн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героя, образ КО1"ОРОГО всегда определяется другими чертами, а именно его отношением к патриотическому долгу, к ,руду и Т, Д, В песнях военного периода часто бывают конфЛИКТЫ между общественными нормани и любовью

    The Study on the Mixed Methods Approa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Level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n Elementary School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1. 2. 엄문영.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PLC) a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chool reform.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of teachers, sharing visions and mutual cooperation, PLC is regarded as a mean of promoting school competency and reforming schools as well as teacher competency. In particular, PLC, which began with the spontaneity of teachers amid the widespread school organization culture of individualism, conservatism and bureaucracy, i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However, the prior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s of PLC tend to focus on the influence on the individual competence of teachers. There are literatures which suggest a connec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chool and PLC, but empirical analysis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vitalization of PLC in school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schools. Based on the above problem awarenes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what level can elementary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be typified? Second, how does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elementary school vitalized?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the level of the school organization culture? As a theoretical model for analysis, Likert (1975)'s system theory was used to categoriz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esent it as a measurable indicator. By utilizing the parallel mixed research method ,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equal proportions and the results of each study were presented in an integrated manner. HLM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4 cycles of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and level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quantitative research data. The analysis targets are 232 elementary schools and 6,054 teachers. For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ll over the country for interviews, and a total of 11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Based on this,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categorized to four levels under the types of leadership, cooperation, goal setting,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ntrol offered by Likert(1975). The closer to System 1, the more closed and top-down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closer to System 4, the more open and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appear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teacher's experience, the higher the senior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 vitalization of PLC was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status and values of participants. Compared to ordinary teachers, senior teachers tended to not pay attention to activities of PLC due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ow-career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d in PLC compared to high-career teachers. Teachers' values also affected the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t was difficult to operate community substantially if teachers in the community had different interests and disagreed, or if teachers were lazy to participate. Third, PLC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re in a relationship that affected each other. As a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the participation in PLC had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individual teachers. In addition, the degree of revitalization of PLC had a static effect on the level of the school's organizational culture. These results were also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qualitative studies. PLC has decreased the intensity of hierarchy and changed the school atmosphere by serving as an official communication channel for conveying teachers opinions to schools. However, if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was low, the commun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did not coexist, but existed independently, and the influence of the community was minimal. On the contrary, organizational culture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rmation of PLC. Teachers began to gather as a community to overcome conservative and individualistic organizational culture. After the formation of PLC,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ssisted for PLCs practical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a low-level organizational culture, the community has shrunk due to the principal's interference in the practice of the community and the negative view of teachers outside the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policy suggestions present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school reform, integrated efforts are required for both the vitalization of PLC and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policy efforts such as providing leadership training for school principals at the institutional level and having round table conferences at the school level are required to impro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that does not harm spontaneity in order to vitalize PLC. Fourth, it is crucial to develop a teacher-centered learning community and a learning community in which all school members participate.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개혁의 효과적인 대안으로서의 교사학습공동체와 학교 조직문화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자발적 참여, 비전 공유, 상호협력을 통해 교사 역량뿐 아니라 학교 역량 증진과 학교 개혁의 수단으로 여겨진다. 특히 개인주의, 보수주의, 관료주의가 팽배한 학교조직문화 속에서 교사들의 자발성으로 시작된 교사학습공동체는 조직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기존의 교사학습공동체의 효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경도되어 있으며 학교 조직문화와의 관련성을 제시한 연구는 있지만, 실증적 분석은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안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학교 조직문화 수준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조직 문화는 어떤 수준으로 유형화될 수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내 교사학습공동체는 어떻게 활성화되는가? 셋째, 교사학습공동체와 학교조직 문화 수준은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으로는 조직 문화의 수준을 유형화하고 측정가능한 지표로 제시한 Likert(1975)의 체제 이론을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병렬적 통합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양적, 질적 연구가 동등한 비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각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제시하였다. 양적 연구 데이터로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4주기를 활용하여 HLM 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232개교, 교사 6,054명이다. 질적 연구를 위해서는 전국에서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면담을 하였고, 총 11명의 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의 조직문화 수준은 Likert(1975)가 제시한 리더십, 협력, 목표 설정, 의사결정, 의사소통, 통제의 범주 하에서 높고 낮은 정도로 유형화되었다. 체제1에 가까울수록 폐쇄적, 상하식 조직문화이며 체제4에 가까울수록 개방적, 수평적 조직문화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문화 인식에 있어 교사가 고경력일수록, 일반교사에 비해 부장교사가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는 참여 교사들의 경력과 지위, 가치관이 어떠한가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 일반 교사에 비해 부장 교사는 업무 특성상 공동체에 신경을 쓰지 못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고경력 교사에 비해 저경력 교사들이 더 활발하게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였다. 교사들의 가치관도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공동체 내 교사들의 관심 분야가 다르거나 의견이 맞지 않는 경우, 참여를 귀찮아하는 교사들이 있는 경우에 내실있는 공동체 운영이 어려웠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와 조직문화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었다. 양적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의 참여 유무는 교사 개인의 조직문화 인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 정도가 학교 조직문화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질적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는 학교에 공식적 의견 전달 통로로 기능하고 소통을 이끌어냄으로써 경직된 위계질서를 완화하고 학교 분위기를 변화시켰다. 하지만 조직문화 수준이 낮으면 공동체와 조직문화는 상호적인 관계를 갖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공동체의 영향력도 미미하였다. 반대로 조직문화는 교사학습공동체 형성에 단초를 제공하였다. 교사들은 보수주의, 개인주의적 조직문화를 극복하기 위해 공동체로 모이기 시작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가 형성이 되고난 후 실질적인 운영에 있어서 높은 수준의 조직문화는 공동체 운영에 토양을 제공하였다. 반면, 낮은 수준의 조직문화에서는 관리자가 공동체 운영에 간섭하거나, 공동체 밖 교사들의 부정적인 시선 때문에 공동체가 위축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개혁을 위해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와 조직문화 변화 모두를 위한 통합적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조직문화 수준 향상을 위해 기관적 차원에서 학교장 리더십 연수 제공, 학교 차원에서 다모임 등 정책적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자발성을 해치지 않는 지원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중심의 학습공동체에서 학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학습공동체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제 2 절 연구 문제 2 제 2 장 이론적 배경 3 제 1 절 교사학습공동체 3 1. 교사학습공동체 4 2.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에 관한 선행연구 6 제 2 절 학교조직 문화 8 1. 학교조직 문화 개념 정의 8 2. 학교조직 문화 관련 선행연구 12 제 3 절 이론적 모형 14 1. 이론적 틀: Likert의 체제 이론 14 제 3 장 연구 방법 19 제 1 절 통합연구방법론 19 제 2 절 연구 절차 22 제 3 절 연구 대상 24 1. 질적 연구 참여자 24 2. 양적 연구 자료 25 제 4 절 연구 도구 26 1. 심층 면담 26 2.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29 제 5 절 자료 분석 30 1. 면담 자료 분석 30 2. 양적 자료 분석 31 제 4 장 연구 결과 35 제 1 절 질적 연구 결과 35 1. 조직문화 수준 탐색 35 가. 체제 이론으로 본 학교조직 문화 35 나. 학교 및 교사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차이 40 2.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42 가. 활성화 요인 43 3. 조직문화와 교사학습공동체의 관계 46 가. 조직문화가 교사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46 나. 교사학습공동체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50 4. 소결 54 제 2 절 양적 연구 결과 57 1. 기술 통계 57 2. 교사학습공동체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HLM 60 가. 리더십 60 나. 협력 61 다. 의사소통 63 라. 의사결정 65 마. 목표공유 66 바. 통제 67 2. 교사학습공동체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고정효과모형 69 3. 소결 72 제 5 장 논의 74 제 1 절 교사학습공동체가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 74 제 2 절 조직문화가 교사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76 제 6 장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85 Abstract 95Maste

    The Symbolic Meanings of Fashion Expressed in 2000s Artworks

    No full text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13. 2. 하지수.본 연구는 21세기 미술작품에 표현된 패션의 의미 분석을 통해 현대사회 속 패션의 사회, 문화적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현대사회 속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패션과 미술의 크로스오버 현상은 산업적인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져왔고, 예술적 측면에 대한 시각은 서양미술에 집중되어 있거나 패션이 주체가 된 시각에서 상호관계를 바라보던 것이 전부였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패션과 미술의 관계를 패션의 관점이 아닌, 미술의 관점으로 살펴봄으로써 패션이 현대사회 속에서 가지는 시대정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대사회 속에서 패션이 가지는 사회, 문화적 가치를 살펴보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과거 서양미술에 집중되어 있던 미술과 패션의 관계성을 현대 국내외 미술을 통해서 바라본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인간의 삶과 정신세계에 바탕을 둔 미술에 나타난 패션의 의미를 재발견함으로써 패션이 현대사회에서 하나의 문화 코드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어떤 상징성을 가지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연구와 인터뷰를 통해 2000년대 미술작품에 나타난 패션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국내외 잡지, 논문, 서적을 참고하여 상업성과 일회성을 배제한 2000년대 패션을 주요 소재로 하는 작품을 선정하였다. 미술작가 11명 중 5명은 작품의 의도, 관람객의 이해, 패션오브제의 의미와 사용동기 등으로 구성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오브제가 미술에서 새로운 의미로 사용된 이후로 패션 역시 미술작품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사용되어 왔다. 20세기 미술작품에서 표현된 패션은 성(Sexuality and Gender), 신체이미지, 보호기재, 상호관계, 소비문화 등 5가지를 상징하였다. 21세기에서 패션의 상징성은 젠더, 자기이미지, 상호관계, 소비문화로 20세기에 도출된 의미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다만, 상징적 의미가 강화되거나 세분화되어 나타났다. 과거 섹슈얼리티와 젠더로 표현되던 성은 젠더로 사회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나타났고, 신체이미지는 좀 더 구체적으로 자아를 상징하는 자기이미지로, 상호관계는 전체가 중요시되던 시각에서 개인 중심적 시각으로, 소비문화는 비판적 시각에서 긍정적 시각으로 표현되고 있었다. 또한 21세기에 새롭게 도출된 의미로는 혼합문화(Hybrid Culture), 주체적 개인주의, 다중적 공간성 을 들 수 있다. 2000년대 미술작품에서 다루어지는 패션의 상징성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첫째, 패션은 젠더를 상징한다. 김민형은 하이힐에 남성의 힘과 진취성을 상징하는 말의 다리를 붙임으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파워풀하고 진취적인 양성성을 가진 여성을 표현하고 있다. 배찬효는 크로스드레싱을 통해 백인여성이 한국인 남성을 바라보는 시선의 문화적 차이와 인종적 차별을 표현하고 있다. 젠더는 20세기에도 패션의 상징성으로 도출된 바 있다. 과거 성은 젠더와 섹슈얼리티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현재에 와서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시각은 줄어들고 사회성이 강조된 젠더는 여전히 의미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젠더는 특정한 성만을 다루는 시각 보다는 한 작품에서 여성성과 남성성이 혼재로 표현되고 있다. 둘째, 패션은 욕망을 상징한다. 권오상은 광고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욕망과 소비문화의 욕망을 연결시켜 표현한다. 김민형은 변형된 하이힐을 통해 여성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무의식적 욕망을 현실세계로 끌어온다. 욕망은 20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에서 표현하고 있는 상징성 중 하나이다. 다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른 경향성을 가진다. 과거에는 무의적 성적욕망으로 표현되던 욕망이 소비사회에서는 소비문화에 대한 욕망으로 표현되고 현재에 이르러서는 욕망 그 자체에 집중하는 집착성이 강해지는 욕망의 표현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극적이고, 직접적인 시각문화의 발달과 소비재에 대한 과도한 노출은 인간의 욕망을 지속적으로 부추기고 있고 이런 욕망 속에서 절제하기 어려워진 인간의 욕망에 대한 단상을 작품 속에서 표현한다. 셋째, 패션은 자기이미지를 상징한다. 김민형은 거대한 하이힐을 통해 자신의 이상적 자기이미지와 현실의 자기이미지의 괴리감을 통한 공허함을 표현했다. 서도호는 교복을 통해 자아정체성이 사라진 한국의 70-80년대 현실을 나타내고 있다. 과거에 패션은 신체이미지로 표현되었지만 현대에는 자아정체성이 더욱 부각되어 개인의 경험을 통한 자아표출에 집중하고 있다. 개인의 취향이 중시되고 있는 사회문화적 현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패션은 상호관계를 상징한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옷의 스타일, 색을 통해 자신과 관련 있는 여성들을 표현하고 있다. 서도호는 블라우스의 색의 변화와 재질감을 이용해 문화이동을 통한 혼돈 속에서 자신을 지탱해주는 인간 사이의 네트워크를 표현하고 있다. 과거 상호관계는 집단주의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2000년대 상호관계는 개인의 특성을 중시하는 개인주의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역시 개인의 존중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패션은 소비문화를 상징한다. 실비 플뢰리는 럭셔리 브랜드의 가방, 신발을 더욱 반짝일 수 있게 브론즈로 주조하여 유한한 패션을 영원하게 표현한다. 전상옥은 광고이미지의 재현을 통해 작가가 가진 소비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표현한다. 과거에도 소비문화에 대한 시각은 존재했지만 이는 소비문화가 가진 한 가지 특성을 표현하거나 남성 중심적 소비문화의 시각을 비판하고 있다. 반면에, 2000년대에는 소비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은 남성에서 여성으로 주체가 변하였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시각으로 대체된다. 이 밖에도 패션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바네사 비크로프트는 아름다운 누드의 여성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흐트러지는 모습에서 현대사회가 강요하는 여성의 미를 표현한다. 퍼포먼스에서 패션은 현대 여성들의 이상미를 표출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김남표는 럭셔리브랜드의 가방과 신발을 풍경의 한 요소로 나타내고 있다. 작가는 인터뷰에서 패션을 제품의 항구성만을 인지하여 표현하고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명품을 자연과 한 위치에 두고 그를 통한 순수한 풍경을 그리는 작가의 시선에는 소비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이 엿보인다. 2000년대 미술작품에서 새롭게 유추할 수 있는 상징성은 혼합문화, 주체적 개인주의, 다중적 공간성이다. 첫째, 패션은 혼합문화를 상징한다. 잉카 쇼니바레는 문화적 혼합물의 결과인 아프리칸 패브릭을 이용하여 빅토리안 시대의 코스튬을 재현한다. 이를 통해 유럽문화와 흑인문화의 결합을 보여주고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비판한다. 또한 댄디즘과 흑인문화를 결합한 블랙댄디즘에 대해 언급한다. 자신의 작품 속 의복을 통해서 혼합문화를 제시하고 이를 통한 후기식민주의 사회를 비판한다. 둘째는 패션은 주체적 개인주의를 상징한다. 이는 현대사회의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주요 트렌드로 개인의 취향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의 모습이 패션에 반영되고 있는 사례이다. 배준성 작품 속 패션은 하나의 레이어로 회화 속에서 쌓여 가는 하나의 이미지 층이다. 또한 패션은 하나의 레이어로 렌즈가 되기도 한다. 작가는 관람객에게 사회가 주는 고정적이고 집단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각자 개인의 관점으로 작품을 바라보도록 유도한다. 서도호와 과거 제임스 리 바이어스의 작품을 살펴보면 현시대의 미술작품 속 패션의 의미가 보다 개인주의적 성향을 드러냄을 알 수 있다. 20세기 작품에서 상호관계는 사회 속에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집단주의적 사회화의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21세기의 상호관계는 개인의 정체성과 취향이 중시된 개인주의적 사회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작품 전반에 걸쳐 주체적 개인주의의 의미가 포함되고 있음이 드러난다. 세 번째로 패션의 상징성은 다중적 공간성이다. 루이스 부르주아는 옷의 스타일과 색에 따라 패션이 작품 속에서 지니는 의미를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으로 해석하고 있다. 서도호는 교복을 통해 사적공간의 부재에 대해 말하고 있다. 2000년대 미술작품 속에 패션은 3차원적인 공간성을 지니며 그 공간성은 옷의 목적에 맞게 다중적 공간성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 속에 나타난 패션은 인간의 정체성을 넘어서 문화적,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미학적, 경제적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거에 비해 2000년대 미술작품에 표현된 패션은 하나의 의미로 귀결되기 보다는 다양한 의미들이 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개인중심주의, 여성중심주의, 소비문화, 하이브리드문화 등 작가들은 패션을 통해 현 사회가 가지고 있는 이슈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는 미술과 패션이 사회적 현상들을 통해 미적 가치를 반영하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패션과 미술은 앞으로도 크로스오버를 통해 서로의 경계성을 허물고 시각적 문화로서 서로의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패션이 현대사회에서 표현되는 상징성을 통해 현대사회 속에서 패션의 가치를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미술 작가를 11명으로 한정하고 있어, 패션이 미술작품 속에서 지니는 상징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진다. 보다 다양한 작품과 패션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현대사회 속에서 패션이 가지는 의미를 분석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의의와 목적 1 2. 연구의 방법과 범위 6 Ⅱ. 미술에 나타난 패션의 의미 고찰 9 1. 20세기 이전 패션과 미술 9 2. 20세기 이후 패션과 미술 15 1) 20세기 미술에 표현된 패션의 의미 18 (1) 성(Gender & Sexuality) 20 (2) 신체이미지 27 (3) 상호관계 30 (4) 보호기재 32 (5) 소비문화 33 2) 종합적 논의 38 Ⅲ. 2000년대 미술작품에 나타난 패션의 상징적의미 44 1. 국외 미술작품에 나타난 패션의 의미 44 1) 국외 미술작품 47 (1) 루이스 부르주아 47 (2) 바네사 비크로프트 51 (3) 실비 플뢰리 56 (4) 잉카 쇼니바레 60 2) 종합적 논의 64 2. 국내 미술작품에 나타난 패션의 의미 67 1) 국내 미술작품 67 (1) 권오상 67 (2) 김남표 70 (3) 김민형 74 (4) 배준성 78 (5) 배찬효 82 (6) 서도호 86 (7) 전상옥 91 2) 종합적 논의 94 3. 패션의 상징적의미 101 1) 혼합문화 101 2) 주체적 개인주의 104 3) 다중적 공간성 105 Ⅳ. 결 론 108 참고문헌 115 사진출처 119 AbstractMaste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