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research outputs found
ξένος, чистый зов: о концепции художника и искусства в драме Александра Блока «Роза и крест» (ξένος, Pure call: On the Conception of Artist and Art in the Drama of Aleksandr Block The Rose and the Cross)
드라마 「장미와 십자가」는 무엇보다 예술에 관한 드라마로서, 이 드라마의 슈제트는 아름다운 부인에 대한 나이든 한 평범한 기사의 사랑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예술에 의한 인간의 행위에 관한 것, 즉 바로 예술에 의한 삶의 변용에 관한 것이다. 자신의 창작 세계는 반성적 성찰을 위해 시작한 드라마투르기의 행보를 통해 블로크는 자신의 오류와 위기를 극복해갔지만, 시 편의 서정 드라마들 (「발라간칙」, 「광장의 왕」, 「낯선 여인」)과 「운명의 노래」는 서정의 푸른 감옥에 갇힌 블로크 예술의 비생명성을 극복하려는 사유의 흔적을 형상화하면서, 다른 한편 그 자체로 상징주의의 미학적 자기비평과 발전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장미와 십자가가」는 무엇보다 삶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미학적 기반으로 하는 블로크의 드라마들을 통해 진행되어 온 예술미학적 사유를 종결하는 드라마이다. (커다란) 세계와 인간의 주제, 그리고 순수한 부름으로서의 예술가의 형상을 통해 이 드라마는 생예술의 문제의식에 관련하여 미학 속에서 공전하던 사유의 침체를 파열하고 나가는 마지막 파성추가 되었던 것이다.
Драма Александра Блока > посвящена сквозной для символизма теме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а. Сюжет ее излагает не историю любви, а действие человека, побуждаемого искусством к жизни. Драма воплощает мысль Блока о преображении жизни искусством, которая оформившуюся в третий период его творчества, в период синтеза. По пути драматургии, которая была зарождена потребностью критической ретроспекции о своем творческом мире, Блок преодолевает ошибки и кризисы своей эстетики. Три лирических драмы и драма «Песня судьбы», с одной стороны, показывают следы размышлений Поэта о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е чтобы преодолеть нежизне-способность его лирики, с другой стороны, сами образуют одну из граней эволюции и самокритики символизма. При этом} «Роза и крест» является завершением эстетических размышлений о соотношении искусства и жизни, волвовашших Блока. Видение Мира, тема простого человека, и образ художника как чистого зова, делает «Розу и к{рест» как посдедним тараном, способным прорвать мертвечину разм}ышлений Поэта о проблем}е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а
Тень и свет мистерии: театр Федора Сологуба и театр Николая Евреинова
Потребность 'общения' между сценическим представлением и зрителем пред- определяет исходную эстетическую ориентацию модернистского театра в начале ХХ века в России. Влекуемаяся в проблеме соотношения сцены и зрительного зала идея 'общения' в театре, выражаясь в разных сценических опытах модернизма, поднимается как общепринятая эстетическая задача модернистского театра. Первой попыткой решения 'общения' в театре является театр 'мистерии' и 'соборный театр', понятие которых развилось у Вячеслава Иванова. При этом парадоксально что, стремление соборного театра совершить 'общение' между сценой и зрителем в театре до своего предела, Т.е. его стремление достигнуть абсолютного уровня возможности 'общения' театрального сообщения обрекает 'соборный театр' на эстетический гибель. В 'соборном театре' 'абсолютное' 'общение' между сценой и зрителем падает в свою очередь в 'нулевое'. Эстетически крайную концепцию 'абсолютного' 'общения' и монологизма наследует театр монодрамы в модернистском театре, в том числе сугубо субъективный театр Федора Сологуба 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ый театр Николая Евреинова. В театре Ф. Сологуба, идея монодрамы, соприкасаясь с концепцией абсолютной субъективности творческой личности, обосновывает пессимическое эстетическое мировозрение автора о творчестве как 'высокое безумие', эстетическое 'бегство' от грубой действительности. Над 'абсолютным' 'общением' в театре Сологуба висят тени небытия
The Pygmalion Myth Context in Symbolism
I. 서론 - 피그말리온 신화와 러시아 상징주의의 생예술 (жизнетворчество) 텍스트.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신화는 일찍이 루소, 괴테로부터 버나드 쇼에 이르기까지 서구에서 많은 예술가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것은 아마도 아름다운 석상을 조각해내고 극진한 사랑을 통해 석상에 생명을 불어넣어 살아있는 연인으로 만든 조각가의 이야기에 담겨진 예술미학적 함의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예술작품에 생명을 불어넣은 피그말리온은 이상적 예술가의 형상으로, 그리고 그의 창작행위는 단순한 미적 활동을 넘어 예술행위의 실존적 의미를 획득한 이상적 창조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많은 예술가들이 피그말리온 신화에 비추어 자신의 예술가적 정체성과 창작활동을 성찰하게 되면서 피그말리온 이야기는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하나의 원형적 관념으로 자리잡는다.1)예술적 원신화로서의 피그말리온 신화에 대한 예술사적 맥락을 살펴보면 그 중에서도 이 신화에 대한 러시아 상징주의의 관심은 매우 각별한 것임을 발견하게 된다. 동시대에 발표된 유명한 버나드 쇼(Bernard Shaw)의 희곡「피그말리온(Pygmalion)」은, 루소와 괴테 등의 작가들이 증명하듯이 계몽주의와 고전주의를 거쳐 지속되어 온 이 신화에 대한 예술적 관심이 여전히 식지 않았음을 보여주지만, 러시아 상징주의의 경우 이러한 한층 더 나아가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상징주의자들의 창작에서 피그말리온 신화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세기 초에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에 이미 조금 앞서서 러시아 상징주의자들이 피그말리온 신화를 이토록 열렬히 전면적으로 인용했던 이유는 무엇일까.2)
This paper examines symbolists' interpretation of the idea of lifecreation(жизнетвоорчество), which has been the cornerstone of symbolists' aesthetic and their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ree different reinterpretations of the ancient greek myth about lovers, Protesilaus and Laodamia. This myth was considered to embed the ideal type of artist for symbolists, Pygmalion, who is conceptualized as the Dionysian artist who could realize the idea of lifecreation, transforming a statue into an living woman, and was rewritten under the context of lifecreation by three representatives of the symbolist era.본 논문은 2008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KRF-A00819)
Миф о Пушкине в мод ернимз е: пам ятник неруко тво рный или мой Пушкин
1. 동상의 자기 신화와 나의 푸슈킨
Я памятник себе воздвиг нерукотворный, К нему не зарастет народная тропа, Вознесся выше он главою непокорнойАлександрийского столпа. Нет, весь я не умру —душа в заветной лире Мой прах переживет и тленья убежит — И славен буду я, доколь в подлунном мире Жив будет хоть один пиит. Слух обо мне пройдет по всей Руси великой, И назовет меня всяк сущий в ней язык, И гордый внук славян, и финн, и ныне дикой 나는 내게 손으로 만들지 않은 기념비를 세웠다.
사람들의 오솔길은 여기로 닿지 않으며, 알렉산드르의 원주보다 높이 도도한 고개를 들어 높이 솟아있다. 아니, 나는 죽지 않으리 - 약속된 리라 속의 영혼은 유골보다 오래 살아남아 부패하지 않으리 - 그리하여 나는 칭송받을 것이다, 이 지상에 단 하나의 시인이 남을 때까지. 나에 대한 이야기는 위대한 루시 전역으로 퍼지고,
여기 존재하는 모든 언어가 나를 부르리, 슬라브족의 도도한 자손, 핀족,, 지금은 야만적인 퉁구스족도,
Тунгус, и друг степей калмык. И долго буду тем любезен я народу, Что чувства добрые я лирой пробуждал, Что в мой жестокий век восславил я Свободу И милость к падшим призывал. Веленью божию, о муза, будь послушна, Обиды не страшась, не требуя венца, Хвалу и клевету приемли равнодушно И не оспоривай глупца.1) 초원의 벗 칼믜크족까지도. 나는 리라로 고귀한 감정을 일깨웠으니, 잔인한 시대에 나는 자유를 기리고 쓰러진 이들에 대한 자비를 호소했으니, 그로 인해 민중들은 나를 오래 사랑할 것이다. 뮤즈여, 신의 명령에 순종하고, 모욕을 두려워말고, 영광의 관을 구하지 말며, 칭찬과 중상을 담담히 받아들이며 어리석은 이와 논쟁하지 말라.본 논문은 2006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KRF-2006-321-A00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