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 research outputs found

    살아있는 뉴런과 동물에서 mRNA 관찰에 대한 연구

    Get PDF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부(물리학전공), 2021.8. 이병훈.mRNA는 유전자 발현의 첫번째 산물이면서, 리보솜과 함께 단백질을 합성한다. 특히 뉴런에서, 몇몇 RNA들은 자극에 의해 만들어지고, 뉴런의 특정 부분으로 수송되어 국소적으로 단백질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최근 mRNA 표지 기술의 발전으로 살아있는 세포에서 단일 mRNA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RNA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기억 형성과 상기할 때 활성화된 뉴런의 집합을 찾는 것 뿐 아니라, 뉴런의 축삭돌기에서 mRNA가 어떻게 수송되는지를 관찰했다. 이 논문의 첫 부분에서 우리는 신경 자극에 반응해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진, Arc 유전자의 전사를 관찰하였다. 기억은 engram 혹은 기억 흔적 (memory trace)라고 불리는 뉴런들의 집합에 저장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시간에 따라서 이런 기억 흔적세포들의 집합이 어떻게 변하고, 변화하면서도 어떻게 정보를 유지할 수 있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살아있는 동물에서, 기억 흔적세포를 긴 시간 동안 여러 번 찾아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genetically-encoded RNA indicator (GERI) 기술을 사용해, 기억 흔적세포의 표식으로 널리 사용되는 Arc mRNA의 전사과정을 살아있는 쥐에서 관찰하였다. GERI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방법들의 한계점이었던 시간 제약 없이, 실시간으로 Arc를 발현하는 뉴런들을 찾아낼 수 있었다. 쥐에게 공간 공포 기억을 주고 나서 여러 번 기억을 상기시키는 행동실험 후에 Arc를 발현하는 세포를 식별했을 때, CA1에서는 Arc를 발현하는 세포가 이틀 후에는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았으나, RSC의 경우 4퍼센트의 뉴런들이 계속해서 활성화하는 것을 관찰했다. 신경활동과 유전자 발현을 같이 조사하기 위해, 쥐가 가상 환경을 탐험하고 있을 때 GERI와 칼슘 이미징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억을 형성할 때와 상기시킬 때 Arc를 발현했던 뉴런들이 기억을 표상하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처럼 GERI 기술을 이용해 살아있는 동물에서 유전자 발현된 세포를 찾아내는 방식은 다양한 학습 및 기억 과정에서 기억 흔적세포의 dynamics에 대해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의 두번째 부분에서, 우리는 세포 골격의 기본 구성 단위가 되는 β-actin의 mRNA를 축삭돌기에서 관찰하였다. mRNA의 국소화 (localization)를 통한 국소 단백질 합성은 축삭돌기 (axon)의 성장과 재생에 중요한 역할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 mRNA의 국소화가 축삭돌기에서 어떻게 조절되고 있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모든 β-actin mRNA가 형광으로 표지된 유전자 변형 쥐를 이용해, 살아있는 축삭돌기에서 β-actin mRNA를 관찰하였다. 이 쥐의 뉴런을 축삭을 구분해 줄 수 있는 미세유체 장치 (microfluidic device)에 배양한 뒤에, β-actin mRNA를 관찰하고 추적을 진행했다. 축삭은 세포 몸통으로부터 길게 자라기 때문에 mRNA가 먼 거리를 수송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mRNA가 수상돌기에 비해 덜 움직이고 작은 영역에서 움직이는 것을 보았다. 우리는 β-actin mRNA가 주로 축삭돌기의 가지가 될 수 있는 filopodia 근처와, 시냅스가 만들어지는 bouton 근처에 국소화되는 것을 관찰했다. Filopodia와 bouton이 actin이 풍부한 부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우리는 액틴 필라멘트와 β-actin mRNA의 움직임간에 연관성을 조사했다. 흥미롭게도, 우리는 β-actin mRNA가 액틴 필라멘트와 같이 국소화 되고, β-actin mRNA가 액틴 필라멘트 안에서 sub-diffusive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먼 거리를 움직이던 mRNA도 액틴 필라멘트에 고정되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축삭에서 β-actin mRNA 움직임을 본 이번 관찰은 mRNA 수송 및 국소화에 대한 생물물리학 적 메커니즘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mRNA is the first product of the gene expression and facilitates the protein synthesis. Especially in neurons, some RNAs are transcribed in response to stimuli and transported to the specific region, altering local proteome for neurons to function normally. Recent advances of mRNA labeling techniques allowed us to observe the single mRNAs in live cells. In this thesis, we applied RNA imaging technique not only to identify the neuronal ensemble that activated during memory formation and retrieval, but also to traffic mRNAs transported to the axon. In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we observed the transcription site of Arc gene, one of the immediate-early gene, which is rapidly transcribed upon the neural stimuli.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in response to stimuli, Arc is widely used as a marker for memory trace cells thought to store memor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nsemble dynamics of these cells because it has been challenging to observe them repeatedly over long periods of time in vivo.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present a genetically-encoded RNA indicator (GERI) technique for intravital chronic imaging of endogenous Arc mRNA. We used our GERI to identify Arc-positive neurons in real time without the time lag associated with reporter protein expression in conventional approaches. We found that Arc-positive neuronal populations rapidly turned over within two days in CA1, whereas ~4% of neurons in the retrosplenial cortex consistently expressed Arc upon contextual fear conditioning and repeated memory retrievals. Dual imaging of GERI and calcium indicator in CA1 of mice navigating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revealed that only the overlapping population of neurons expressing Arc during encoding and retrieval exhibited relatively high calcium activity in a context-specific manner. This in vivo RNA imaging approach has potential to unravel the dynamics of engram cells underlying various learning and memory processes. In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we imaged β-actin mRNAs, which can generate a cytoskeletal protein, β-actin, through translation. Local protein synthesis has a critical role in axonal guidance and regeneration. Yet it is not clearly understood how the mRNA localization is regulated in axons. To address these questions, we investigated mRNA motion in live axons using a transgenic mouse that expresses fluorescently labeled endogenous β-actin mRNA. By culturing hippocampal neurons in a microfluidic device that allows separation of axons from dendrites, we performed single particle tracking of β-actin mRNA selectively in axons. Although axonal mRNAs need to travel a long distance, we observed that most axonal mRNAs show much less directed motion than dendritic mRNAs. We found that β-actin mRNAs frequently localize at the neck of filopodia which can grow as axon collateral branches and at varicosities where synapses typically occur. Since both filopodia and varicosities are known as actin-rich areas, we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actin filaments and β-actin mRNAs simultaneously by using high-speed dual-color imaging. We found that axonal mRNAs colocalize with actin filaments and show sub-diffusive motion within the actin-rich regions. The novel findings on the dynamics of β-actin mRNA will shed important light on the biophysical mechanisms of mRNA transport and localization in axons.1. INTRODUCTION, 1 1.1. Neuronal ensemble, 1 1.2. Immediate-early Gene (IEG), 3 1.3. Methods for IEG-positive neurons, 3 1.4. Two-photon microscope, 5 1.5. References, 7 2. IMAGING ARC mRNA TRANSCRIPTION SITES IN LIVE MICE, 9 2.1. Introduction, 9 2.2. Materials and Methods, 10 2.3. Results and Discussion, 18 2.4. References, 26 3. NEURONS EXPRESSING ARC mRNA DURING REPEATED MEMORY RETRIEVALS, 28 3.1. Introduction, 28 3.2. Results and Discussion, 28 3.3. References, 35 4. NEURAL ACTIVITIES OF ARC+ NEURONS, 36 4.1. Introduction, 36 4.2. Materials and Methods, 37 4.3. Results and Discussion, 38 4.4. References, 52 5. AXONAL mRNA DYNAMICS IN LIVE NEURONS, 54 5.1. Introduction, 54 5.2. Materials and Methods, 55 5.3. Results and Discussion, 59 5.4. References, 70 6. CONCLUSION AND OUTLOOK, 72 ABSTRACT IN KOREAN (국문초록), 76박

    리튬이온저장 및 촉매용 이산화티타늄 기반 나노재료 디자인 및 합성

    No full text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화학생물공학부(에너지환경 화학융합기술전공),2019. 8. 현택환.이산화티타늄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전이 금속 산화물 중 하나이다. 이산화티타늄은 20세기 초 산업화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이후 환경친화성, 저렴한 생산 가격, 뛰어난 물질 안정성과 같은 특징을 지닌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차단제, 색소, 치약, 식품착색제, 그리고 개인미용용품 등 많은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 이산화티타늄은 마이크로미터 (um) 범위에 한정되어 왔다. 흥미롭게도,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크기가 나노미터 (nm) 범위에 접어들게 되면, 그 이상의 스케일에서 보이지 않던 새로운 특성들이 나타나게 된다. 새로운 특성들 중 가장 흥미로운 특징은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리튬저장 능력과 광촉매 성능이 입자크기가 나노미터에 접어들게 되면서 굉장히 향상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의 뛰어난 리튬저장능력과 광촉매 성능은 이산화티타늄을 친환경적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큰 원동력이 된다. 그러나 이미 대형화가 이루어진 기존 마이크로미터 스케일에서의 이산화티타늄 산업과는 다르게, 나노미터 스케일로 발생하는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서의 이산화티타늄 산업은 아직 초기상태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서 발생하는, 리튬 저장과 광촉매 현상의 메커니즘이 나노미터 스케일에서 어떻게 진행하는지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정보들이 적절하게 제공된다면, 이산화티타늄 기반 물질들은 이미 대형화가 이루어진 이산화티타늄 산업에 힘입어, 에너지 전환 및 저장 매체로서 새로운 응용 분야에 완전히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는 박사과정 동안 리튬저장과 광촉매 현상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 원자수준에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로서 이번 논문에서는, 첫째로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를 엔지니어링 하는 것이 어떻게 이산화티타늄의 한계리튬저장 성능을 이끌어내고, 이를 장기성능으로 유지하는지 증명한다. Anatase 상을 지니는 이산화티타늄 내의 리튬 저장은 기존에 단일 상 변화 (TiO2→Li0.55TiO2) 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산화티타늄의 낮은 리튬확산속도로 인해, 많은 리튬 저장은 활동적으로(kinetically) 제한되어 왔다.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며, 이러한 활동적 제한 한계까지 장기적으로 리튬을 저장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었지만, 이러한 활동적 제한을 넘어 실제 이산화티타늄의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까지 리튬을 저장하는 방법은 보고되지 않았다. 나는 속이 빈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를 만들었고, 연이은 두개의 상 변화 과정(TiO2→Li0.55TiO2→Li1TiO2)을 통해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까지 리튬을 가역적으로 그리고 장기간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 내에 리튬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이산화티타늄 나노 구조의 입자 크기와, 속이 빈 나노 구조의 형태를 동시에 조절하며, 이산화티타늄 나노구조 내로 리튬이 저장되는 메커니즘을 관측한 결과, 미시적(원자 수준) 관점에서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 내로 리튬이 어떻게 저장되는지 발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이론적 리튬 저장 한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보고하였다. 그 이후 나는 여러가지 특정한 원자구조를 지니는 단원자 촉매가 담지 된 이산화티타늄 나노 입자를 통해 가역적 이고 상호협동적인 광 활성화 과정이 불균일촉매 (heterogeneous catalyst) 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산화티타늄 위의 광촉매 수소 형성은 지난 30년간 굉장히 많이 연구되어 왔지만, 실제 수소 형성이 이산화티타늄 표면에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단원자촉매라는 개념이 새로 형성되며, 담지체 (support) 위에 담지 된 단원자 들이 촉매의 활성점으로 굉장히 활동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단원자촉매의 단일 원자구조로 이루어진 장점을 이용하여, 나는 여러 종류의 특정 원자 구조를 지니는 단원자/이산화티타늄 광촉매를 합성하였다. 이러한 촉매 디자인을 통해, 효소와 균일촉매(homogeneous catalyst)만이 지니었다고 알려져 있던 가역적이고 상호협력적인 광 활성화 과정이 실제로는 불균일 촉매에서도 원자수준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 부분에서, 이 논문은 원자 촉매와 주변 이산화티타늄 격자 구조의 상호 작용은 물질 전체의 특성 자체를 바꿔버릴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특성은 가역적 그리고 상호협력적 상호작용이 효소나, 균일촉매에서와 같이 불균일 촉매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Titanium dioxide (TiO2) is one of the most studied and widely used metal oxide materials worldwide. Its popularity attributes to its many beneficial characteristics, such as environmental friendliness, cost-effectiveness, and excellent material stability. Since its commercial production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t permeated the retail market through various products: sunscreens, white pigment, toothpastes, food coloring and personal care products. TiO2 materials developed for these applications are on the micro-meter scale. Interestingly, when the size of TiO2 particles becomes nanoscale, new properties appear that are absent on a larger scale. From the viewpoint of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the photocatalytic effect and lithium ion storage capacity are particularly attractive properties of nanosized TiO2 particles. Despite the widely developed TiO2 industries, the application of TiO2 nanomaterials in energy storage and conversion are in their infancy. This is mainly because the processes involved in lithium ion storage and photocatalytic fuel generation are largely unknown in the nanoscale region. Systematic research on the underlying principles will provide an essential understanding, allowing the applications of TiO2 nanomaterials to broaden. In addition, the previously developed, established infrastructures of the TiO2 industry will aid the growth of TiO2 nanomaterials. In this regard, my Ph.D. thesis focuses on identifying the atomic scale mechanism involved in lithium storage and photocatalytic reactions of TiO2 nanomaterials. In the 1st chapter, I investigate previous, important studies that developed TiO2 as lithium storage materials and photocatalysts. Through this investigation, I identified several conventional limits which the designed synthesis of TiO¬2 nanomaterials alleviates. Through the design and synthesis, I demonstrate how engineering TiO¬2 nanomaterials in the nanoscale can also change the overall mechanism involved in lithium storage (2nd chapter) and phot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3rd chapter).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such as the electric vehicle and portable device, requires safe and high-performance battery materials. Thanks to its material stability, low cost, and non-toxicity, anatase TiO2 recently received great interest as a potential substitute for graphite as the anode material of lithium ion batteries. Although the theoretical storage limit of anatase TiO2 (330 mAh g¬-1) is similar to that of graphite (374 mAh g¬-1), lithium storage in anatase TiO2 triggers phase transition to lithium titanate (Li0.55TiO2 and Li1TiO2). This reaction imposes a kinetic limit on lithium storage performance (~ 180 mAh g¬-1). In the 2nd chapter, I demonstrate how anatase TiO2 designed at the nanoscale can alleviate this issue. I found that the constituent nanocrystals in TiO2 nanostructure can individually undergo sequential phase transition (anatase TiO2 Li0.55TiO2 Li1TiO2). This process can be stably maintained due to the stable interconnection inside the nanostructure. Through the design, I achieved a lithium storage capacity of 228 mAh g−1 over 100 cycles,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trinsic kinetic limit of anatase TiO2. In the 3rd chapter, I demonstrate that atomic-level cooperative interactions between supported single atoms and heterogeneous catalyst supports share fundamental similarities with their enzymes and homogeneous catalysts. The high activity and selectivity towards specific reactions on metalloenzymes originate in the precise atomic structure of their active site. Interactions between the metal cofactor and surrounding protein ligands in metalloenzymes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subsequently modulate overall enzyme-catalysis kinetics. In contrast, the structure of the active sites in a heterogeneous catalyst is often undefined, causing intrinsically low activity and selectivity. I designed a site-specific, single atom Cu/TiO2 catalyst and identified that the catalytic process on heterogeneous catalyst can resemble that of metalloenzymes. In analogy to the redox-activity of metal cofactors and reversible modulation of surrounding ligands in metalloenzymes, the heterogeneous photo-redox single Cu atom initiates reversible modulation of the adjacent TiO2 lattice; this reaction causes changes in the macroscopic material properties and subsequent enhancement of catalytic activity. By analyzing the site-specific, precise atomic structure on the heterogeneous catalyst at the single-atom level, I demonstrate that the intra-communications of atomic catalysts (Cu atom) and adjacent environments (TiO2) significantly influences overall material properties of heterogeneous catalysts.Contents Abstract...............................................................................................v List of Figures..................................................................................xii List of Tables...............................................................................xxviii Chapter 1. Introduction..................................................................1 1.1. Anatase TiO2 for lithium ion battery anodes.....................................1 1.2. TiO2-based nanomaterials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18 1.3.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27 1.4. References......................................................................................30 Chapter 2. Engineering Titanium Dioxide Nanostructu¬¬¬res for Enhanced Lithium-Ion Storage..........................................32 2.1. Introduction....................................................................................32 2.2. Experimental..................................................................................37 2.3. Results and discussions...................................................................42 2.4. Conclusion......................................................................................82 2.5. References......................................................................................83 Chapter 3. Photo-activation of single-atom Cu/TiO2 for enhanced photocatalytic hydrogen generation.....................92 3.1. Introduction....................................................................................92 3.2. Experimental..................................................................................95 3.3. Results and discussions.................................................................108 3.4. Conclusion....................................................................................156 3.5. References....................................................................................157 Bibliography...................................................................................167 국문 초록 (Abstract in Korean) ............................................168Docto

    비틀기 방식을 중심으로 한 오브젝트 테이블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부 금속공예전공,2003.Maste

    交通需要分布에 따른 道路 서비스容量 算定에 關한 硏究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大學校 大學院 :土木工學科 都市工學專攻,1997.Maste

    Communication and action : comparative study between social theories of Luhmann and Habermas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서양철학전공),2009.2.Maste

    Творческий процесс, художник, художественный пафос

    No full text
    Статья посвящена исследованию учения В. Г. Белинского 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м пафосе. Учение Белинского о художественном пафосеважная составная часть его эстетики. Это имеет большое значение не только в литературной критике самого Белинского, но и в истории эстетической мысли. В античной эстетике пафос обозначает страсть или состояние, связанное с сильным волнением. Для Аристотеля в rПоэтике~ пафос -- источник возвышенного художественным произведением чувства. В немецкой классической эстетике было сформулировано и понимание пафоса как свойств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которые вызывают определенное душевное переживание. Например, в rЭстетике~ Гегель понял под пафосом 'настоящий предмет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Белинский рассматривал пафос как 'поэтическую идею', которую поэт "созерцает... не разумом, не рассудком, не чувством ... , но всею полнотою и целостью своего нравственного бытия". Здесь Белинский подчеркивал, с одной стороны, активное страстное начало в пафосе, а с другой стороны, его содержательный, идейный момент. С точки зрения творческого процесса это тесно связано с идейной активностью художника. Белинский разъясняет далее, что пафос является оценичным критерием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произведения. Именно в этом виде он раскрывает содержание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пафоса на конкретных примерах из творчества А. С. Пушкина. Так, в лирических произведениях Пушкина Белинский видит пафос как 'художественность'. Таким образом, пафос в эстетике Белинского -- идейно-эмоциональный и эстетический элемент, объединяющий объективное(жизнь) и субъективное(художник) в художест-венном произведении

    다구찌 방법론과 다세대 확산모형을 이용한 신기술의 시장진입시기 예측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기술경영전공,2004.Maste

    The Russian Revolution and Two Directions of Literary Criticism: The Main Problems of Soviet Criticism in the 1920s

    No full text
    이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소비에트 비평의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는 데 있다. 첫째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독자성 논쟁이고, 둘째는 동반자작가 논쟁이다. 이 두 논쟁은 혁명 직후 소비에트 비평을 이해하는 핵심적인 키워드이다. 이 논쟁의 대표적인 비평가는 보그다노프와 보론스키인데, 두 비평가는 예술의 본질과 동반자작가에 대한 평가에서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보그다노프가 혁명기 문학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면서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독자성을 주장했다면 보론스키는 문학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면서 동반자작가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두 비평가는 혁명 직후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대한 평가에서도 견해를 달리했다. 보그다노프가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높이 평가한 반면 보론스키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아직 아마추어 수준에 불과하다고 본 것이다. 이와 더불어 1920년대 소비에트 비평의 변곡점이 되었던 것은 「문학에 대한 당의 정책」이다. 이 결의문은 동반자작가를 지원했던 20년대 소비에트 문학정책의 방향을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1932년 발표된 「문학, 예술조직의 개혁에 관하여」로 인해 완전히 바뀌게 된다. 이로 인해 소비에트 문학정책은 문학창작의 자유와 다양성을 억제하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지지하는 노선으로 귀결되고 만다.Целью данной работы является рассмотрение основных проблем советской литературной критики периода 1920-ых годов. Литературную атмосферу той эпохи в основном определяли две дискуссии: первая – о самобытности пролетар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вторая – о так называемых писателях-попутчиках. Ведущими критиками рассматриваемого периода выступают Богданов и Воровский. Позиции обоих критиков в отношении природы нового, пролетар- ского искусства и писателей-попутчиков отличаются определённой противоре- чивостью. Кроме того, поворотным моментом в развитии советской критики 20-ых годов стала политика партии в отношении литературы. Партийные решения в области литературы и культуры особенно сказались на литературных критиках, одобрявших творчество писателей-попутчиков. Ситуация в критике решительным образом изменяется в связи с выходом в 1932 г. партийного постановления О перестройке литературно-художественных организаций, вследствие которого ведущим направлением в совет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утверж- даетс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й реализм, ограничивающий свободу и разнообразие литературного творчества

    Vessel visualization using brain segmentation in CT angiography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 컴퓨터공학부,2007.Maste

    Saccaromyces cerevisiae에서 D-erythroascorbic acid 생합성에 관련된 효소들을 encoding하는 유전자들의 cloning과 overexpression

    No full text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학과,1998.Maste
    core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