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 research outputs found

    A Case Study of the Korea Medical Aid Policy Change in 2007 using Archers Morphogenetic Approach

    Get PDF
    학위녌묞 (석사)-- 서욞대학교 볎걎대학원 : 볎걎학곌 볎걎정책ꎀ늬학전공, 2016. 8. 김찜엜.볞 연구는 2007년 의료꞉여정책 변동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로서, 당시 정부가 Ʞ졎의 볎장성 확대 정책Ʞ조에서 벗얎나 의료꞉여재정의 안정화륌 위하여 수꞉권자의 의료읎용을 규제하는 볞읞부닎제와 선택병의원제 등의 정책을 도입하게 된 원읞곌 Ʞ전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닀. 읎륌 위핎 볞 연구에서는 Archer의 형태발생 사회읎론을 분석 몚형윌로 활용하였고, 당시 정치 겜제 사회묞화의 구조적 조걎곌 정부첎계 및 정책결정자 요읞 귞늬고 정책행위자 간의 상혞작용 요읞을 분석 변수로 선정하였닀. 귞늬고 묞헌조사와 멎닎조사륌 통핎 수집한 자료륌 팚턎맀칭 Ʞ법곌 겜쟁섀명 Ʞ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닀. 분석 결곌는 닀음곌 같았닀. 첫짞, 당시 대통령의 영향력 앜화와 복지예산 확대에 부정적읞 정치권의 조걎은 정부가 의료꞉여제도의 재정지출을 안정화하는 방향윌로 정책Ʞ조륌 선회하는데 영향을 믞쳀닀. 둘짞, 찞여정부의 질서자유죌의적 겜제정책읎념은 사회투자 정책Ʞ조와 같은 횚윚적 복지륌 지향하멎서 수꞉권자의 도덕적 핎읎륌 억제하는 정책듀읎 채택되는데 영향을 믞쳀닀. 셋짞, 죌류얞론듀은 수꞉권자의 의료였낚용 사례륌 쀑점적윌로 볎도하여 수꞉권자에 대한 부정적읞 사회읞식을 확산시킎윌로썚 정부 정책에 대한 사회적 저항을 최소화시쌰닀. 넷짞, 정부는 Ʞ졎의 찞여복지 정책Ʞ조에서 사회투자 ì •ì±…êž°ì¡°ë¡œ 전환하멎서 투자적 가치가 있는 복지사업에 죌력하였고, 읎에 따띌 재원배분의 우선순위에서 밀며 의료꞉여제도는 재정절감의 대상읎 되었닀. 닀섯짞, Ʞ획예산처는 의료꞉여 재정묞제가 정부의제로 부상되고 수꞉권자의 도덕적 핎읎륌 제얎하는 정책듀읎 도입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믞쳀닀. 여섯짞, 당시 유시믌 볎걎복지부 장ꎀ은 싀질적읞 최종 정책결정자로서 의료꞉여 재정묞제가 정부의제로 선정되고 볞읞부닎제 등의 정책읎 결정되고 도입되도록 하는데 결정적읞 영향을 믞쳀닀. 귞의 사회자유죌의적 읎념성향곌 사회투자 복지철학 및 독음에서 복지재정을 공부한 겜력 등읎 ê·žê°€ 수꞉권자의 도덕적 핎읎륌 재정묞제의 죌요 원읞윌로 읞식하는데 영향을 믞친 것윌로 볎읞닀. 음곱짞, 당시 정책도입을 둘러싞고 정부륌 위시한 정책추진섞력곌 시믌사회닚첎륌 죌축윌로 한 대항섞력 간의 복잡한 상혞작용읎 전개되었닀. 정부는 시행령곌 시행규칙 개정곌 같읎 행정부 닚독의 입법절찚만윌로 정책도입읎 가능한 유늬한 조걎 속에서 밀얎붙읎는 전략을 활용하였고, 읎와 핚께 극닚적읞 의료였낚용 사례륌 여러 ì°šë¡€ 발표핚윌로썚 수꞉권자 전첎륌 부도덕한 집닚윌로 낙읞찍는 ì–žë¡  프레읎밍 전략을 구사하였닀. 반멎 제도적 찞여수닚읎 부재하였던 대항섞력은 연대첎륌 결성하여 적극적읞 투쟁을 전개하였고, 죌로 성명서, Ʞ자회견, 시위, ì–žë¡ êž°ê³  등을 통하여 반대여론을 확산시킎윌로썚 정부륌 압박하는 전략을 활용하였닀. 또한 수꞉권자의 걎강권곌 읞권을 칚핎하는 정책임을 낎섞워 읞권위의 의견표명을 도출하는 등 읞권적 잡멎에서 정부륌 압박하여 강행을 쀑닚시킀고자 하였닀. 읎러한 반대욎동의 성곌로 섞부 정책사항읎 음부 수정되Ʞ도 하였윌나, ê²°êµ­ 볞읞부닎제와 선택병의원제와 같은 핵심정책듀은 귞대로 도입되었닀. 읎상의 분석결곌륌 통핎 당시 정책변동은 거시적, 쀑범위적, 믞시적 잵위의 닀양한 요읞듀 간의 상혞작용을 통핎 발생하였음을 확읞할 수 있었닀.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겜 1 제2절. 연구 질묞 및 목적 5 1. 연구 질묞 5 2. 연구 목적 6 제3절. 연구 대상 및 범위 8 제4절. 연구 방법 11 1. 연구의 진싀성 확볎 11 2.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볎 14 3. 자료 수집방법 16 4. 자료 분석방법 19 제2장. 읎론적 배겜 20 제1절. 정책변동에 ꎀ한 읎론적 녌의 20 1. 정책변동의 개념곌 유형 20 2. 정책변동의 읎론적 몚형 21 제2절. 형태발생 사회읎론에 ꎀ한 읎론적 녌의 23 1. 형태발생 사회읎론의 개념 23 2. 형태발생 사회읎론의 섀명구조 27 3. 형태발생 사회읎론을 활용한 êµ­ë‚Ž 선행연구 31 제3절. 2007년 의료꞉여정책변동에 ꎀ한 선행연구 검토 35 1. 정책결곌륌 분석한 연구 35 2. 정책변동을 분석한 연구 36 제3장. 연구 몚형 39 제1절. 연구몚형의 구성 39 제2절. 연구몚형의 적합성 검토 41 제4장. 분석 결곌 43 제1절. 2007년 의료꞉여정책 변동사례 개요 43 제2절. 거시적 구조 요읞 48 1. 정치적 구조 요읞 48 2. 겜제적 구조 요읞 54 3. 사회묞화적 구조 요읞 59 4. 소결 63 제3절. 정부첎계적 요읞 64 1. 복지정책Ʞ조의 변화 요읞 64 2. 청와대 및 겜제부처의 영향력 요읞 73 3. 볎걎복지부 요읞 78 4. 정책결정자 요읞 90 5. 소결 98 제4절. 정책행위자 요읞 101 1. 정책진영의 구성 101 2. 겜제적 읎핎ꎀ계 및 읎념적 지향성 105 3. 상황녌늬 107 제5절. 상혞작용 109 1. 상혞작용 109 2. 행위전략 146 제6절. 종합녌의 154 1. 분석결곌 요앜 154 2. 연구명제의 타당성 검토 159 제5장. ê²°ë¡  162 제1절. 연구 요앜 162 제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166 1. 연구의 의의 166 2. 연구의 한계 167 제3절. 정책적 제얞 170 ì°žê³  묞헌 174 Abstract 183Maste

    Current Status of Health and Welfare Long-Term Plans in Korea

    Get PDF
    Korea is undergoing a rapid environmental change in health and welfare. Therefore, the law mandates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A total of 49 long-term plans related to health and welfare were specified by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the Korean representative legal information website managed by the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Of the 49 long-term plans, 10 plans (20.4%) were not yet fully constructed. Eight out of 10 non-constructive plans have been put into force for more than a year, but these plans still require further systematic planning and development. The complete construction of long-term plans is substantial to account for the changes in South Korean health and welfare. In addition, a systematic plan with solidarity and continuity between the mutual plans should be established in planning.ope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국회의 입법곌정에 믞친 영향에 ꎀ한 연구

    Get PDF
    학위녌묞 (석사)-- 서욞대학교 대학원 : 행정대학원 정책학곌, 2018. 8. ꞈ현섭.의안 자동상정제도는 위원회에 회부되었윌나 상정되지는 않은 의안읎 숙렀Ʞ간에서 30음읎 겜곌한 읎후 최쎈로 개회하는 위원회에 자동적윌로 상정된 것윌로 볎는 제도로, 의안읎 소ꎀ 위원회에 회부되얎 상당한 Ʞ간읎 겜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대늜윌로 읞하여 핎당 의안읎 상정되지 못하고 위원회의 심사대상에서 제왞되거나 상정여부륌 두고 묌늬적 충돌읎 생Ʞ는 입법지연의 상황을 방지하Ʞ 위하여 국회선진화법의 음환윌로 도입되었닀. 읎러한 의안 자동상정제도의 도입윌로 위원회 상정을 둘러싌 입법지연의 묞제는 얎느 정도 핎소되었을 것윌로 Ʞ대된닀. 따띌서 볞 연구에서는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도입목적읞 입법지연의 핎소에 Ʞ여하였는지륌 삎펎볎고, 법안심사곌정에 유의믞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입법찞여자 요읞에 동 제도가 ì–Žë– í•œ 변화륌 가젞왔는지륌 검토핎볎고자 하였닀. 읎륌 위핎 법안심사곌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정Ʞ간곌 쎝 처늬Ʞ간윌로 구분하고, 각각의 종속변수에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유의믞한 영향을 믞쳀는지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믞치는 입법찞여자 요읞을 분석한 후, 입법찞여자 요읞곌 제도 요읞 간의 상혞작용을 삎펎볎았닀. ê·ž 결곌,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상정곌정에까지는 상정Ʞ간의 감소띌는 유의믞한 변화륌 가젞옚 것윌로 추정할 수 있었윌며, 상정곌정에서 제안자의 종류, 상임위원장곌 소속 정당, 소속 상임위원회 등 입법찞여자의 영향력도 유의믞하게 감소한 것윌로 나타나, 의안을 제안한 제안자의 특성에 ꎀ계없읎 음정Ʞ간읎 겜곌하멎 자동적윌로 위원회에 상정하도록 한 의안 자동상정제도가 싀횚적윌로 욎영되고 있음을 확읞할 수 있었닀. 귞러나 동 제도가 도입된 읎후읞 제19대 국회의 평균 상정Ʞ간읎 138음로 30음에서 크게 벗얎나있음을 알 수 있었닀. 제19대 국회가 31회의 임시회와 4회의 정Ʞ회로 거의 4년 낮낮 회Ʞ가 계속되었던 점을 고렀하멎 위원회가 개회되지 않아 상정Ʞ간읎 Ꞟ얎졌을 가능성은 희박핎볎읎며, ê²°êµ­ 여전히 예왞조항에 따띌 위원장곌 간사의 협의로 상정여부가 결정되는 법률안읎 닀수 졎재핚을 예상할 수 있닀. 읎러한 예왞조항의 적용은 동 제도의 도입췚지륌 퇎색시킬 우렀가 있얎 신쀑한 적용읎 필요할 것윌로 판닚된닀. 또한, 볞 연구에 따륎멎 의안 자동상정제도의 도입윌로 쎝 처늬Ʞ간은 였히렀 슝가하였는데, 읎는 법률안 상정곌정만을 대상윌로 한 겜우에는 입법지연읎 핎소되었을지띌도 심사곌정 전첎륌 대상윌로 하였을 때에는 였히렀 입법지연읎 심화된 것윌로 볌 수 있닀. 볞 연구에서는 읎러한 현상에 대하여, 의안 자동상정제도의 도입윌로 상임위원회 전첎회의에 상정되는 법안의 수가 많아짐에 따띌 ê·ž 읎후의 심사닚계에서 심사할 법안의 수 또한 슝가하여 심사속도가 전반적윌로 늊얎졌윌며, 정치적 합의닚계가 법안심사의 쎈Ʞ닚계읞 상정닚계에서 법안심사소위원회 심사닚계띌는 쀑간닚계읎자 싀질적 심사닚계로 읎동핚에 따띌 정치적 합의에 더 신쀑을 Ʞ하게 되었Ʞ 때묞읎띌고 분석하였닀. ê·ž 밖에 의안 자동상정제도의 도입윌로 법률안 처늬곌정 전첎에 있얎서도 제안자의 종류와 상임위원장의 영향력읎 감소한 것윌로 추정할 수 있었윌나, 소ꎀ 상임위원회의 영향력은 제도 도입 읎후 였히렀 더 컀진 것윌로 나타났닀.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곌 방법 4 제 2 장 읎론적 녌의 및 선행연구 검토 5 제 1 절 정책결정곌정에 믞치는 영향요읞에 ꎀ한 녌의 5 1. 입법곌정에 영향을 믞치는 입법찞여자 요읞 5 2. 정책결정 소요시간에 믞치는 영향요읞 7 제 2 절 입법교착에 ꎀ한 녌의 8 1. 분점정부 가섀 8 2. 분점정부 가섀에 대한 비판 9 3. 제도 변화륌 통한 입법교착 완화 사례 연구 11 4. 자동상정제도가 국회의 입법곌정에 믞친 영향에 ꎀ한 연구 11 5. êž°ì¡Ž 연구의 한계 13 제 3 장 법률안 심사곌정곌 의안 자동상정제도 14 제 1 절 법률안 심사곌정 14 1. 법률안 쀀비 15 2. 법률안 제출 17 3. 위원회 회부 17 4. 위원회 심사 18 5. 법제사법위원회의 첎계 자구심사 20 6. 전원위원회 심사 20 7. 볞회의 심의 21 8. 법률안 재의요구와 공포 21 제 2 절 의안 자동상정제도 22 제 4 장 연구섀계 및 연구방법 24 제 1 절 연구묞제 24 1. 제도 요읞 24 2. 입법찞여자 요읞 25 3. 제도 요읞곌 입법찞여자 요읞 간의 ꎀ계 29 제 2 절 연구변수 31 1. 종속변수 31 2. 독늜변수 32 3. 통제변수 34 제 3 절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38 1. 분석대상 38 2. 분석방법 38 제 5 장 연구결곌 40 제 1 절 Ʞ술통계 분석 40 제 2 절 가섀의 검슝 47 1. 제도 요읞 47 2. 입법찞여자 요읞 55 3. 제도 요읞곌 입법찞여자 요읞 간의 ꎀ계 60 4. 연구결곌의 요앜 81 제 6 장 ê²°ë¡  85 제 1 절 연구의 의의 85 제 2 절 연구의 한계 86 찞고묞헌 87Maste

    The Effect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on Disparity Reduction in Early Cancer Detection by Income Level

    Get PDF
    학위녌묞 (석사)-- 서욞대학교 대학원 : 의학곌, 2014. 2. 읎진석.배겜: 암의 병Ʞ는 암의 예후륌 결정하는 쀑요한 요읞읎닀. 따띌서 조Ʞ발견을 목적윌로 하는 읞구집닚 대상의 암검진은 횚곌적읞 암 ꎀ늬 전략 쀑 하나로 여겚지고 있닀. 볞 연구는 국가암검진읎 소득계잵 간 ì¡°êž°ì•” 진닚의 불평등을 개선하는 횚곌륌 평가하고자 하였닀. 방법: 80ì„ž 믞만의 걎강볎험 가입자 쀑 2010년 1월1음~2010년 12월31음 사읎 한국쀑앙암등록볞부에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겜부암윌로 등록한 환자륌 대상윌로 하였닀. 읎듀의 국가암검진 수검 여부는 국믌걎강볎험공닚의 걎강볎험 걎강볎험청구 및 걎강검진자료에서 추출한 후 죌믌등록번혞륌 읎용하여 암등록자료와 병합였닀. 암등록자료의 요앜병Ʞ륌 읎용하여 산출한 ì¡°êž°ì•” 진닚윚을 결곌변수로 사용하였닀. 소득계잵은 걎강볎험 자격자료의 월볎험료륌 읎용하여 사분위로 나누었닀. 국가암검진 수검여부는 암 쎈진음 읎전 1년간 핎당 암종에 대한 국가암검진을 받은 겜우로 정의하였닀. ì¡°êž°ì•” 진닚에 영향을 믞치는 읞구학적 변수의 영향을 볎정하Ʞ 위핎 성별, 나읎, 직역(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거죌지역(16개 시도륌 대도시와 쀑소도시로 구분)륌 조사하였닀. 소득계잵곌 국가암검진 수검읎 위암 진닚시 병Ʞ에 믞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국가암검진읎 횚곌변겜읞자로서 믞치는 영향을 계량화하Ʞ 위핎 국가암검진여부와 소득계잵의 교혞항을 포핚한 로짓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닀. 또한 국가암검진윌로 읞한 불평등 감소 횚곌 잡정을 위핎 위 로짓 몚형에서 추정한 소득계잵별 ì¡°êž°ì•” 진닚 볎정 확률을 읎용하여 수검군곌 비수검군 간 불평등 지수(disparity index)와 ì¡°êž°ì•” 진닚윚 찚읎(rate difference)륌 산출한 후, ê·ž 변화량을 제시하였닀. 결곌: 대장암을 제왞한 몚든 연구대상 암종에서 고소득잵윌로 갈수록 ì¡°êž°ì•” 진닚률읎 높아지는 양상을 볎였닀. 몚든 연구대상 암종곌 몚든 소득계잵에서 비수검군에 비핎 수검군의 ì¡°êž°ì•” 진닚 확률읎 높았닀. 몚든 연구대상 암종에서 비수검군의 불평등 지수는 최소 4.7에서 최대 10.5의 분포륌 볎읞 반멎, 수검군에서는 최소 0.5에서 최대 8.9의 분포륌 볎여 전반적윌로 ê·ž 크Ʞ가 쀄얎드는 양상을 볎였닀. ì¡°êž°ì•” 진닚윚 찚읎 역시 비수검군에서는 최소 2.8에서 최대 10.4의 분포륌 볎읞 반멎, 수검군에서는 최소 0.8에서 최대 7.8의 분포륌 볎였닀. 불평등 지수의 변화량은 최대 –9.2%p에서 최소 0.3%p의 분포륌 볎였윌며, ì¡°êž°ì•” 진닚윚 찚읎의 변화량은 최대 –5.7%p에서 최소 0.9%p륌 볎였닀. 유방암을 제왞한 몚든 연구대상 암종에서 국가암검진 수검은 소득계잵 간 ì¡°êž°ì•” 진닚윚의 불평등을 개선하는 것윌로 나타났윌나 유방암의 겜우는 국가 암검진윌로 읞한 불평등 개선 횚곌가 명확하지 않았닀. ê²°ë¡ : 우늬나띌의 국가암검진 프로귞랚은 소득계잵 간 ì¡°êž°ì•” 진닚의 불평등을 개선하는 횚곌륌 볎였닀.I. 서론 1 1. 연구 배겜 1 가. 우늬나띌의 암 역학 1 나. 암진닚시 병Ʞ에서의 불평등 2 ë‹€. 암ꎀ늬 전략 3 띌. 우늬나띌의 읞구Ʞ반 암검진사업 5 2. 연구 목적 9 II. 연구대상 및 방법 10 1. 연구자료 10 가. 국믌걎강볎험공닚 자료 10 나. 쀑앙암등록자료 10 2. 연구대상 13 3. 분석변수 14 가. 결곌변수: 암진닚시 병Ʞ, 계잵별 ì¡°êž°ì•” 진닚 불평등 크Ʞ 14 나. 섀명변수: 소득계잵 14 ë‹€. 횚곌변겜읞자(effect moderator): 걎강검진 수검 여부 15 띌. 교란변수 16 4. 분석방법 17 III. 연구결곌 19 1. 대상자의 음반적 특성 19 2. 국가암검진의 횚곌변겜 횚곌(moderator effect) 추정 25 3. 국가암검진의 불평등 감소 횚곌 27 IV. ê³ ì°° 31 1. 연구 결곌에 대한 ê³ ì°° 31 2. 연구자료와 방법에 대한 ê³ ì°° 37 3. ê²°ë¡  39 V. 찞고묞헌 40Maste

    Central government reform to improve national disease control

    Get PDF
    The Republic of Korea performed well in controlling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in 2003 and not bad in controlling pandemic influenza H1N1 in 2009, even though the manpower and budget available in 2003 and 2009 were less than those of 2015 during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outbreak. Korea's healthcare system has been producing outstanding results in general, in that 5-year relative survival rates of stomach, colorectal, liver and cervical cancer are top level of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and 30 days mortality rate of ischemic stroke is only 3.4% comparing to 8.5%, the average of OECD countries. However, in May and June 2015, the level of communicable disease control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fell down. This phenomenon can be assessed as a failure of quarantine system, weak healthcare system infrastructure, the local custom of frequent visiting of family and friends in the hospitals, and especially inappropriate responses of top decision body for communicable disease. The fundamental reason of this failure has been the weakening of health part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because welfare part of MoHW is being rapidly expanded for growing needs of social protection. In order to response of emerging and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strengthen the medical care system, the Ministry of Health (MoH) should be spun off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from the MoHW. The proposed MoH would have 2,805 public servants, a 14,768 billion won budget, and 11 affiliated institutions. It would still be one of large and important ministry in Korea central government.ope

    국회의원의 정치적 목표와 상임위원회 활동의 정치적 결곌: 제 18대, 제 19대 국회륌 쀑심윌로

    Get PDF
    학위녌묞 (박사)-- 서욞대학교 대학원 : 사회곌학대학 정치왞교학부(정치학전공), 2018. 8. 박원혞.볞 연구는 대한믌국 국회의 상임위원회륌 의원의 정치적 목표와 연계하여 유형화하고, ê·ž 횚곌륌 겜험적윌로 검슝하고자 하는 연구읎닀. 볞 연구의 목적은 상임위원회 배정 곌정에서 의원의 선혞륌 읎끌얎낎는 상임위 고유의 속성을 밝히고, 서로 닀륞 유읞 속성윌로 구성된 상임위에서 의원듀읎 만듀얎 낮는 정책 결정 곌정읎 얎떻게 닀륎게 나타나는지 분석하는 것에 있닀. 나아가 볞 연구는 의원 개읞의 정치적 목표에 상임위 활동읎 얌마나 영향을 믞칠 수 있는지 ê·ž 횚곌륌 분석하고자 한닀. 소선거구제 하에서 의원듀은 지역구 유권자듀의 대늬읞읞 동시에 국믌의 의지륌 대변하는 대표자로서 자신의 정치적 성곌륌 볎여죌Ʞ 위하여 의정 활동을 한닀. 읎 때 상임위원회는 의회의 법안 심사와 예산 심의의 역할듀을 분업화하여 의회의 대(對)정부 견제 Ʞ능읎 전묞적윌로 수행되는 곳읎띌 할 수 있닀. 특히 개별 전묞 분알로 나뉘얎서 법안곌 예산을 심의하고, 플감Ʞꎀ윌로 삌는 정부 부처듀을 국정감사로 직접 질타할 수 있는 상임위원회 자늬는 의원듀읎 자신의 행동을 표출하여 업적을 곌시(credit claiming)하거나 정책적 입장을 표명하Ʞ(position taking)에 상당히 유늬한 환겜을 제공한닀. 합늬적 행위자로서 의원은 자신의 정치적 목표륌 달성하Ʞ 위한 하나의 수닚윌로썚 상임위륌 활용할 수 있고, 자신의 읎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임위륌 선혞하고 배정받Ʞ륌 원할 것읎닀. 상임위의 법안 심사와 예산 심의 Ʞ능은 읎 조직의 고유한 속성윌로서 상임위 유형화륌 위한 하나의 Ʞ쀀점을 제공한닀. 볞 연구는 상임위의 지역 예산곌 정책 소ꎀ(jurisdiction)을 Ʞ쀀윌로 새로욎 유형화륌 시도한닀. 슉 특정 상임위에서 감시하는 정부 부처의 지역 사업 예산읎 얌마나 많은가와 특정 상임위에서 감시하는 정부 부처의 정책 소ꎀ 범위가 얌마나 큰가는 상임위띌는 조직 낎부에서 활동하게 될 합늬적 행위자읞 의원 개읞듀을 끌얎듀읎는 쀑요한 맀력 요읞(attraction factor)읎 될 수 있닀. 상임위의 읎 두 가지 맀력 요읞은 의원의 정치적 목표륌 추동시킚닀. 의원듀은 업적 곌시와 정책적 입장 표명곌 같은 쀑간 닚계의 정치적 목표륌 달성하Ʞ 위핎 더 유늬한 상임위륌 선택하여 듀얎가고, ê·ž 결곌 상임위는 서로 닀륞 성격의 의원듀로 구성된닀. 상임위 고유의 두 맀력 요읞곌 의원의 정치적 동Ʞ띌는 심늬적 요읞, 귞늬고 상임위와 의원을 둘러싌 왞부의 환겜적 제앜듀(environmental constraints)읎 결합하여 상혞작용핚윌로썚 의원의 행동곌 상임위 낎부의 정치 곌정을 결정할 것읎닀. 볞 연구의 분석 결곌에 따륎멎, 지역 예산읎 크고 정책 소ꎀ읎 작은 크레딧(credit) 상임위 유형에서 의원듀은 여알 정당을 쎈월하여 지역 유권자듀의 읎익을 대변하였고 법안 심사와 예산 심의에서 상대 정당 의원듀곌 협력하는 전략을 췚하였닀. 반멎 지역 예산읎 작고 정책 소ꎀ읎 큰 포지션(position) 상임위 유형에서는 의원듀읎 합의 읎슈에는 협력적 태도륌 췚하였지만, 대늜 읎슈의 정책에 있얎서는 정당의 당론에 따띌서 여알 의원듀읎 뚜렷한 대늜각을 섞우는 겜향읎 발견되었닀. 귞늬고 상임위 지역 예산곌 정책 소ꎀ, 두 맀력 요읞읎 몚두 충족되는 크레딧-포지션(credit-position) 상임위 유형에서는 의원듀읎 정당의 당론곌 지역구 읎핎ꎀ계에 ꎀ한 압력을 동시에 받윌며 갈등곌 협상읎란 혌재된 전략을 사용하였닀. 마지막윌로 상임위의 지역 예산곌 상임위의 정책 소ꎀ 두 유읞 요읞읎 몚두 결핍되얎 있는 레토멭(rhetoric) 상임위 유형의 겜우 상임위의 췚앜한 정부 견제력윌로 읞핎 의원듀읎 상징적 선얞읎나 결의안곌 같은 선얞적 입장 표명의 방식을 행동 전략윌로 췚하였닀. 또한 볞 연구의 겜험적 분석 결곌에 따륎멎 의원읎 재임 êž°ê°„ 동안 크레딧 유형에서 였래 활동할수록 지역 얞론을 통핎 예산 슝액곌 ꎀ렚된 Ʞ사가 더 많읎 녞출되는 겜향읎 있었윌며, 포지션 유형의 상임위에서 였래 활동할수록 전국 얞론에 의원읎 대표로 발의한 법안에 ꎀ한 Ʞ사가 더 많읎 볎도되는 겜향읎 있었닀. 또한 크레딧-포지션 상임위의 겜우에는 지역 얞론읎나 전국 얞론에 몚두 녞출되는 데 Ɥ정적읞 횚곌륌 가진 반멎, 레토멭 상임위 유형의 겜우에는 귞러한 횚곌가 나타나지 않았닀. 읎와 같은 결곌는 합늬적 행위자읞 의원듀읎 왜 특정 상임위에 선혞륌 갖고 유읞되는지륌 섀명하는 겜험적읞 결곌띌 할 수 있닀. 볞 연구는 한국적 맥띜에서 적용될 수 있는 상임위 유형화 읎론을 새롭게 시도하였윌며 ê·ž 횚곌륌 겜험적윌로 검슝하였닀. 읎는 서구쀑심의 읎론을 수용하여 한국의 정치 현싀에 귞대로 적용하지 않고 응용 및 발전시쌰닀는 점에서 한국 의회 정치 연구에 읎론적윌로 Ʞ여하는 바가 있윌며, 지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욎 겜험적 분석 결곌띌는 점에서 의믞가 있닀. 제 1장 서론 1 제 2장 읎론적 배겜 10 제 1절 êž°ì¡Ž 상임위 연구 검토 10 1) 쎈Ʞ 상임위 연구 10 2) 합늬적 선택론의 등장곌 페녞의 Congressmen in Committees 12 3) 상임위 구성에 ꎀ한 후속 읎론듀 19 제 2절 상임위 유형에 ꎀ한 대안적 ì ‘ê·Œ 26 1) Ʞ볞 전제 27 2) 의원의 동Ʞ 요읞(motivation factor) 31 3) 상임위의 맀력 요읞(attraction factor) 36 4) 상임위 유형별 특징곌 연구 가섀 54 제 3장 상임위 유형화 63 제 1절 상임위 지표와 유형화 63 1) 상임위 지역 예산 63 2) 상임위 정책 소ꎀ 70 3) 유형화 결곌 74 제 2절 유형별 구성 의원의 특징 81 1) 크레딧 상임위 81 2) 포지션 상임위 85 3) 크레딧-포지션 상임위 89 4) 레토멭 상임위 95 제 4장 유형별 상임위 횚곌 104 제 1절 정책 결정 곌정에 믞치는 상임위 횚곌 105 1) 크레딧 상임위 105 2) 포지션 상임위 124 3) 크레딧-포지션 상임위 139 4) 레토멭 상임위 154 제 2절 업적 곌시와 입장 표명에 믞치는 상임위 횚곌 166 1) 변수 및 데읎터 166 2) Ʞ쎈 통계 분석 189 3) 회귀 분석 결곌 196 제 5장 ê²°ë¡  208 찞고묞헌 216 부록 225Docto

    10 Main Pledge of 19th Presidential Election

    Get PDF
    On May 9th 2017,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This election was histor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This election was hel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unlike the normal presidential elections. Therefore,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deliberate pledges for candidates and review pledges for the people. South Korea has suffered from many healthcare problems associated with low-birth rate, population aging, and low economic growth rate. In this paper, we com pared the `10 main pledge` of the major five candidates of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and discussed focusing on the healthcare issu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10 main pledge of the major candidates, it was difficult to find healthcare parts whereas there were lots of welfare parts existed. We need enough time to review and discuss pledges in the next election.ope

    장룚볎유 대장암 환자의 신첎상곌 성생활의 영향요읞

    Get PDF
    간혞대학/석사볞 연구의 목적은 장룚륌 볎유한 대장암 환자듀의 신첎상곌 성생활을 파악하여 ꎀ계륌 분석하고 신첎상곌 성생활에 믞치는 영향요읞을 규명핚윌로썚, 장룚조성술을 시행받은 환자의 신첎상곌 성생활 적응에 도움읎 되는 간혞 쀑재륌 위한 연구의 Ʞ쎈 자료륌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닀. 볞 연구는 서욞소재 E병원곌 Y병원에서 대장암을 진닚받고 장룚조성술을 시행받은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에 대핮 섀명을 한 후 연구에 동의한 102명의 환자륌 대상윌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5년 6월 1음부터 11월 20음까지 자가볎고식 섀묞지 작성을 통핎 읎룚얎졌닀. 연구도구는 신첎상의 잡정도구로 김찜엜(2013)읎 수정·볎완한 Hopwood, Fletcher, Lee, & Al Ghaza(2001)의 개발도구륌 사용하였고, 성생활 잡정도구로는 Derogatis(1997)가 개발한 성Ʞ능 자가볎고 도구읞 The Drogatis Interview for Sexual Functioning Self Report(DISF-SR)륌 볞 연구자가 한국얎 번역작업을 한 후 전묞가 감수륌 거쳐 검슝을 한 후 사용하였윌며,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loRectal Cancer Module(EORTC-QOL-CR29)의 장룚ꎀ렚묞제륌 사용하였닀.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0.0 프로귞랚을 읎용하여 Ʞ술통계, 평균검정, 분산분석, 상ꎀ계수, 닚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닀 연구결곌는 닀음곌 같닀. 1. 장룚볎유 대장암 환자의 신첎상 손상에 대한 읞식정도는 평균 14.20±7.51(범위 0~30)로 쀑간 수쀀읎었고, 섞부항목에 대핮 낚성곌 여성을 비교한 결곌, 낚성에 비핎 여성의 신첎상읎 더 부정적읎었닀. 2. 장룚볎유 대장암 환자의 성생활 평균 점수는 23.27±7.91(범위 20~75)로 낮았윌며, 성생활의 5개 영역에 대핮 낚성곌 여성을 비교한 결곌, 낚성읎 여성에 비핎 성생활 하부영역읞 ‘성적 읞지/환상’(t=3.67, p<.001), ‘성적 흥분’(t=4.33, p<.001) 영역의 점수가 높았닀. 3. 장룚볎유 대장암 환자의 장룚ꎀ렚묞제, 신첎상, 성생활곌의 ꎀ계에서 장룚ꎀ렚묞제와 신첎상(r=.33, p=.001)은 유의한 양적 상ꎀꎀ계륌 볎였고, 장룚ꎀ렚묞제가 심할수록 신첎상읎 부정적읎었닀. 4. 신첎상의 영향요읞은 수술 전 성교육 및 성상닎 필요성(t=-3.07, p=.003)곌 2êž° 병Ʞ(t=-2.79, p=.006)였고, 낚성의 겜우 장룚ꎀ렚묞제(t=3.37, p=.001)가 많을수록, 여성의 겜우 장룚ꎀ늬자가 배우자(t=3.25, p=.004)읞 겜우 신첎상읎 부정적읎었닀. 5. 성생활의 영향요읞은 대졞 읎상의 학력(t=1.99, p=.02)읎었윌며, 낚성의 겜우 결혌Ʞ간(t=-3.02, p=.004), ê³ ì¡ž 학력(t=-2.27, p=.028), 수술 후 성교육 및 성상닎 필요성(t=2.18, p=.033)윌로 확읞되었윌나, 여성의 겜우 확읞된 성생활 영향요읞은 없었닀. 연구결곌 장룚볎유 대장암 환자의 신첎상은 부정적읎며 수술 전 교육을 통핎 신첎상 변화에 적응을 돕는 간혞 쀑재륌 제공핎알 하며, 향후 장룚볎유자의 신첎상에 대한 신첎적, 심늬적, 묞화적읞 잡멎까지 고렀한 반복 연구 및 신첎상에 영향을 믞치는 닀륞 요읞을 ì°Ÿêž°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닀. 또한 장룚볎유자륌 위한 성생활 상닎읎나 교육 시 성별에 따륞 특성을 고렀하여 접귌핎알 하며 성묞제륌 녞출시킀는 것을 죌저하고 꺌렀하는 겜향을 볎읎는 여성 장룚볎유자륌 지지핎 쀄 수 있는 상닎 및 교육의 간혞 쀑재가 제공되얎젞알 한닀.ope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Medical Education: Can We Break the Silos?

    Get PDF
    For the last half-century,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has been identified and discussed as a critical educational process to facilitate collaboration in order to improve healthcare outcomes for healthcare participants. While the concept is not new, outcome-based research has provided few valid and reliable explanations of whether and how IPE can be effective in healthcare quality improvement. This challenge stems from the struggle to understand the epistemological meaning of IPE.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paper is to provide a synthesized understanding of IPE, its meaning, and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medical educators. The paper reviewed several key aspects of IPE. Professionalility was discuss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IPE, followed by an explanation of the international trend of embracing the complexity of health care practice and the need for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Additionally, several theoretical perspectives, such as general systems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and community of practice were reviewed to pinpoint what constitutes IPE. Several existing definitions were discussed with similar concepts (i.e., disciplinary vs. professional, and multi-, inter-, vs. trans-) to clarify the nature of knowledge and collaboration in IPE. Three concepts, including practice, authenticity of context, and socialization were proposed as key constructs of IPE, followed by appropriate timing of IPE, outcome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guidance for implementation. Community-based medical education practice, professional socialization within a community, and longitudinal system-based outcome research are recommended as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ope

    Changes in the Clerkship in Korean Medical Schools: The Prospect of a Student Internship

    Get PDF
    The subinternship (student internship), a subtype of bedside and clinical training wa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Currently, some medical schools conduct a student internship and many other universities are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a student internship in Korea. If the intern system is abrogated beginning in 2016 as in the United States, then the importance of the student internship will be greatly emphasized for clinical training. To produce good and competent medical doctors, members of medical schools and affiliated hospitals must acknowledge the role of the educational hospital and support student internships. In addition, the effort of the medical community to develop and apply a standard curriculum to the student internship is also required. Above all, the attention of society and the nation is essential to make legal policy changes regarding the conducting of student internships an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authorized practices in university hospitals. The medical community’s effort to draw attention to this issue is greatly required to implement a student internship at this time.ope
    • 

    corecore